• 제목/요약/키워드: %24Q_%7B10%7D%24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심장박동 측정 레이더를 위한 24GHz I/Q LO 발생기 (A 24 GHz I/Q LO Generator for Heartbeat Measurement Radar System)

  • 양희성;이옥구;남일구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1호
    • /
    • pp.66-7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심장박동 측정 레이더 송수신기용 24 GHz I/Q 발생기를 제안한다. 공정 변화에 따른 I/Q LO 신호간의 부정합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덕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된 high-pass 위상천이기와 low-pass 위상천이기 기반 24 GHz I/Q LO 발생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24 GHz I/Q 발생기는 LO 버퍼와 high-pass 위상천이기와 low-pass 위상천이기 구성된 24 GHz I/Q LO 발생기는 65 nm CMOS 공정에서 설계되었고, 전원 전압 1 V에서 8 mA의 전류를 소모하면서 24.05 GHz에서 24.25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7.5 dB의 전압 이득, 2.3 dB의 잡음 지수, 공정 및 온도 변화에 대해 0.1 dB의 I/Q 이득 부정합, 4.3도의 I/Q 위상 부정합의 성능을 보인다.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天然林) 생태계(生態系)의 현존량(現存量) 및 물질(物質) 생산성(生産性)에 관한 연구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in Natural Forests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 송칠영;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43-452
    • /
    • 1996
  • 충청북도 충주지역에서 평균수령 67, 62년생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표준지를 선정하고 각 표준지에서 각각 10본의 표본목을 선정, 벌채하여 지상부의 현존량과 물질 생산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충주지역의 현존량 및 물질 생산성의 추정에 상대생장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추정 방정식 모형으로는 $Wt=aD^bH^c$$Wt=a(D^2H)^b$, $Wt=aD^b$ 보다 적합하였고, 두 수종 모두 성분별 단목 현존량의 표본값과 추정치를 T-검정하여 본 결과 유의차는 없었다. 임분의 현존량은 신갈나무 임분의 지상부 총량이 130.6 t/ha였고, 굴참나무 임분이 137.4 t/ha였다. 부위별로는 신갈나무 임분의 경우, 엽 5.1 t/ha(3.9%), 죽은가지 3.5 t/ha(2.7%), 생지부 29.7 t/ha(23.0%), 수피 16.2 t/ha(l2.5%), 그리고 수간목부 74.9 t/ha(58.0%)였다. 굴참나무 임분은 엽 3.8 t/ha(2.9%), 죽은가지 2.9 t/ha(2.2%), 생지부 24.3 t/ha(l8.4), 수피 20.4 t/ha(15.5%), 그리고 수간목부 80.4 t/ha(61.0%)였다. 두 임분의 1년간 생산할 수 있는 지상부 총량은 각각 신갈나무 임분이 10.0 t/ha/yr, 굴참나무 임분이 8.6 t/ha/yr였다. 본 참나무 천연림은 장령림이지만 온대 활엽수림의 순생산량(5~10 t/ha/yr)과 거의 유사한 양을 보였다.

  • PDF

개방 루프 다중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한 0.13 um 전압 제어 발진기 설계 (The Open Loop Multiple Split Ring Resonator Bas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0.13 um CMOS)

  • 김형준;최재원;서철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02-20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개방 루프 형태를 지닌 다중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하여 0.13 um CMOS 공정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해 위상 잡음 특성을 개선하였다. CMOS LC 공진기를 이용한 기존의 전압 제어 발진기와 비교했을 때, 본 논문에서 제안한 CMOS 전압 제어 발진기의 보다 큰 결합 계수를 통하여 Q-factor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전압 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개방 루프 다중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하여 제안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은 1 MHz 오프셋에서 -99.67 dBc/Hz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CMOS LC 전압 제어 발진기에 비해 약 7 dB의 위상 잡음 개선 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발진 주파수는 24 GHz이며, 0.13 um CMOS 공정을 통해 $0.7\;mm{\times}0.9\;m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튜브 설치 방향이 풀비등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ube Orientation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 강명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1호
    • /
    • pp.143-151
    • /
    • 2000
  •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tube orientation on pool boiling heat transfe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saturated pool boiling of water at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the tests a series of data sets for heat flux versus wall superheat has been obtained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tube diameters (D=9.7 $\~$25.4mm), surface roughness ($\varepsilon$=15.1$\~$60.9nm), and tube orientations (horizontal and vertical). ηei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lope of heat flux versus wall superheat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tube as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s from $\varepsilon$=60.9 to $\varepsilon$=15.1nm. Such that, two curves for the horizontal and vertical tubes cross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surface roughness and the crossing point can be suggested as q" = ‘-4.768+1.334$\varepsilon$+0.055${\varepsilon}^2$.

도플러 레이더를 위한 X-Band SOM 설계 (Design of X-Band SOM for Doppler Radar)

  • 정선화;황희용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167-117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발진과 주파수 혼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self-oscillating-mixer(SOM) 방식을 적용하여 높은 변환 이득을 갖는 X-band 도플러 레이더를 설계하였다. SOM의 위상 잡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ambda}/2$ slotted square patch resonator(SSPR) 공진기를 제안하였으며, 동일 주파수에서 기존 공진기에 비해 50 %의 면적 감소와 175.4의 높은 Q값을 이루었다. 제작된 SOM은 저 전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1.7 V의 낮은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해 주었으며, 높은 변환 이득을 위하여 트랜지스터의 pinch-off voltage 근처를 동작점으로 설정하였고, 변환 이득이 최대가 되도록 최적화 하였다. 제안된 SOM의 출력 파워는 10.65 GHz에서 -3.16 dBm으로 측정되었으며, DC Power consumption은 7.65 mW로 상대적으로 작은 전력을 소모한다. 또한, 9.48 dB의 높은 변환 이득 특성과 100 kHz offset에서 -90.91 dBc/Hz의 위상 잡음 특성을 나타내며, 이때 성능지수(FOM)는 -181.8 dBc/Hz 으로 다른 SOM에 비해 7 dB 이상 개선되었다.

Combined Cytogenetic and Molecular Analyses for the Diagnosis of Prader-Willi/Angelman Syndromes

  • Borelina, Daniel;Engel, Nora;Esperante, Sebastian;Ferreiro, Veronica;Ferrer, Marcela;Torrado, Maria;Goldschmidt, Ernesto;Francipane, Liliana;Szijan, Irene
    • BMB Reports
    • /
    • 제37권5호
    • /
    • pp.522-526
    • /
    • 2004
  • Prader-Willi (PWS) and Angelman (AS) are syndromes of developmental impairment that result from the loss of expression of imprinted genes in the paternal (PWS) or maternal (AS) 15q11-q13 chromosome. Diagnosis on a clinical basis is difficult in newborns and young infants; thus, a suitable molecular test capable of revealing chromosomal abnormalities is required. We used a variety of cytogenetic and molecular approaches, such as, chromosome G banding,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a DNA methylation test, and a set of chromosome 15 DNA polymorphisms to characterize a cohort of 27 PWS patients and 24 suspected AS patients. Molecular analysis enabled the reliable diagnosis of 14 PWS and 7 AS patients, and their classification into four groups: (A) 6 of these 14 PWS subjects (44%) had deletions of paternal 15q11-q13; (B) 4 of the 7 AS patients had deletions of maternal 15q11-q13; (C) one PWS patient (8%) had a maternal uniparental disomy (UPD) of chromosome 15; (D) the remaining reliably diagnoses of 7 PWS and 3 AS cases showed abnormal methylation patterns of 15q11-q13 chromosome, but none of the alterations shown by the above groups, although they may have harbored deletions undetected by the markers used.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sing a combination of cytogenetic and molecular tests for a reliable diagnosis of PWS or AS, and for the identification of genetic alterations.

COFDM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를 이용한 Viterbi 디코더 (Performance Analysis on Soft Decision Decoding using Erasure Technique)

  • 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A호
    • /
    • pp.1563-1570
    • /
    • 1999
  • 본 논문은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 시스템에서 erasure 기술을 이용한 연판정 복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안된 디코더는 COFDM 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삽입된 pilot으로부터 구해진 채널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행한다. 입력되는 I, Q의 데이터는 우선 branch metric을 구하는 블록으로 입력되어 branch metric을 구한다. 이 때 채널상태정보도 branch metric을 구하는 블록으로 입력되어 새로운 branch metric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새로운 branch metric은 COFDM 시스템에서의 각각의 캐리어의 채널상태를 각각 반영하였기 때문에 종전의 branch metric 계산방법에 비해 성능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TS 300 744[1]의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Rayleigh fading 채널을 이용하여 이의 성능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종래의 단순한 branch metric 계산 방법보다 비트 인터리버와 심벌 인터리버를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0.15 ∼ 0.7 dB 정도의 성능개선을, 심벌 인터리버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2 ∼ 2.0 dB 정도의 성능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리산(智異山) 물박달나무림(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동태(動態)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a Betula davurioa Forest in Mt. Chiri)

  • 안현철;이정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45-458
    • /
    • 1998
  • 본 연구는 지리산 국립공원 오봉리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분포하는 물박달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동태를 분석하여 물박달나무림의 경영과 분포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물박달나무림의 구조는 교목층(18종류), 아교목층(29종류), 관목층(43수종) 그리고 초본층(68종류)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가 129.9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물오리나무(49.04%), 밤나무(25.58%), 졸참나무(25.02%), 노각나무(14.49%), 아교목층에서 물박달나무(70.81%), 졸참나무(37.47%), 물푸레나무(25.35%), 비목나무(24.52%) 및 노각나무(18.86%)가 높은 우점을 보였고, 관목층에서는 조릿대(28.28%), 비목(24.94%), 개윷나무(20.42%), 국수나무(19.90%),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오미자(18.51%), 참취(12.26%), 애기나리(10.63%)로 우점하고 있었다. 30개 조사방형구에서 전층을 대상으로 출현 비출현에 의한 17수종에 대한 $x^2$ 검정결과 굴참나무-상수리나무, 노각나무-검노린재나무, 당단풍-신갈나무간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 밀도에 의한 Pearson 상관에서는 $x^2$ 검정에서 보다, 많은 7개 쌍의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Spearman 상관에서는 모두 18개의 상관이 있는 쌍이 인정되었다. 물박달나무림에 대한 직경급의 분포는 물박달나무림의 지속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치수 발생량이 거의 없어 앞으로 졸참나무, 노각나무 등 교목층과 아교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활엽수종과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TM에HDSL 정합 기능 및 서비스 구현 (An Achievement of High-rate Digital Subscriber Lines(HDSL) Interface Function into the ATM Switching System and its Service Implementation)

  • 양충렬;장재득;김진태;강석열;김환우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9호
    • /
    • pp.2378-2390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에 E1급 HDSL(High-rate Digital Subscriber Lines) 정합 기능을 구현하였다. 26 게이지(0.4mm) 및 24 게이지(0.5mm) 페어 동 선로(copper telephone lines)로 구성되는 CSA(Carrier Serving Areas) 환경에서 누화(crosstalk), 임펄스, 전원 선로 잡음(power line noise) 및 longitudinal 같은 주요 전송 손실이 존재하는 기존 전화 가입자 선로 상에서 E1급 HDSL 데이터를 전송할 때 $10^{-7}$의 셀 손실 성능을 만족하는 가입자 서비스 루프 거리 및 셀 손실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ATM에서 HDSL을 이용한 MPEG-1급 주문형 비디오서비스, 영상 회의${\cdot}$서비스 및 고속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였다.

  • PDF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 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85
    • /
    • 1997
  • 만덕봉(1,035.3m)은 동경 $128^{\circ}$54'24', 북위 $37^{\circ}$36'53'에 위치하며 행정적으로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및 옥계면의 경계에 자리하는 산으로 본 지역에 분포하는 유용자원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용자원식물상을 파악 하기 위해 1996년 4월과 9월 사이에 수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각 식물의 용도에 따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하여 군락표를 작성하였다. 본 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자원은 97과 298속 406종 70변종 8품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분포하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자원의 11.9%에 해당하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1.1이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6.7%, 목초용자원이 37.2%, 약용자원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도 16.3%로 분포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사울제비꽃, 지리강활,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재),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 570종류의 2.6%에 해당한다. 그 외 회귀식물로는 고비고사리, 애기쐐기풀, 솔나리, 연영초, 꽃창포, 암대극 등이 분포한다. 한석산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1아군단, 4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꽤앵둥개-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소나무-산거울군락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가래나무-가는잎쐐기풀군락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olia 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