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4CO_2%24 Emission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1초

반도체 공정장비 Gas Scrubber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an Energy MonItorIng System for Gas Scrubber)

  • 김선만;임익태;안강호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7
    • /
    • 2011
  • We have developed a new energy-consuming monitoring system that has made it possible to measure the energy consumption of a gas scrubber, one of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s, and installed this system to the gas scrubber under operating at a manufacture site. Using this system, we have measured consumptions of electric power and processing gas consumed at standby to operating mode. In case of the gas scrubber, processing gas flows continuously into it at standby and operating mode. Therefore, if the electric power has been supplied, the processing gas can flows into the device for 24 hours. Moreover, at operating of gas scrubber,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is 5 kWh. At Standby of gas scrubber, it spends 3kwh. It is certain that the energy consumption is greater at operating mode than at standby mode. The carbon emission rates from 24 hour gas scrubber operation are 236 $kgCO_2$/day of $N_2$, 57 $kgCO_2$/day of electric power and 0.001 $kgCO_2$/day of cooling water. Most of carbon is emitted from $N_2$ gas and electric power consumption.

무연탄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계수 개발 (Development of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CO2) from Anthracite Fired Power Plants in Korea)

  • 전의찬;명수정;정재학;이성호;사재환;노기환;김기현;배위섭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0-448
    • /
    • 2007
  • Although the anthracite power plant is an important source of greenhouse gas, research on this type of power plant has not been conducted muc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ntire anthracite power plants in Korea and analyzed the emitted gas in connection with GC/FD and a methanizer in order to develop $CO_2$ emission factors. The study also sampled the anthracite to analyze the amount of carbon and hydrogen using an element analyzer, and to measure the calorie using an automatic calorie analyzer. The emission factors computed through the fuel analysis was 30.45 kg/GJ and that computed through the $CO_2$ gas analysis was 26.48 kg/GJ. The former is approximately about 15% higher than the latter. When compared the carbon content factors of anthracite with that of bituminous coal, the value of anthracite was 24% higher Compared with IPCC values, the emission factors by the fuel was 14% higher, and that by the emitted $CO_2$ gas was about 1.2% lower. More research is needed on our own emission factors of various energy-consuming facilities in order to stand on a higher position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regarding the treaties on climate changes.

울산 지역 대기질 모의능력 개선을 위한 배출량자료 평가 (Assessment of Emission Data for Improvement of Air Quality Simulation in Ulsan)

  • 조유진;김철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56-471
    • /
    • 2015
  • 배출량 자료는 대기질 수치모의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정확한 대기질 수치모의를 위해서 배출량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도 향상은 대기질 모델 연구에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을 대상으로 2003년과 2010년 CAPSS 배출량 자료인 CAPSS-2003과 CAPSS-2010를 입력자료로 하여 WRF-CMAQ 모델을 수행하여 울산지역 배출량 지료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오염물질의 장거리 수송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울산지역 자체 내의 배출량 영향이 우세한 종관 기상조건을 가진 사례일을 선정하고 선정된 사례일에 대해서 WRF-CMAQ모델을 수행한 후 그 결과인 CO, $NO_2$, $SO_2$, $PM_{10}$ 농도와 관측 값을 비교하여, 과소 혹은 과대 모의되는 정도를 분석하여 모의결과를 보정 할 수 있는 'scaling factor'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CAPSS-2003을 이용한 모의결과는 CO와 $NO_2$에 대해서는 관측과 유사한 수준으로 모의하였으나 $SO_2$는 약 12배 과대모의, $PM_{10}$은 약 27배나 과소모의하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CAPSS-2010을 이용한 모의결과에서는 CO와 $NO_2$의 모의결과는 유사하였으며, $SO_2$는 약 2배 과대모의, $PM_{10}$은 약 5배 과소모의 하여 $SO_2$$PM_{10}$ 배출량이 상당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SO_2$$PM_{10}$ 역시 이전 보다는 관측에 가깝게 모의되었으나 현실적 모델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배출량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모델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울산지역 배출량의 'scaling factor'를 이용하면 보다 안정된 모델링 결과가 도출 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Defaunation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When Incubated with Forages

  • Qin, Wei-Ze;Choi, Seong-Ho;Lee, Seung-Uk;Lee, Sang-Suk;Song, Man-Kang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7-205
    • /
    • 2013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efaunation (removal of protozoa) and forage sources (rice straw, ryegrass and tall fescue)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ethane ($CH_4$) production and degradation by rumen microbes. Sodium lauryl sulfate, as a defaunation reagent, was added into the mixed culture solution to remove ruminal protozoa at a concentration of 0.375 mg/ml. Pure cellulose (0.64 g, Sigma, C8002) and three forage sources were incubated in the bottle of culture solution of mixed rumen microbes (faunation) or defaunation for up to 24 h. The concentration of ammonia-N was high under condition of defaunation compared to that from faunation in all incubations (p<0.001). Total VF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t 3, 6 and 12 h (p<0.05~p<0.01) but was decreased at 24 h incubation (p<0.001) under condition of defaunation. Defaunation decreased acetate (p<0.001) and butyrate (p<0.001) proportions at 6, 12 and 24 h incubation times, but increased propionate (p<0.001) proportion at all incubation times for forages.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was decreased by defaunation (p<0.001). Defaunation not only decreased total gas (p<0.001) and $CO_2$ (p<0.01~0.001) production at 12 and 24 h incubations, but reduced $CH_4$ production (p<0.001) at all incubation times for all forages. The $CH_4$ production, regardless of defaunation, in order of forage sources were rice straw > tall fescue > ryegrass > cellulose (p<0.001) up to 24 h incubation.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 적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CO2 감축 효과 분석 (Analysis of Energy Savings and CO2 Emission Reductions via Application of Smart Grid System)

  • 박수환;한상준;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56-37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에서 설정된 가정 하에 지능형 전력망 기술이 지능형 송배전, 소비자, 전력서비스, 신재생 에너지 및 운송 등의 5가지 분야에 적용될 경우 2030년까지의 연도별 국내 에너지 절감 및 $CO_2$ 감축 효과와 그 상대적 기여도를 예측, 분석하였다. 2030년 지능형 전력망 운용에 따른 총 에너지 절감량은 103,121 GWh로 계산되며 이는 당해 소비전력량 전망치의 약 13.1%로 2025년 이후 이 비율은 약 10% 이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를 토대로 계산된 2030년 $CO_2$ 배출 감축량은 5,538만 $tCO_2$로 계산되었고 이는 당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인 3억 1,500만 $tCO_2$에 17.6%에 해당하는 값이다. 이러한 $CO_2$ 배출 감축량은 에너지 절감량과는 다르게 해가 거듭될수록 전체 배출 감축량에 대한 그 비율이 감소하는데 이는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탄화력 발전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국가의 목표 배출 감축 속도가 매우 빠르게 설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30년 5가지 각 분야에서의 에너지 절감 및 $CO_2$ 배출 감축 기여 비율은 지능형 소비자 44.37%, 신재생 에너지 29.16%, 전력서비스 20.12%, 송배전 5.11%, 운송 1.24%로 계산되고 시간에 따른 상대적 에너지 절감 속도는 지능형 소비자 분야가 가장 빠르며 신재생 에너지 및 전력서비스로 순서를 이룬다. 송배전 분야에서의 절감 속도는 송배전 손실률 향상의 한계 때문에 낮고, 전기자동차 예상 보급 대수의 증가율이 낮아 운송 부분의 절감 속도가 가장 느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역-마이셀 공정에 의한 CoAl2O4 무기안료 나노 분말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Al2O4 Inorganic Pigment Nanoparticles by a Reverse Micelle Processing)

  • 손정훈;배동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370-374
    • /
    • 2014
  • Inorganic pigments have high thermal st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For these reasons, they are used in clay, paints, plastic, polymers, colored glass and ceramics. $CoAl_2O_4$ nano-powder was synthesized by reverse-micelle processing the mixed precursor(consisting of $Co(NO_3)_2$ and $Al(NO_3)_3$). The $CoAl_2O_4$ was prepared by mixing an aqueous solution at a Co:Al molar ratio of 1:2. The average particle size, and the particle-size distribution, of the powders synthesized by heat treatment (at 900; 1,000; 1,100; and $1,200^{\circ}C$ for 2h) were in the range of 10-20 nm and narrow, respectively. The average size of the synthesized nano-partic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to-surfactant molar ratio. The synthesized $CoAl_2O_4$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XRD),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and color spectrophotometry. The intensity of X-ray diffraction of the synthesized $CoAl_2O_4$ powder,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crystal-size of the synthesized powder particles increased. As the R-value(water/surfactant) and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color of the inorganic pigments changed from dark blue-green to cerulean blue.

자중저감 철선일체형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를 사용한 합성보의 휨내력 및 CO2 감소량 평가 (Flexural Capacity and CO2 Reduction Evaluation for Composite Beam with Weight Reducing Steel Wire-Integrated Void Deck Plate slab)

  • 김상섭;박동수;부윤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3-32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오메가형 강판을 삽입한 철선일체형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와 용접 H형강합성보의 휨성능 및 $CO_2$ 감소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여 건물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인 구조물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단조가력 실험을 실시하여 합성보의 휨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는 오메가형 강판 상부 슬래브의 콘크리트 두께, 오메가형 강판의 단속길이 등이다. 실험결과, 용접 H형강 보에 오메가형 강판을 삽입한 철선일체형 중공 데크플레이트 슬래브를 적용하여 합성보로 사용하면, 콘크리트 양의 감소에 의한 합성보의 휨내력 저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_2$ 절감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Electro-optical Characterization of OLED Device

  • Lee Soon-Seok;Kim Ki-Seok;Lim Sung-Ky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2권3호
    • /
    • pp.6-10
    • /
    • 2006
  • Small molecule OLED devices were fabricated and the electro-opt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luminance and color coordinate of the fabricated OLED device were $24,390cd/m^2$ and (x=0.15, y=0.22), respectively. Current efficiency of 6.8 cd/A and power efficiency of 2.4 lm/W were also obtained under DC operating condition. Transient light intensity was also measured by using Si photodiode.

  • PDF

그린 공급망 네트워크 모델: 유전알고리즘 접근법 (Green Supply Chain Network Model: Genetic Algorithm Approach)

  • 윤영수;추룬수크 아누다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그린공급망(green supply chain: gSC) 네트워크 모델이 제안된다. 제안된 gSC 네트워크 모델은 환경적 요인 및 경제적 요인을 고려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부품 및 제품 수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발생량의 총비용 최소화를 고려하며, 경제적 요인으로는 부품 및 제품 생산처리에 필요한 처리비용,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송비용, 각 단계에서 고려되는 설비들의 개설을 위한 개설비용의 최소화를 고려한다. 수리모형에서는 환경적 요인 및 경제적 요인을 위해 고려되는 다양한 비용들의 총합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사용하며, 각 단계 간 수송량의 제약 등 다양한 제약조건을 함께 고려한다. 제안된 수리모형의 이행을 위해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 접근법을 사용한다. 수치실험에서는 네 가지 규모의 gSC 네트워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수행도 척도들을 사용하여 GA 접근법을 통해 해결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안된 gSC 네트워크 모델과 GA 접근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커먼레일식 디젤기관의 부분 예혼합 분사시기가 연소 및 배기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ally Premixed Pilot Injection Timing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Common Rail Diesel Engine)

  • 윤삼기;최낙정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8-24
    • /
    • 2013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pressure and exhaust emissions when the pilot injection timing and EGR rate were changed in a CRDI 4-cylinder diesel engine. The pilot injection timing and EGR rat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diesel engine. In this study, the pilot injection timing and EGR rate variation were conducted to 2000rpm of engine speed with torque 50Nm. Combustion pressure and heat release rate were decreased under high EGR rate conditions but increased under the pilot injection timing $20^{\circ}$(BTDC). IMEP and the maximum pressure in cylinder(Pmax) were decreased under the same injection timing with the increase of EGR rate. The NOx emission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EGR rate. 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injection timing conditions, CO, HC, $CO_2$ emission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EGR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