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HCO_3$ solutio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2초

대두의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Water Uptake during Soaking of Soybeans)

  • 김동연;서인숙;이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88
  • 대두를 tap water와 0.5% $NaHCO_3$ 용액에 침지시켜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침지온도가 높아 질수록 수화속도는 빠르고 세품종중 크기가 가장 작은 단엽이 tap water에 침지 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모두 빨랐다. Arrhenius식을 사용하여 수화에 따르는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일정 수분 함량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침지온도와의 관계를 z값으로 나타내었을때 대두의 수화도가 증가 할수록 tap water에 침지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z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과칼륨혈증의 심전도변화와 중조(重曹)투여가 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on Electrocardiogram in Hyperkalemia)

  • 조영호;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6권1호
    • /
    • pp.41-50
    • /
    • 1982
  • 과칼륨혈증(Hyperkalemia)시의 심전도의 변화를 흰쥐에서 관찰하고 특히 평균 QRS 전기축의 변화, P-Q 및 Q-T 간격의 변화와 중조$(NaHCO_3)$투여에 의한 치료적 효과가 흰쥐에 심전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을 4군으로 나누고 정상대조군, KCl만 투여군, $NaHCO_3$만 투여군 및 KCl 투여 1시간 반후 $NaHCO_3$투여군에 대해 그 소견을 비교 고찰하였다. KCl투여군에서 분시 심박수는 초기에 급속히 감소하여 그대로 유지되며 후기에는 급격히 서맥이 초래되며 심장이 정지된다. 평균 QRS 전기축은 후기에 좌측으로 편의한다. T파의 파고는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후기에는 변화가 없었다. P-Q 간격은 초기에 연장되다가 말기에 회복되었으며 Q-T 간격도 초기에 연장 되었다가 후기에 점차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NaHCO_3$만의 투여군은 심박수가 초기에 급격히 감소하나 후기에는 반대로 미미한 회복 경향을 보인다. 평균 QRS 전기축은 초기에 변화가 없었고 말기에는 좌측으로 편의하였으며 T파의 파고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P-Q간격 및 Q-T 간격은 초기에 연장되다가 말기에 단축되었다. KCl투여 1시간 반 후 과칼륨혈증상태에서 $NaHCO_3$를 투여한 군에서는 심박수의 회복은 없었다. 평균 QRS 전기축의 우측편의 경향과 감소되었던 R파고의 증가와 증가되었던 T파의 파고 회복경향이 있었다. P-Q 간격은 계속 연장되었으며 Q-T 간격은 중조투여직전에 비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Na2CO3와 NaHCO3로 활성화한 Na-벤토나이트의 팽창특성과 Cd와 Pb의 상대적 등온흡착곡선 (Swelling Indexes and Relevant Removal of Cd and Pb of the Na-bentonite activated with Na2CO3 and NaHCO3)

  • 정덕영;양재의;오택근;이교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4-70
    • /
    • 2007
  • 본 실험은 서로 다른 온도조건하에서 두 가지 Na 화합물을 이용하여 Ca-벤토나이트를 Na-벤토나이트 전환하였다. 두 가지 Na 화합물은 양이온 원으로 Na를 가지고 있는 5가지 화합물 중에서 선택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팽창능은 N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반면 온도가 증가할수록 최대 Na 농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Na_2CO_3 은 조사된 Na-화합물 중에서 최대 팽창능을 보여주었으며 팽창지수는 처리온도가 최대 100 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로 증가하였다. 동일 Na 처리농도에서는 팽창지수는 체류시간이 증가하거나 온도가 높아질 때 다소 감소하였다. 전환된 Na-벤토나이트의 흡착은 조사된 Pb나 Cd의 평형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전환된 Na-벤토나이트에 Pb와 Cd의 흡착은 5 % $Na_2CO_3$. ${\approx}$ 5% $NaHCO_3$ > 3 % $NaHCO_3$ > 3 % $Na_2CO_3$ > 1 % $NaHCO_3$ > 1 % $Na_2CO_3$ > 원형 Na-B > 원형 Ca-B.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CEC에 따른 흡착의 결과와는 다소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미역폐기물로부터 알기네이트의 추출 및 디알기네이트의 이용 (Extraction of Alginate from Waste-Brown Seaweed and Use of Dealginate)

  • 박권필;김태희;김영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3-68
    • /
    • 2003
  • Effective alginate extraction from waste-brown seaweeds was studied. The waste-brown seaweeds almost consist of stems of seaweeds. Alginate could be obtained from the stems as well as leaves of seaweed. Ultrasonic vibration(47kHz) facilitated filtering step in the alginate extraction process. Among various alkalies for alginate extraction, $NaHCO_3$ was most appropriate concerning use of dealginates. The yield of alginate extraction using $NaHCO_3$ 2wt% solution was 19.3% at $60^{\circ}C$. The dealginates from $NaHCO_3$-extraction process have been found most suitable food for red-worms.

대두(大豆)의 Alkali 처리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ty of Soybean Milk)

  • 오준세;이규희;이원용;이가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88
  • 두유의 고삽미와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에 NaOH, $NaHCO_3$ 용액을 처리하여 phenol 화합물의 변화를 HPLC로 정량하였고, 두유중의 beany flavor를 GC로 분석하였으며, 두유의 일반성분 및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은 chlorogenic, p-hydroxybenzoic, p-coumaric, ferulic, gentis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중 chlorogenic acid는 주로 결합형, 기타 다른 phenol 화합물은 유리형으로 대부분 존재하였다. 대두를 0.1% NaOH용액으로 8시간 침지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는 85% 이상이 제거되었다. 대두중의 phenol화합물 제거에는 NaOH용액이 효과적이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거율도 높아졌으며, 0.1% NaOH용액에게서 $90^{\circ}C$, 1시간처리하였을 때 phenol 화합물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물, 0.1% NaOH 및 0.5% $NaHCO_3$ 용액으로 침지하여 제조한 두유의 일반성분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NaOH 용액 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beany flavor 중 hexanol은 증가하였으나, hexanal, propanal, pentanal은 60% 이상이 제거되었다. NaOH 용액처리, 고온침지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yellowness는 증가하였으나 물과 저온 침지처리에서는 whiteness가 증가하였다. 대두를 0.1% NaOH 용액으로 $9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 PDF

모의 FP-$(Na_2CO_3-NaHCO_3)-H_2O_2$ 용액으로부터 NaTPB 및 TPPCl에 의한 Cs 및 Re(/Tc)의 침전 거동 (Precipitation behaviors of Cs and Re(/Tc) by NaTPB and TPPCl from a simulated fission products-$(Na_2CO_3-NaHCO_3)-H_2O_2$ solution)

  • 이일희;임재관;정동용;양한범;김광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2
    • /
    • 2010
  • 본 연구는 $H_2O_2$가 함유된 ($Na_2CO_3-NaHCO_3$) 혼합 탄산염 계에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용해할 시 U과 함께 공용해 되는 Cs, Te, Tc, Mo 등의 핵분열생성물로부터 Cs과 Tc의 선택적 침전 제거 거동을 규명하였다. Cs과 Tc은 각각 장수명 핵종으로 지하에서의 빠른 핵종 이동성과 고방열성 등으로 최종 처분 시 처분 환경을 저해하는 핵종으로 처분 안전성 제고 측면에서 이들의 제거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Cs과 Re (Tc 대용원소)의 선택적 침전제로는 각각 NaTPB, TPPCl를 선정하였으며, NaTPB에의한 Cs 침전 및 TPPCl에 의한 Re 침전 모두 5분 이내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졌으며, 온도를 $50^{\circ}C$, 교반속도를 1000 rpm 까지 증가시켜도 이들의 침전 속도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NaTPB 침전 및 TPPCl 침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침전 용액의 pH 이며, 특히 TPPCl에 의한 Re의 선택적 침전의 경우 낮은 pH 에서 Mo가 Re과 공침되므로 pH 9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NaTPB]/[Cs] 및 [TPPCl]/[Re]의 몰 농도 비 1 이상에서 Cs 및 Re을 각각 99% 이상 선택적으로 침전 제거할 수 있었다.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정자의 냉장보존에 미치는 희석액의 효과 (Effect of Diluents on the Cold Storage of Sperm in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 라성주;이성훈;고강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5-149
    • /
    • 2010
  •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해 희석액에 따른 보존효과를 비교하였다. 피조개 정액을 채취하여 600 mM NaCl, Stein solution, 300 mM, 600 mM glucose (10 mM Hepes-pH 7.8), Ringer's solution (230 mM NaCl, 8 mM KCl, 2 mM $CaCl_2$, 3.7 mM $MgCl_2$, 0.2 mM $NaHCO_3$, 10 mM Hepes-pH 7.8), 20%, 25% ASW (NaCl 2.7 g + KCl 0.07 g + $CaCl_2$ 0.12 g + $MgCl_2$ 0.46 g + $NaHCO_3$ 0.05 g + distilled water 100 ml)를 각각 사용하여 $4^{\circ}C$에서 보관하였다. 피조개 정자의 보존효과는 정자의 운동성과 생존율로 평가였다. 피조개 정자는 Ringer's solution에서 7일간 냉장 보전하였을 때 운동성과 생존율을 가장 높았으며, 희석액의 적정 pH는 7.5 이었다.

IRN-150 혼상수지의 이온 흡착특성 및 폐수지로부터 탈착용액을 이용한 $^{14}C$ 핵종의 제거 특성 (Io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IRN-150 Mixed Resin and Removal Behavior of $^{14}C$ Radionuclide from Spent Resin by Stripping Solutions)

  • 양호연;원장식;최영구;박근일;김인태;김광욱;송기찬;박환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73-384
    • /
    • 2006
  • 중수로 원전내 여러 계통으로 부터 발생된 폐수지내에는 $^{14}C$ 핵종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Class A 및 C 폐기물로 분류되는 폐수지의 적정 처리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IRN-150 혼상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비방사성 $HCO_3$ 이온과 양이온의 흡착 특성 및 탈차용액을 이용한 $HCO_3$ 이온의 제거 특성을 고찰하였다. IRN-150 수지의 $HCO_3$ 이온의 흡착능은 이론값에 근접한 11 mg-C/g-IRN-150을 나타내었고, $CS^+,\;CO_2^+,\;Na^+,\;NH_4^+$ 양이온의 흡착 친화도를 단일성분 및 복합성분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러 가지 탈착용액을 이용한 폐수지로부터 $HCO_3$ 이온의 제거 특성을 평가한 결과, $^{14}C$ 핵종을 전량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NaNO_3,\;Na_3PO_3$ 보다도 $NH_4H_2PO_4$ 용액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Oryza sativa cv. Tongil) 뿌리에 있어서 Nitrate 환원에 필요한 환원력의 공급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rce of Reductants for Nitrate Reduction in Rice (Oryza sativa cv. Tongil) Roots)

  • Chang, Nam-Kee;Choe, Hong-Gw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2호
    • /
    • pp.85-90
    • /
    • 1983
  • There was a decrease in nitrate reductase activity (NRA) measured in vivo in rice roots (Oryza sativa cv. Tongil) grown in anaerobic culture solution. But it was reversed by addition of malonate to the in vivo nitrate reduction assay medium. Malonate increased the in vivo NRA during 2-5 hours incubation and decreased it in longer incubation hours. In vivo NRA was stimulated by addition of NaHCO3 to the assay medium, but not by Na2CO3. The stimulation of NRA by NaHCO3 was not observed in shoot removed rice roots. It is suggested that CO2 from NaHCO3 is carboxylated by phosphoenol pyruvate carboxylase, results in increasing the malate contents in the roots, and stimulates the in vivo NRA. NADH needed in nitrate reduction is supported by malate oxidation. In rice roots, it seems probable that malate oxidation in the mitochondria is more important to nitrate reduction than malae oxidation in cytoplasm.

  • PDF

Physiological Factors Depressing Feed Intake and Saliva Secretion in Goats Fed on Dry Forage

  • Sunagawa, K.;Ooshiro, T.;Nakamura, N.;Ishii, Y.;Nagamine, I.;Shinjo,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60-69
    • /
    • 2007
  • Ruminants eating dry forage secrete large volumes of saliva which results in decreased plasma volume (hypovolemia) and the loss of $NaHCO_3$ from the blood.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or not hypovolemia and the loss of $NaHCO_3$ from the blood in goats brought about by dry forage feeding actually depresses feed intake and saliva secretion, respectively. The present experiment consisted of three treatments (NI, ASI, MI). In the control treatment (NI), a solution was not infused. In the ASI treatment, i.v. infusion of artificial parotid saliva was initiated 1 h before feeding and continued for the entire 2 h feeding period. In the MI treatment, iso-osmotic mannitol solution was infused. The NI treatment showed that hematocrit and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due to decreased circulating plasma volume brought about by feeding. In the ASI treatment, the fluid and $NaHCO_3$ that were lost from the blood because of a feeding-induced acceleration of saliva secretion was replenished with an intravenous infusion of artificial parotid saliva. This replenishment lessened the levels of suppression on both feeding and parotid saliva secretion. When only the lost fluid was replenished with an intravenous infusion of iso-osmotic mannitol solution in the MI treatment, the degree of feeding suppression was lessened but the level of saliva secretion suppression was not affec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rked suppression of feed intake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dry forage feeding was caused by a feeding-induced hypovolemia while the suppression of saliva secretion was brought about by the loss of $NaHCO_3$ from the blood due to increased saliva secretion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