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_3A%24

검색결과 7,460건 처리시간 0.047초

강낭콩 미숙종자내 신규 Saringosteryl Glucoside의 동정 (Identification of Novel Saringosteryl Glucoside in Phaseolus vulgaris Seed)

  • 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41-444
    • /
    • 1994
  •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 미숙종자로부터 신규 phytosteryl glucoside를 순수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은 positive FAB-MS에서 m/z 613에 $[M+Na]^{+}$를, 696에 $[M+Matrix]^{+}$의 강한 ion peak를 나타내었고, negative FABMS에서 m/z 589에 $[M-1]^{-}$의 강한 ion peak를 나타내어 그 분자량은 590으로 확인되었다. 400 MHz $^1H-NMR$ 분석 결과 이 화합물은 24-hydroxy-24-vinyl-cholesterol(saringosterol)과 ${\beta}-D-glucopyranose$가 연결되어 있는 saringosteryl glucoside임을 알 수 있었고, 이 화합물의 acetyl화 화합물의 400 MHz $^1H-NMR$의 분석을 통하여 이 화합물은 saringosterol의 C-3 수산기와 ${\beta}-D-glucopyranose$의 C-1'의 수산기가 탈수축합되어 있는 $3-O-{\beta}-D-glucopyranosyl-24-hydroxy-24-vinyl-cholesterol$(saringosteryul glucoside)로 구조결정되었다. 이 saringosteryl glucoside는 천연으로부터 처음 동정된 신규 화합물이며, 이 화합물의 aglycone인 saringosterol도 고등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 PDF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의 결정구조해석 (Crystal structure of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

  • 조소라;김문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5
    • /
    • 1995
  • 1-tert-butoxycarbonyl-4-[N-(tert-butoxycarbonyl)-N-(ethoxycarbonylmethyl)amino]-3-phenylsulfonylpyrrolidind [C24H36O8N2S;이하 BEP]의 분자 및 결정구조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의 분자는 C24H36O8N2S, 삼사정계이고 공간군은 P1이다. 단위세포 길이는 a=11.363(8)Å, b=11.589(6)Å, c=11.013(10)Å,α=95.32(6)°,β=98.64(7)°,γ=79.57(5)°,V=1406.8(18)Å3, t=293K, Z=2이다. 구조해석에 사용한 X-선은 CuKα선(λ=1.5418Å)을 사용하였다. 분자구조는 직접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다. 최종 신뢰도 R값은 F≥4 σ(F)인 3621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9.78% 이었다.

  • PDF

Metal Anion Polymerization에 관한 연구 (제3보).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lO_4$Solution (Studies on Polymerization of Metal Anion (III). The Temperature Effect on Polymolybdate Ions Equilibrium in 1 M $NaCIO_4$ Solution)

  • 안상운;박의서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5-153
    • /
    • 1973
  • 1M $NaCIO_4$용액에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 평형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20~50$^{\circ}$C온도 범위 내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 온도 범위에서 생성된 다중몰리브덴산염 음이온은 평형 온도에 관계없이 헵타몰리브덴산염($Mo_7O_{24}^{-6}$) 이온과 헵타몰리브덴산염의 양성자화된 꼴($H_LMo_7O_{24}^{(6-L)-}$) 이었다. 실렌의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는 지적한 평형 온도에서 각각 다음과 같다. $8H^{+}+7MoO_4^{2-}=Mo_7O_{24}^{6-}+4H_2O$, $k_{7.8}=2.77{\times}10^{53}:20^{\circ}C= 9.29{\times}10^{51}:40^{\circ}C$,$k_{7.8}= 4.22{\times}10^{52}:30^{\circ}C = 9.29{\times}10^{51}:50^{\circ}C$ 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31.50kcal/mole이었다.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이온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 계산법을 유도하여 프로톤화헵타몰리브덴산염 형성에 대한 평형상수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LH + Mo_7O_{24}^{-6} = H_LMo_7O_{24}^{(6-L)-} : L = 1\;or\;2$, $k_1 = 2.31{\times}10^4=2.53{\times}10^4=2.76{\times}10^4= 3.10{\times}10^4$, $k_2 = 6.19{\times}10^7\;20^{\circ}C = 7.80{\times}10^7\;30^{\circ}C = 1.22{\times}10^8\;40^{\circ}C = 2.03{\times}10^8\;50^{\circ}C$ 다음 단계 반응에 대하여 반트호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한 엔탈피 변화는 다음과 같다. $H^{+}+Mo_7O_{24}^{6-}= HMo_7O_{24}^{5-}\;{\Delta}H^{\circ}=1.900 kcal/mole$, $2H^{+}+Mo_7O_{24}^{6-}=H_2Mo_7O_{24}^{4-}\;{\Delta}H^{\circ}=7.500kcal/mole$

  • PDF

온도 및 먹이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난 포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Food on the Nymphal Development and Adult Longevity of the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outer (Hemiptera: Miridae) and Its Egg Predation)

  • 배순도;배태웅;조현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1-97
    • /
    • 2002
  • 온도 및 먹이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약충과 성충의 먹이의 종별 난 포식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3.2-13.7일, 10.4-10.9일 및 9.0-9.3일이었다. 약충의 난 포식량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0.6-14.3개, 7.5-9.2개 및 5.8-7.5개로 끝동매미충, 흰등멸구, 애멸구 및 벼멸구의 난 순으로 많았다. 약충의 탈피 횟수는 4회가 55-75%로 3회의 25-45%보다 높았으며, 온도 및 먹이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우화율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52-70%, 48-66% 및 22-38%로 먹이에 따른 차이와 함께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성충수명은 1종 먹이만 제공한 경우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9.75-22.45일, 15.55-16.95일 및 10.25-11.65일 이었으나, 4종 먹이를 함께 제공한 경우 성충수명은 1종 먹이만 제공한 것보다 약간 긴 경향이었다. 성충의 포식량을 1종 먹이만 제공한 경우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35.7-54.2개, 31.6-44.55개 및 18.1-28.15개로 온도조건에 관계없이 끝동매미충, 흰등멸구, 애멸구 및 벼멸구의 난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4종 먹이를 함께 제공한 성충의 포식량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3.95-28.9개, 2.9-28.95개 및 1.7-13.6개로 제공된 먹이간에 차이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먹이간 성충 포식량의 현저한 차이는 기주선호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FloucinoloneAcetonide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Fluocinolone Acetorlide $(C_{24}H_{30}F_2O_8)$)

  • 정종순;조성일;정용제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36
    • /
    • 1992
  • 플루오로시노론 아세토나이드, C24H30F2O6, 삼사 정계, 공간군 R3(육방정계 단위세포), a=b=17. 896 A., c: 18365 ,3,, V=5094.3 A',2:9 A(MoK a) =0.7107 k, D-: 1.31 g/cm", D.: 1.328 g/cm", T=298 K,1101 개의 독립된 회절반점에 대한 최종신뢰도값 R=0.050. 분자구조는 관련된 코티코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구조와 일치한다. 3회 회전 대칭 관계에 있는 세개의 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c-축에수직한 층을 형성한다.

  • PDF

수온과 광주기에 따른 볼락, Sebastes inermis 치어의 산소 소비율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f Juvenile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오승용;노충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0-215
    • /
    • 2006
  • 수온과 광주기에 따른 볼락 치어의 대사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평균 무게 $20.5{\pm}0.7g$을 대상으로 수온(10, 15, 20, $25^{\circ}C$)과 광주기(24L:0D, 12L:12D, 0L:24D)에 따른 산소 소비율은 측정하였다. 12가지 실험 조합의 산소 소비율은 유수식 형태의 호흡실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3반복 측정하였다. 수온과 광주기 그리고 두 인자의 상호작용 모두가 볼락 치어의 산소 소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01). 각 광주기 조건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산소 소비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10, 15, 20 그리고 $25^{\circ}C$에서의 시간당 평균 산소 소비율은 각각 $178.3\sim283.5,\;386.7\sim530.7,\;529.2\sim754.3$ 그리고 $590.0\sim785.5mg\;O_2kg^{-1}h^{-1}$였으며, $Q_{10}$ 값은 $10\sim15,\;15\sim20,\;25\sim25^{\circ}C$에서 각각 $3.17\sim5.51,\;1.87\sim2.10,\;1.08\sim1.24$이었다. 연속 명기(24L:0D)에서의 산소 소비율은 연속 암기(0L:24D)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0^{\circ}C$를 제외한 모든 수온 조건에서 12L:12D에서 가장 높은 산소 소비율을 보였으며, 24L:0D의 명기에서의 산소 소비율은 같은 조건의 암기 때보다 유의하게 높은 산소 소비율을 보였다(P<0.05). 이 실험 결과는 각 수온과 광주기 조건에서의 볼락 치어의 산소 소비율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육관리 및 생리적 반응 정량화를 위한 생체역학 모델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소결온도에 따른 Zn-Pr-Co-Cr-La 산화물계 바리스터의 DC 가속열화 특성 (DC Accelerated Aging Characteristics of Zn-Pr-Co-Cr-La Oxides-Based Varistors with Sintering Temperature)

  • 김명준;유대훈;박종아;남춘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7
    • /
    • pp.383-386
    • /
    • 2004
  • DC accelerated aging characteristics of Zn-Pr-Co-Cr-La oxides-based varistors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sintering temperatures. The varistors sintered at $1240^{\circ}C$ exhibited the highest nonlinearity, with a nonlinear exponent of 79.3 and a leakage current of $0.3\;{\mu}A$, whereas completely degraded because of thermal runaway owing to low sintered density. The varistors sintered at $1250^{\circ}C$ exhibited not only a high nonlinearity with the nonlinear exponent 61.4 and the leakage current 0.7 ${\mu}A$, but also a high stability with the variation rates of varistor voltage and nonlinear exponent are -1.01% and -10.67%, respectively, under DC stress condition such as $(0.85\;V_{1mA}/115^{\circ}C/24\;h)+(0.90\;V_{1mA}/120^{\circ}C/24\;h)+(0.95\;V_{1mA}/125^{\circ}C/24\;h)+(0.95\;V_{1mA}/150^{\circ}C/24\;h)$.

  • PDF

사육 수온이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A. Adams, 1850) 치패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Condition on Growth and Survival of Juvenile Geoduck (Panopea japonica A. Adams, 1850))

  • 남명모;이주영;이주;강희웅;김영대;변순규;유해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3-266
    • /
    • 2015
  • 본 연구는 동해안산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를 대량 종묘생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육 수온에 따른 치패의 생존율과 성장에 대해 조사하였다. 코끼리조개 치패는 외형적으로 건강한 것을 선별하여 12, 15, 18, 21, 24 그리고 $27^{\circ}C$로 설정한 인큐베이터에에서 6주간 생존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수온별 반치사시간 (median lethal time, LT50) 은 $27^{\circ}C$에서 29시간, $24^{\circ}C$에서 14.5일, $21^{\circ}C$에서 37.4일이었으며, 수온 $12^{\circ}C$, $15^{\circ}C$, $18^{\circ}C$에서는 42일간 생존율이 95.0%, 95.0%, 93.3%로 높았다. 사육 실험기간 동안 수온별 각장과 체중의 일간성장률은 $12^{\circ}C$에서는 0.100 mm, 2.212 mg, $15^{\circ}C$에서는 0.118 mm, 2.648 mg, $18^{\circ}C$에서는 0.127 mm, 2.836 mg, $21^{\circ}C$에서는 0.160 mm, 3.128 mg, 그리고 $24^{\circ}C$에서는 0.138 mm, 2.925 mg이었다. $12-21^{\circ}C$ 구간에서는 수온이 높아짐에 따라서 각장과 체중의 증가가 빨랐으며, 특히 $15-21^{\circ}C$에서 각장과 체중의 성장이 좋았다. 그러나 $21^{\circ}C$ 이상의 고수온에서는 폐사가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치패 사육을 위한 수온은 $15-18^{\circ}C$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Poliovirus Sabin 1 as a Live Vaccine Vector: Expression of HIV-1 p24 Core Protein

  • Jung, Hye-Rhan;Bae, Yong-Soo
    • BMB Reports
    • /
    • 제31권5호
    • /
    • pp.432-443
    • /
    • 1998
  • The poliovirus Sabin 1 strain has features that make it a particularly attractive live recombinant mucosal vaccine vehicle. Sabin 1 cDNA was manipulated to have multiple cloning sites and a viral specific 3C-protease cutting site at the N-terminal end of the polyprotein. The gene for the N-terminal 169 amino acids of the HIV-1 p24 was cloned into the multiple cloning site of the manipulated Sabin cDNA. A recombinant progeny virus was produced from HeLa cells when it was transfected with the RNA synthesized from the p24-Sabin chimeric cDNA. The recombinant progeny virus expresses substantial amounts of the HIV-1 p24 protein, which was clearly detected in the infected cell lysates and culture supernatants in Western blot experiments with rabbit anti-p24 serum and AIDS patients' sera. Differing from the Mahoney strain, the recombinant Sabin 1 poliovirus maintained the foreign gene stably during the subsequent passages. Replication capacity was about 1 to 1.5 log lower than that of the wild-type Sabin 1. Other physicochemical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recombinant viru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wild-type Sabin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nipulated Sabin 1 poliovirus can be used as a live viral vaccine vector for the development of mucosal vaccines.

  • PDF

분위기 열처리가 Ca-doped Y $CrO_3$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mospheric Annealing on the Densific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a-doped $CrO_3$)

  • 하우종;문종하;이병택;박현수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8호
    • /
    • pp.540-544
    • /
    • 2000
  • 열처리가 분위기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치밀화 및 전기적 특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700$^{\circ}C$ 공기중에서 12시간 소결된 시편을 1400$^{\circ}C$ O$_2$, Air, N$_2$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재열처리하였다. N$_2$분위기에서 열처리한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밀도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 4.5(0hr)\longrightarrow5.35(24hrs)\longrightarrow5.1g/$cm^3$(48hrs). 전기전도도는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변화는 없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0.16eV로 일정하였다. Air에서 재열처리한 경우 밀도는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활성화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0.19에서 0.115eV까지 변화하였다. O$_2$분위기에서 열철한 Y(sub)0.7Ca(sub)0.3CrO(sub)3<원문참조>의 밀도는 24시간 열처리후 4.9(g/$cm^3$)로 증가후 일정하였다. 24시간 이상 N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경우와는 다르게 기지상과 비슷한 조성의 제 2상의 석출되었으며 24시간동안 열처리한 시편까지는 전기 전도도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48시간 동안 열처리된 시편의 전기 전도도는 감소하였고 활성화 에너지는 400K이하에서 0.167eV, 400K 이상에서 0.24eV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