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_2SiO_3$ concentratio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3초

갈천리 야철로 내화재료의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Refractory Material of Kalcheon Iron Making Furnace)

  • 한상목;김경남;신대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0
    • /
    • 1993
  • Materials (refractory, stone) of iron making furnace excavated from Kalcheon were investigat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with an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AX), X-ray fluorescence(XRF), and X-ray diffraction(XR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refractory materials were $SiO_2(68.74\%),\;Al_2O_3(18.40\%),\;CaO(0.42\%),\;MgO(1.04\%)\;and\;K_2O(2.26\%)$ in weight ratio, which were the typical components presented in common clay.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for the stone and the glaze coated, alkali ion(K, Na, Ca) components of the glaze contained high concentration than that the stone. It was suggested that this chang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inds of fuels used.

  • PDF

Metal Cupferrate Complex 에 關한 硏究 (第 3 報) $H_2O$-Chloroform 系에서의 Hydrogen Cupferrate 의 分配係數에 關한 硏究 (Study on Metal Cupferrate Complex (Part III) Study on Distribution Ratio of Hydrogen Cupferrate in $H_2O-CHCl_3$ System)

  • 김시중;신두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3-287
    • /
    • 1963
  • $H_2O$-chloroform系에서의 hydrogen cupferrate의 分配係數와 水溶液相의 pH, 이온强度 및 cupferron의 濃度와의 關係를 살폈는데, 分配係數는 pH(1.50∼3.00사이)와 이온强度(0.1∼2.0사이)에는 無關하지만 cupferron의 濃度가 커질수록 分配係數는 增加했으며, 熱力學的인 分配係數의 完全한 값으로 120.0이란 새로운 값을 얻었다. 한편 cupferron의 濃度가 커짐에 따라 分配係數가 增加하는 까닭은 chloroform相에 monomer로서의 HCup. 의 活動度의 감소로 간주하고, chloroform相에서의 HCup. 의 濃度와 chloroform相에서의 HCup. 의 活動度係數와의 關係를 表示하는 實驗式 $-logf_{CHCl3}=0.1285C_{CHCl3}+{7.775C^2}_{CHCl3}$를 얻었으며, 이 式은 HCup. 의 chloroform 溶液 0.1mole/l order 以下의 濃度에서 大端히 잘 맞는다.

  • PDF

이소프로필 알코올 수용액의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 (Pervaporation of Aqueous iso-Propyl Alcohol Solution using NaA Zeolite Membrane)

  • 이용택;이혜련;안효성;박인준;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25-30
    • /
    • 2006
  • [ ${\alpha}$ ]-알루미나 튜브 지지체의 내부에 1Si : 1Na : 4Na : $6H_{2}O$의 비율로 제조한 합성 용액을 사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합성된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용하여 iso-propyl alcohol (IPA)/물 혼합물의 조성비와 조업 온도 변화에 따른 선택도와 투과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투과도는 공급 측 I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투과도는 $60^{\circ}C$에서 공급물의 IPA농도가 0.6 몰분율일 때 $4.0{\times}10^3g/m^2\;hr$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선택도는 IPA의 몰비가 0.8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0.9 이상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선택도는 $60^{\circ}C$, 0.8 몰분율에서 $1.8{\times}10^7$의 값으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NaA 제올라이트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은 기존의 증류공정과 비교 시 훨씬 우수한 선택적 물 분리 성능을 나타내었다.

Pd/SiO2-Al2O3 촉매상에서 아크로레인과 암모니아로 부터 피리딘과 β-피콜린의 합성 (Synthesis of Pyridine and β-Picoline from Acrolein and Ammonia on Pd/SiO2-Al2O3 Catalysts)

  • 천승우;최정근;오석연;나석은;박대원
    • 공업화학
    • /
    • 제2권2호
    • /
    • pp.138-146
    • /
    • 1991
  • 실리카-알루미나에 담지된 팔라듐 촉매를 제조하여 아크로레인과 암모니아로부터 피리딘과 ${\beta}$-피콜린의 합성반응에 사용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촉매표면에 생성된 침적물에 의하여 촉매의 활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TPR 실험 결과 이 침적물은 아크로레인과 암모니아의 축합 중합에 의하여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전화율과 피리딘 및 ${\beta}$-피콜린의 생성속도는 아크로레인의 분압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침적물의 양과 촉매재생 온도는 아크로레인의 분압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암모니아의 분압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알럼 슬러지 기반 흡착제를 이용한 수용액상 불소 및 비소 흡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luoride and Arsenic Ad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 Using Alum Sludge Based Adsorbent)

  • 이준학;지원현;이진수;박성숙;최궁원;강찬웅;김선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667-6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정수 처리장 침전지에서 채취한 알럼 기반의 슬러지를 수열합성 방법으로 흡착제(Alum Sludge Based Adsorbent, ASBA)를 제조하고, 이를 인공 수용액 및 광산배수 내 불소와 비소의 제거에 적용하여 ASBA의 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ASBA의 광물학적 결정 구조, 구성 성분 및 비표면적을 조사한 결과, ASBA는 표면에 불규칙한 기공과 87.25㎡ g-1의 비표면적을 갖는 흡착에 유리한 구조로 나타났다. ASBA를 구성하는 주요 광물 성분은 석영(SiO2), 몬모릴로나이트((Al,Mg)2Si4O10(OH)2·4H2O), 알바이트(NaAlSi3O8)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회분식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pH, 흡착 반응시간, 초기 농도 및 온도 등의 인자가 ASBA를 활용한 불소와 비소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용액의 pH 환경이 염기 영역으로 갈수록 불소와 비소의 흡착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흡착제의 영전하점은 pH 7 부근으로 나타났다. 등온 흡착실험을 통해 확인한 불소와 비소의 최대 흡착량은 각각 7.6mg g-1, 5.6mg g-1이었고, 동적 흡착실험에서 불소와 비소는 반응이 시작한 후 각각 8h, 12h이 경과하면서 흡착농도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착평형 실험을 통한 ASBA의 흡착 메커니즘을 알아본 결과. 불소와 비소의 흡착은 Langmuir 등온 흡착모델 및 Freundlich 등온 흡착모델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열역학적 연구에서는 25℃부터 35℃까지의 온도 증가에 따른 불소와 비소의 흡착 양상을 실험하여, 양의 값을 갖는 열역학적 상수 ΔH°와 ΔG°을 도출함으로써 ASBA의 흡착 특성은 흡열반응이자 비자발적인 반응임을 검증하였다. 재생실험 결과, ASBA는 1N NaOH을 이용하여 재생 가능하였으며, 광산배수를 이용한 불소와 비소의 흡착실험에서 각각 77%, 69%로 비교적 높은 제거율을 보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소규모 유량을 가지며 pH 환경이 산·중성 영역인 광산배수 내 불소와 비소가 흡착되어 제거되는 데 흡착제로서 ASBA가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경작지대 및 재배방법에 따른 논토양의 비옥도 분포 (Distribution of Soil Fertility in Paddy Fields as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and Topographical Regions)

  • 김동진;강다슬;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95-604
    • /
    • 2015
  • 논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경작지대 및 재배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토양 pH는 전라남도 간척지의 관행재배지를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적정기준(pH 5.5~6.5) 범위로 나타났다. EC는 이모작재배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긴 하였으나 우려할 수준은 아니었고, 이모작재배지에서 유효인산(avail. $P_2O_5$)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 담수상태에서 유효인산의 하천 유출로 인한 2차 오염이 우려된다. 토양유기물(SOM) 함량은 전라북도 지역 논토양에서는 대체적으로 적정기준 ($25{\sim}30g\;kg^{-1}$)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전라남도 지역 논토양은 적정범위 이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C는 일부 재배지를 제외하고는 적정기준($10{\sim}15cmol_c\;kg^{-1}$) 범위로 나타났고, 유효규산 (avail. $SiO_2$) 함량은 적정기준($157{\sim}180mg\;kg^{-1}$)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체로 경작 지대 및 재배방법에 따라 특이적 함량차이가 나타났다. 토양 화학성 상관성 분석에서 EC와 치환성 K, Ca, Mg, Na 이온은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SOM 함량과 CEC는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관계가 나타났고,avail. $SiO_2$는 pH, EC, 치환성 양이온(exch. K, Ca, Mg, Na), CEC와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T-N은 치환성 K 및 Mg 이온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옥도의 기준이 되는 대표적인 논토양을 설정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Boron 첨가량이 평면광회로용 실리카 박막의 UV 감광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ron Concentration on the UV Photosensitivity of Silica Glass Film for Planar Lightwave Circuit)

  • 권기열;조승현;신동욱;송국현;이낙규;나경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26-83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LC 소자용 브래그 격자에 적용되는 재료인 Ge, B 등이 다량 첨가되어 있는 실리카 유리에서 발생하는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조사하고 감광성의 발현 기구를 연구하였다. 관찰된 굴절률 변화의 최대값은 약 $10^{-3}$ 정도였으며 열처리 과정을 거치기 전후에 이러한 굴절률의 변화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굴절률의 변화를 UV 흡수도와 라만 스펙트림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시편에서 발생하는 감광성의 기구를 규명한 결과 굴절률 변화 요인이 유리 내에 존재하는 내부응력과 첨가된 B에 의하여 증대된 고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임을 밝혔다.

자가치유성을 갖는 고분자개질 방수아스팔트-몬모릴로나이트 composite 제조: 2. 3-aminopropyltriethoxysilane에 의한 몬모릴로나이트(K-10)의 실란화 최적화 검증 (Preparation of Self-repairing Polymer-modified Waterproofing Asphalt-montmorillonite Composite: 2. Validation of Optimized Silylation of Montmorillonite (K-10) Using 3-aminopropyltriethoxysilane)

  • 이은주;이종훈;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409-418
    • /
    • 2017
  • 자가치유성을 갖는 고분자개질 빙수아스팔트-몬모릴로나이트(MMT) composite 제조를 위하여 양이온($Na^+$)교환 처리된 K-10 (Na-MMT-K)에 대한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 개질의 특성을 규명하고 적정개질조건을 FTIR, XRD, NMR 및 TGA 등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되었다. APS 개질된 Na-MMT-K (S-Na-MMT-K)에 대한 FTIR 분석에서 실란화 반응과 관련된 실록산 결합(Si-O), 아민기, -$CH_2$- 및 -OH 기의 피크의 세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서 적정 반응시간, 적정교반시간, 적정농도 및 적정반응온도는 각각 2~3 h, 20 min, 7.5 w/v% 및 $50^{\circ}C$가 도출되었다. 또한 TGA 결과로부터 도출된 적정개질조건도 FTIR 분석에서 도출한 적정개질조건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 도출된 적정개질조건들은 Lee 등의 XRD 분석에서 제시된 기준(criterion)에 의해 도출된 적정반응시간, 적정교반시간, 적정 APS농도 및 적정반응온도와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XRD 분석에서 제시된 기준(criterion)이 검증되었다.

영월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된 석탄회의 광물학적, 지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FA (Pulverised Fuel Ash) from Yongwol Power Plant)

  • 이규호;최선경;문희수;이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5호
    • /
    • pp.443-450
    • /
    • 199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nges during natural weathering, and assess the mobility of major and trace elements. Yongwol power plant utilize anthracite coal which is mainly composed of illite, kaolinite, pyrophyllite and quartz in mineralogy. Coal and coal-derived fly ash samples were sampl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Yongwol coal-fired power plant in Korea. Short term weathered fly ash were also collected in ash disposal mound, and two profile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an ash near the power plant. Amorphous materials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fly ash, and mullite, quartz, magnetite and heamatite are present in all coal-derived fly ash. In chemistry, Si and Al are the most abundant elements of the total content. The ash samples were fractionated into upper $90{\mu}m$ and under $45{\mu}m$ size. Finer particles show higher concentrations in metal contents including Co, Cr, Cu, Ni, V, Zn and Pb. Concentration of Zn and Pb are nearly 4 times higher concentration in the finer particles. For the profile samples, the concentrations of $SiO_2$, $Na_2O$, MgO and $K_2O$ generally show increasing trends with depth, whereas those of $Fe_2O_3$ and $TiO_2$ appear to decrease with depth. Content of MnO does not show any specific depth trend. For the trace elements, Co, Cu, Ni and V show increasing concentrations with depth.

  • PDF

경기북부지역 정수장 및 약수터의 미네랄 성분 분포 연구 (Mineral Components of Water Supply Plants and Spring Waters in Northern Gyeonggi Area)

  • 송희일;임한수;박경수;박현구;이현진;조미현;김영연;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8-24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mineral components, health and taste index for water supply plants, spring water located in northern Gyeonggi area and bottled waters in market to analyze Ca, K, Mg Na, Si, $F^-$ and $SO_4{^{2-}}$. Method: The samples were source and tap water in 15 water supply plants over 9 river basin, 172 spring water and 20 bottled water. The Ca, K, Mg Na and Si were analyzed by ICP-OES. The $F^-$ and $SO_4{^{2-}}$ were determined by Ion Chromatograph. Then, taste and health index were calculated using Hashimoto equation. Result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ajor minerals showed in same order of Ca > Na > Mg > K for all kinds of drinking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spring waters and bottled waters. Total concentration of major minerals (Ca, K, Mg, Na) was calculated that showed 26.79 mg/L of tap water, 21.81 mg/L of spring water, 32.94 mg/L of bottled water on average. So, the spring waters indicated the lowest minerals sum. The tap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was categorized to Group I, II for 33.3, 44.4% according to K-index and O-index. Otherwise, spring water was classified as Group I, II for 44.0, 46.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 and O-index,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 showed higher K-index which means good for the health. Otherwise, spring water indicated higher O-index that people can feel more delicious than tap water. Futhermore, the mineral distribution of source water from water supply plants and spring water had indicated high correlation with geologic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