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_4^{2-}$

검색결과 20,948건 처리시간 0.044초

6가 크롬 처리를 위한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한 재생 분말 폐기물의 적용 (Application of Reused Powdered Waste Containing Aluminum Oxide on the Treatment of Cr(VI))

  • 임재우;김태환;강형식;김도선;김한선;조석희;양재규;장윤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9-18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유한 재생 분말 폐기물에 의한 Cr(VI)의 제거특성을 조사하였다. 가공하지 않은 폐기물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550^{\circ}C$에서 소성하여 재생 분말 폐기물(RPW)을 준비하였다. 수용액 상에서 Cr(VI)의 흡착 경향에 관한 연구를 위해 회분식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pH 변화, 흡착 속도, 등온 흡착 실험을 4가지 다른 이온세기 화학종($NO_3\;^-,\;CO_3\;^{2-},\;SO_4\;^{2-},\;PO_4\;^{3-}$)의 존재 하에서 수행하였다. $SO_4\;^{2-}$$PO_4\;^{3-}$가 존재할 때는 전체 pH 범위에서 크롬의 흡착이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NO_3\;^-$$CO_3\;^{2-}$에 의한 흡착 방해의 영향은 $SO_4\;^{2-}$$PO_4\;^{3-}$에 의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NO_3\;^-$$CO_3\;^{2-}$의 존재 하에 Cr(VI) 흡착은 pH 4.5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이온세기 화학종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r(VI)의 흡착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할때 RPW와 Cr(VI) 사이의 흡착은 외부배위권 착물을 통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RPW에 의한 Cr(VI)의 흡착은 2차 반응으로 잘 표현되었다. Langmuir 등온흡착식을 이용하여 pH 3에서 RPW에 의한 Cr(VI)의 최대 흡착량을 구한결과 $NO_3\;^-,\;CO_3\;^{2-},\;SO_4\;^{2-},\;PO_4\;^{3-}$가 이온세기 화학종으로 있을 때 각각 11.1, 10, 3.33, 5 mg/g으로 얻어졌다.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을 위한 철 제올라이트 촉매의 내황성에 미치는 조촉매 효과 (The Effect of Promoter on the SO2-resistance of Fe/zeolite Catalysts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with Ammonia)

  • 하호정;최준환;한종대
    • 청정기술
    • /
    • 제21권3호
    • /
    • pp.153-163
    • /
    • 2015
  • Fe/제올라이트 촉매의 저온에서의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 활성에 미치는 반응가스 중의 수분과 SO2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Fe/제올라이트 촉매에 조촉매로 Mn, Zr과 Ce를 첨가한 Fe/제올라이트 촉매로 수분과 SO2가 포함된 저온에서의 NO의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에서 조촉매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촉매는 이온교환법으로 철을 담지시킨 Fe/제올라이트 촉매에 건식 함침법으로 첨가하였다. 제올라이트는 디젤엔진에서의 SCR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NH4-BEA와 NH4-ZSM-5을 사용하였다. 촉매의 특성은 BET, XRD, SEM/EDS와 TEM/ED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반응가스 중에 5% H2O와 100 ppm SO2이 존재하는 경우 Fe/BEA 촉매의 NO 전환율은 200 ℃에서 77%에서 47%로 감소하였다. MnFe/BEA 촉매는 수분과 SO2가 존재하는 경우에 200 ℃에서 53% 이상의 NO 전환율을 나타내며 Fe/BEA 촉매보다 우수한 반응활성을 보였다. Mn은 Fe 성분의 분산도를 증가시키고 Fe의 소중합체 형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첨가제는 Mn이 Zr과 Ce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250 ℃ 이하의 온도에서 Fe/BEA 촉매가 Fe/ZSM-5 촉매보다 우수한 반응특성을 나타내었다.

발효배양액에서 Streptococcus parauberis Z49균주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간편한 추출 (Simple and Rapid Extraction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Streptococcus parauberis Z49 from Fermented Cultures)

  • 박홍제;강용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1-295
    • /
    • 2010
  • Streptococcus parauberis Z49가 생산하는 새로운 bacteriocin의 특성을 조사하고 수성 이상계를 사용하여 발효배양액에서 효율적으로 추출하였다. Nisin과 유사한 S. parauberis Z49의 bacteriocin은 $121^{\circ}C$에서 15 min 열처리해도 활성이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 (pH 2-12)에서 안정하며, M. luteus, Lactobacillus sp., L. fermentum, E. faecium, L. monocytogenes, and P. fluorescen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S. parauberis Z49의 발효배양액에 있는 bacteriocin을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PEG 600/$Na_2SO_4$ 수성 이상계의 최적조건은 PEG 600 15%, $Na_2SO_4$ 30%, NaCl 8% 이었으며, bacteriocin은 PEG층에서 농축이 되었다.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피해반응(被害反應)(II) - 엽피해(葉被害)와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중심으로 - (Injury Responses of Landscape Woody Plants to Air Pollutants - Visible Injury and Ethylene Production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28-336
    • /
    • 1993
  • $SO_2$에 의한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피해(被害)의 감수성(感受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처리(無處理), 0.5, 1.5 및 2.5ppm의 $SO_2$ 가스를 각각 하루에 4시간(時間)씩 6일간(日間) 처리(處理)하면서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과 내생(內生)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SO_2$ 농도(濃度)에 따른 묘목(苗木)들의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은 0.5ppm 이하에서는 조사대상(調査對象) 수종(樹種) 모두 피해증상(被害症狀)이 없었으며, 1.5와 2.5ppm 수준(水準)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가 나타났는데, 고농도(高濃度) 일수록 피해율(被害率)이 높았으며, 평균(平均) 피해율(被害率)은 튜립나무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스트로브잣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잣나무의 순(順)이었다. $SO_2$ 처리(處理)에 의한 내생(內生)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을 보면, 고농도(高濃度)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저농도(低濃度)에 서보다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이 많았으며, 발생량(發生量) 최대점(最大點)에 도달되는 시간(時間)도 빨랐다.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튜립나무가 은행나무에서보다 많았으며, 침엽수류에서는 스트로브잣나무, 소나무, 잣나무 순(順)으로 많았다. 특히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80% 이상(以上)이었던 스트로브잣나무는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ethylene 발생량(發生量)도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다가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40-50% 이상에 도달한 이후 ethylene 발생(發生)이 오히려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도시공단의 대기오염이 해송의 쇠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Decline of Pinus thunbergii forest in Urban Industrial Area)

  • 이성식;김정운;이총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3호
    • /
    • pp.1-10
    • /
    • 2012
  • 본 연구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SO_2$$NO_2$ 그리고 산성비 등의 건성 및 습성강하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공단지역 주변 산림과 대조지역의 해송림에서 해송림의 쇠퇴도 사이에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해송 잎의 쇠퇴와 엽록소 함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였다. 수관통과우의 pH는 도시공단지역이 봄철 4.65, 가을철 4.72이었고, 대조지역이 봄철 5.32과 가을철 5.34였다. 음이온 성분 중에서 ${NO_3}^-$의 농도는 도시공단지역이 $52.13mg/{\ell}$ 대조지역은 $37.85mg/{\ell}$이었다. ${SO_4}^{2-}$ 함량은 도시공단지역이 $57.89mg/{\ell}$, 대조지역이 $36.21mg/{\ell}$이었다. $Ca^{2+}$의 농도는 도시공단지역이 $27.27mg/{\ell}$, 대조지역이 $9.48mg/{\ell}$ 이었다. 해송 잎의 엽록소 a의 함량은 도시공단지역이 0.2378이었고, 대조지역은 0.4378이었다. 해송의 쇠퇴도는 도시공단지역 2.97, 대조지역 1.20이었다. 해송 임분의 쇠퇴도와 강우의 이온성분, $SO_2$, $NO_2$ 농도와 상관분석 결과에서 강우산도 상호간에는 부의 상관(r=-0.8672)이었고, 대기 중 $SO_2$ 농도는 정의 상관(r=0.8924)이었으며, $NO_2$ 농도도 정의 상관(r=0.8428)이었다. 이러한 산성강하물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pH(r=-0.8672), ${NO_3}^-$(r=0.6996), ${SO_4}^{2-}$(r=0.8497), $SO_2$ (r=0.8924), $NO_2$(r=0.8428)는 1% 수준에서 상관이 있었다.

진주시 주변 산림에서 안개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og at a Forested Area in Jinju)

  • 이총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51-57
    • /
    • 2012
  • 본 연구는 안개를 채취하여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고 금후 산성안개의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안개수의 pH는 2010년도가 4.3이었고, 2011년은 4.0으로서 강한 산성이었고, 전기전도도는 평균 477.2와 $562.7{\mu}s$이었다. 안개수의 음이온 중 봄철과 여름철 $NO_3{^-}$ 농도가 각각 267.1, 279.1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_4}^{2-}$ 농도가 각각 177.2, 198.6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 $NO_3{^-}$ 농도가 각각 217.7, 237.9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_4}^{2-}$농도가 각각 164.2, 190.1 mg/L이었다(p<0.05). 양이온은 봄철과 여름철 $Ca^{2+}$농도가 각각 221.3, 233.7 mg/L로서 가장 높았고, $Na^+$ 농도가 각각 125.1, 131.7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에 $Ca^{2+}$농도가 각각 196.8, 198.8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Na^+$ 농도가 각각 97.1, 117.2 mg/L이었다(p<0.05). 산성안개를 일으키는 안개수의 pH와 $EC(r=-0.9861^{**})$, $NO_3{^-}(r=-0.9677^{**})$, $SO{_4}^{2-}$ ($r=-0.9510^{**}$), $Ca^{2+}$는 1% 수준에서 상관이 있었다. 산성안개수의 생성에 영향을 하는 인자의 회귀 방정식을 나타내면 $Y(pH)=6.4627+0.9723X_2(EC)+0.9364X_4(NO_3{^-})+0.9044X_5(SO{_4}^{2-})+0.8049X_{10}(Ca^{2+})+0.6709X_8(K^+)\;(r^2=0.8787)$로 추정되었다.

황산바륨의 합성조건과 유동학적 특성 (Synthetic Conditions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rium Sulfate)

  • 신화우;김준희;최광식;장영수;이광표
    • 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38-547
    • /
    • 1992
  • Optimal synthetic condition of barium sulfate were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yield and bulkiness according to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proposed by G.E.P. Box and K.B. Wilson. Barium chloride and magnesium sulfate were utilized as reactants in order to prepare barium sulfat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reactant solutions was $60{\sim}100^{\circ}C$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range of the reactant solutions was $10{\sim}17.3%$ and $10{\sim}20%$ respectively, on the viewpoint of yield and bulkiness. The optimum mole ratio of $BaCI_2$ to $BaSO_4$ was in the range of $1.50{\sim}2.0$ and the optimum mole ratio of $BaCI_2$ to $BaSO_4$ was in the range of $1.50{\sim}2.0$ and the optimum reacting time range was $15{\sim}20$ minutes. The optimum drying temperature range was $110{\sim}130^{\circ}C$ from the viewpoint of yield, but it was $90{\sim}110^{\circ}C$ on the basis of bulkiness. Apparent viscosity of barium sulfate suspensions dispersed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Na. CMC was measured by using Brookfield synchrolectric viscometer model LVT, the relative equation, log ${\eta}_{sp}=A+B.{\phi}$ was examined and the equation was found to agree fairly well. 1 w/v% Na. CMC aqueous solution and 0.1 volume fraction of $BaSO_4$ powder were optimum in the preparation of $BaSO_4$ suspension showing highest viscosity at infinite shearing.

  • PDF

석탄-바이오매스 혼소발전 분위기에서 Fe-Cr-W 강의 고온부식 연구 (Study of High Temperature Corrosion of Fe-Cr-W Steel in Coal-Biomass Co-firing Power Plant Environment)

  • 김민정;샤오샤오;이동복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251-257
    • /
    • 2019
  • Fe-9Cr-2W steels were corroded at $600-800^{\circ}C$ for up to 100 hr in ($Na_2SO_4-K_2SO_4-Fe_2O_3$)-($CO_2-0.3%SO_2-6%O_2$) mixed gas. The poor condition samples formed thick oxide scales that consisted primarily of $Fe_2O_3$ as the major oxide and $Fe_3O_4$, FeO as the minor one through preferential oxidation of Fe. Fe-9Cr-2W steels corroded fast, forming thick and non-protective scale. The scale divided into the outer and inner layer, which consisted of the outer Fe-O layer and the inner (Fe,Cr)-O layer containing some (Fe,Cr)-S.

Westerly Winds in the Southern Ocean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Simulated in CCM3

  • Kim, Seong-Joong;Lee, Bang-Yo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97-304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response of the westerly winds over the Southern Ocean (SO) to glacial boundary conditions for the Last Glacial Maximum using the CCM3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In response to glacial boundary conditions, the zonally averaged maximum SO westerly winds weakened 20-35% and were displaced toward the equator by 3-4 degrees. This weakening of the SO westerly winds arose from a substantial increase in mean sea level pressure (MSL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O around Antarctica relative to the northern part. The increase in MSLP around Antarctica is associated with a marked temperature reduction caused by an increase in sea ice cover and ice albedo feedback during the glacial time. The weakened westerly winds in the SO and their equator-ward displacement might play a role in reducing the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 by reducing upwelling of the carbon rich deep water during the glacial time.

스트레스 물질에 의한 벼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패턴 변화 (Alterations of Glutathione Peroxidase Patterns by Stressor Treatment in Rice Seedling Roots)

  • 김윤경;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53-59
    • /
    • 2005
  • 동진벼 유묘 뿌리에 환원제인 ascorbic acid,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 중금속인 $NiCl_2$$CuSO_4$ 및 NaCl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PX)의 활성과 동위효소의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Ascorbic acid 처리에 의한 GPX의 총활성은 ascorbic acid 농도 증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GPX활성 증가는 GPX1 동위효소의 현저한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GPX는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성을 보였다. GPX의 활성은 0.1 mM salicylic acid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GPX는 methyl jasmonic acid의 농도증가에 의존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 mM methyl jasmonic acid에 의하여 약 3배의 활성증가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GPX1 동위효소는 salicyl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한 반면 methyl jasmon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PX의 총활성은 $NiCl_2$ 농도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CuSO_4$ 처리군의 경우 GPX의 총비활성도는 0.5 mM $CuSO_4$에 의하여 약 2배 증가한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NiCl_2$$CuSO_4$ 처리에 의한 GPX 활성증가도 주로 GPX1 동위효소의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NaCl 처리에 의한 GPX 총활성은 300 mM NaCl 처리군에서 약 1.7배 증가되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특이하게도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PX2 동위효소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