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_0$ variation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32초

인체의 영향에 의한 안테나 효율의 변화 (Antenna Efficiency Variation by the Influence of Human Body)

  • 이용주;한준희;양운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5-19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대역에서 동작하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를 설계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설계된 PIFA를 폴더와 바,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에 장착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와 가장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헤드 팬텀과 핸드 팬텀을 추가하여 단말기 안테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체의 영향으로 인해 방사패턴이 크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안테나 효율 또한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단말기와 헤드 팬텀과의 위치 관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와 헤드 팬텀의 각도가 $0^{\circ}$일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2^{\circ},\;4^{\circ}$로 변화시켜가며 단말기 안테나의 성능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안테나가 헤드 팬텀에서 멀어질수록 지향성을 갖던 특성이 조금씩 줄어들면서 효율이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안테나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헤드 팬텀에 가까운 바 타입의 경우, 이 같은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말기의 형태도 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하이브리드 로켓의 L/D 비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Hybrid Rocket with the Variation of L/D Ratio)

  • 김수종;김진곤;이승철;유우준;이정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포트 연료 형상을 갖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의 고체 연료의 L/D(길이/직경)비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료 포트 직경이 같은 경우와 연료 길이가 같은 경우로 나누어 L/D 비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료 포트 직경이 같은 경우 L/D 비 변화에 따른 후퇴율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L/D 비가 클수록 O/F 비는 낮았고 추력과 특성속도는 높았다. 연료 길이가 같은 경우 L/D 비 변화에 따른 O/F 비와 추력, 특성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L/D 비가 작을수록 후퇴율은 높았다. O/F 비의 변화가 없을 경우 $\dot{r}=a{G_0}^n$에서 지수 n은 0.5의 값을 갖는 것을 실험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PE와 기체산소를 본 실험의 연료와 산화제로 사용하였다.

규불화아연(ZnSiF6, aq)이 첨가된 시멘트의 유동성과 수화특성 (Fluidity and Hydration Properties of Cement Paste Added Zinc Fluosilicate(ZnSiF6, aq.))

  • 김도수;길배수;임헌성;남재현;노재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8-183
    • /
    • 2002
  • 금속염으로 산화아연(ZnO)과 규불화수소산($H_2SiF_6$)을 이용하여 용액법으로 규불화아연($ZnSiF_6$, 농도 15%)을 제조하고 이를 시멘트용 혼화제로 첨가하여 시멘트의 유동성과 수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규불화아연의 첨가량을 시멘트량 대비 1.0∼4.0%로 증가시켜 첨가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초기 유동성과 유동성의 경시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 유동성은 mini-slump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고, 유동성의 경시변화는 slump loss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규불화아연을 시멘트에 1.0∼3.0%로 첨가하였을 때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미치는 영향과 시멘트 수화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동성은 규불화아연이 2.1% 첨가되었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경시변화는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 응결시간은 규불화아연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지연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시멘트 수화열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섬유강화수지의 절삭특성 (On cutting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 최수준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8-83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tting characteristics of glass-fiber rein- forced plastic (GFRP) by investigating the variation of cutting force and surface roughness, depending on the amount fo flank wear and cutting conditions. And a Taylor type tool life equation is derive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1. Taylor's eqquation can be applicable to GFRP nd the constants n (0.170-0.175) and C (53.7- 64.4) are smaller than those in cutting of steel. 2. Principal cutting force increases sharply with the increase of feed rate, but feed force and radial force are almost constant. This result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metal cutting. 3. Cutting forces ($F_P, \;F_Q, \;F_R$)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flank wear, and feed force especially increases sharply with the increase of flank wear. 4. Surface roughness changes very muc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workpiece and the amount of flank wear has almost no effect on surface roughness.

  • PDF

AlGaN/GaN HEMT 의 DC 및 RF 특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DC and RF characteristics in AlGaN/GaN HEMT)

  • 손성훈;김태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9호
    • /
    • pp.1-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AlGaN/GaN HEMT의 DC 및 RF 특성을 최적화 하기위해서 2차원 소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AlGaN층의 두께, Al mole fraction 의 변화에 따른 2차원 전자가스 채널의 농도변화가 생기는 현상을 바탕으로 DC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 게이트, 소스, 드레인 전극의 크기와 위치 변화에 따른 RF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Al mole fraction이 0.2몰에서 0.45몰로 증가할수록 전달이득(transconductance, $g_m$) 과 I-V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AlGaN층의 두께가 10nm에서 50nm로 증가할수록 I-V특성은 향상되지만 $g_m$은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RF 특성에서는 게이트 길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길이가 짧을수록 RF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easonal Variation in Scrotal Circumference and Semen Characteristics of Black Bedouin and Black Bedouin-Damascus Crossbred Bucks

  • Kridli, R.T.;Tabbaa, M.J.;Barakeh, F.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59-364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onthly variation in semen characteristics in Black Bedouin and Black Bedouin${\times}$Damascus crossbred bucks. Twenty one Black Bedouin Goat bucks (BG) and 20 $F_1$ Black Bedouin${\times}$Damascus crossbred goat bucks (CB) were used in the study. Animals were 2 to 5 years ol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ody weight (BW), body condition score (BCS), scrotal circumference (SC) and semen samples were evaluated monthly for all bucks. Body weight, BCS and SC differed according to month of collection (p<0.0001). Body weight and BCS were greater in the spring and summer months while SC reached their highest values during the autumn months.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breeds with respect to semen characteristics with the exception of ejaculate volume (p<0.05) and ejaculate appearance (p=0.053) which were greater in CB than in BG bucks. With the exception of ejaculate appearance, all semen characteristics were influenced by month of collection (p<0.05). Semen concentration and motility were better during the late summer and autumn months than during the spring. The percentage of abnormal spermatozoa declined from its greatest values in the spring to its lowest values in the autum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no effects of goat breed on most of the studied parameters. In general, most semen quality parameters were better in both breeds during the autumn than the spring months. Minimal variation in semen quality was observed between the summer and autumn months indicating the ability to use bucks for semen collection and for natural breeding during both of these seasons.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한 국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Populations in Korea Using Polymorphic Allozym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유전변이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집단들은 다른 기주, 지리적 위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평균 이형접합자빈도($0.443\pm$0.013)는 파밤나방 전체 집단의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냈다. 각 소집단들은 모두 Hardy-Weomberg 균형에서 벗어난 뚜렷한 동계교배 양식을 보였다. 이러한 높은 동계교배 효과는 지역고립에 의한 집단간 분화보다는 대부분 소집단 내 표본 추출 효과에 기인된 비임의교배에 의해 야기되었다. Wright($F_{ST}$ ) 와 Nei의 유전거리(D)는 소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낮음을 나타내지만, 일부 남쪽지역의 소집단들(해남과 사천)은 상대적으로 북쪽의 소집단들(안동과 군위)과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를 기초하여 추정된 세대당 이주 개체수는 서로 다른 기주 집단간 5.9마리, 지역 집단간 10.6마리, 시기 집단간 31.8마리였다. 이러한 유전분석 결과들을 보아 국내 파밤나방은 이들의 탁월한 집단간 이주 능력 때문에 집단간 유전분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 PDF

Annual and spatial variabilities in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 Noh, Jaesang;Kim, Youngjin;Lee, Jongsung;Cho, Soyeon;Choung, Yeo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4호
    • /
    • pp.229-240
    • /
    • 2020
  • Background: Genus Quercus is a successful group that has occupied the largest area of forest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e acorns are an important food source for both wild animals and humans. Although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is genus are highly variable, it had been rarely studied in South Korea. Therefore, in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i) we measured the acorn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an overwhelmingly dominant species in South Korea, for 3 years (2017-2019), (ii) evaluated the spatial-temporal variation of acorn production, and (iii) analyzed the effects of oak- and site-related variables on the acorn production. Results: The annual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increased 36 times from 1.2 g m-2 in 2017 to 43.2 g m-2 in 2018, and decreased to 16.7 g m-2 in 2019, resulting in an annual coefficient of variation of 104%. The coefficient of spatial variation was high and reached a maximum of 142%, and the tree size was the greatest influencing factor. That is, with an increase in tree size, acorn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2018 F = 16.3, p < 0.001; 2019 F = 8.2, p < 0.01). Elevation and slope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duction in 2019. However, since elevation and tree siz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 0.517, p < 0.001), the increase in acorn production with increasing elevation was possibly due to the effect of tree size. The acorn production of Odaesan for 3 years was 2.2 times greater than that of Seoraksan. This was presumed that there are more distribution of thick oak trees and more favorable site conditions such as deep soil A-layer depth, high organic matter, and slower slopes. Conclusion: As reported for other species of the genus Quercus, the acorn production of Q. mongolica showed large spatial and annual variations. The temporal variability was presumed to be a weather-influenced masting, while the spatial variability was mainly caused by oak tree size.

SnO2, CaO가 NiCuZn Ferrite의 전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lectromagnetic Property of NiCuZn Ferrite by Additive SnO2, CaO.)

  • 김환철;고재귀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1-126
    • /
    • 2003
  • (N $i_{0.2}$C $u_{0.2}$Z $n_{0.6}$)$_{1.085}$(F $e_2$ $O_3$)$_{0.915}$의 기본 조성에 첨가제 Sn $O_2$, CaO 첨가량과 ferrite의 공정을 변화시켜 시편의 전자기적 특성 및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첨가제에 따른 입자크기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N $i_{0.2}$C $u_{0.2}$Z $n_{0.6}$)$_{1.085}$(F $e_2$ $O_3$)$_{0.915}$을 소결시 1300 $^{\circ}C$에서 소결하는 것보다 1150 $^{\circ}C$에서 소결한 소결체의 손실이 더욱 적었다. CaO만 첨가할 때 0.2 wt%가 소결밀도를 크게하여 손실을 줄여주는 첨가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Sn $O_2$차 Ca $O_2$함께 첨가시 SnO2$_2$ 0.06 wt%, CaO 0.4 wt%가 손실을 크게 줄여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8F-FDOPA Brain PET/CT 검사의 영상 대조도 분석 및 섭취 시간에 따른 SUV변화 고찰 (A Study on analysis of contrasts and variation in SUV with the passage of uptake time in 18F-FDOPA Brain PET/CT)

  • 서강록;이정은;고현수;류재광;남기표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69-74
    • /
    • 2019
  • $^{18}F$-FDOPA는 뇌 종양의 아미노산 대사를 추적하는 방사성 의약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 종양의 아미노산 대사를 영상화 하여 악성 종양을 진단하는 $^{18}F$-FDOPA와 포도당 대사를 통한 $^{18}F$-FDG의 Brain PET/CT 검사 영상의 대조도 분석을 통해 병변의 검출 능력을 비교하고, $^{18}F$-FDOPA Brain PET/CT 검사에서 섭취 시간에 따른 SUV의 변화를 분석하여 최적의 영상 획득 시간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18}F$-FDOPA 와 $^{18}F$-FDG 두 영상에서 종양(Tumor)과 소뇌(Cerebellum)의 중심에 각각 약 $350mm^2$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SUV_{max}$를 측정하였고, 종양과 소뇌의 $SUV_{max}$ 비율(T/C ratio)을 산출하였고, $^{18}F$-FDOPA 투여 직후 30분 동안 획득한 리스트 수집 방식 데이터(List mode data)를 활용해 2분씩 15프레임으로 나눈 뒤 각 프레임 별로 종양과 소뇌 중심에 $SUV_{max}$를 측정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T/C ratio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종양의 평균 $SUV_{max}$를 비교해 본 결과, $^{18}F$-FDOPA Brain PET/CT 검사에서 $4.2{\pm}0.8$, $^{18}F$-FDG Brain PET/CT 검사에서는 $5.6{\pm}0.7$ 이었다. 또한, T/C ratio는 $^{18}F$-FDOPA 검사에서 $2.1{\pm}0.7$, $^{18}F$-FDG 검사에서는 $1.1{\pm}0.4$ 이었으며, $^{18}F$-FDOPA의 $SUV_{max}$$^{18}F$-FDG보다 낮지만 T/C ratio는 높게 나타나 종양 구별 능력이 더욱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t=-5.214, p=0.000). $^{18}F$-FDOPA의 섭취 시간에 따른 $SUV_{max}$와 T/C ratio를 분석한 결과, $SUV_{max}$와 T/C ratio의 Peak는 모두 6~8분에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원에서 $^{18}F$-FDOPA Brain PET/CT 검사에서 활용하는 10~30분의 영상과 Peak가 나타나기 시작한 6~26분의 영상을 비교한 결과 SUV와 T/C ratio가 각각 0.2, 0.1 증가하였다.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검사 소요시간의 단축 가능성과 추가적인 스캔 정보 활용을 통한 정확한 진단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