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F-{\kappa}B$ activation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39초

초오의 항알레르기 염증반응 및 기전탐색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about Pathway of Aconiti Ciliare Tuber on Allergic Reaction of Inflammation)

  • 김원일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55-166
    • /
    • 2010
  • Obje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way of anti-allergic effects of Aconiti Ciliare Tuber (ACT). Methods : We examined cell viability, ${\beta}$-hexosaminidase release, pro-inflammatory cytokines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p65) activation, inhibitor kappa B-alpha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MAPKs activation from RBL-2H3 cells pre-treatment by ACT of 1.0 mg/ml, 2.0 mg/ml separately. Results : We observed that ACT reduced the secretion of ${\beta}$-hexosaminidase, TNF-${\alpha}$, IL-4 and the expression of COX-2 mRNA in RBL-2H3 cells. Futhermore, ACT inhibited the levels of activation of NF-${\kappa}B$ (p65) protein, ERK MAPK, and degradation of $I{\kappa}B-{\alpha}$ in RBL-2H3 cel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ACT has an anti-histamine effect and inhibitory effect of NF-${\kappa}B$ (p65) through regulation of $I{\kappa}B-{\alpha}$ degradation. This improves that ACT could be used as an anti-allergic medicine.

천맥탕(天麥湯)의 알레르기 염증반응 및 기전탐색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about the Pathway of Inflammatory Allergic Reaction of Cheonmaec-tang)

  • 김용현;이승연;김원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3-103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way of anti-allergic effects of Cheonmaec-tang (CMT). Methods We examined the cell viability, $\beta$-hexosaminidase release, pro-inflammatory cytokines secretion and mRNA expressions,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p65) activation, inbibitor kappa B-alpha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MAPKs activation in RBL-2H3 cells pre-treated by CMT of 2.0 mg/ml, 4.0 mg/ml separately. Results We observed that CMT reduced the secretion of $\beta$-hexosaminidase, TNF-$\alpha$, IL-4 and the expression of COX-2 mRNA in RBL-2H3 cells. Furthermore, CMT inhibited the levels of activation of NF-${\kappa}B$ (p65) protein, ERK MAPK, and degradation of $I{\kappa}B-{\alpha}$ in RBL-2H3 cel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MT has an anti-histamine effect and inhibitory effect of NF-${\kappa}B$ (p65) through regulation of $I{\kappa}B-{\alpha}$ degradation. These suggest that CMT could be used as an anti-allergic medicine.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에 의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Through NF-${\kappa}B/I{\kappa}B$ Pathway in Lung Epithelial Cells)

  • 박계영;이승희;황보빈;임재준;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유철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2-342
    • /
    • 2000
  • 연구배경 :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폐질환의 중요한 매개물질이다. 폐 상피세포는 염증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interleukin, chemokines, colony stimulating factors와 growth factor등을 생산 및 분비함으로써 국소 염증 부위에서의 사이토카인 network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 기전에 대한 이해는 염증성 폐질환의 기전규명과 이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에 생각된다. 대부분의 사이토카인은 NF-${\kappa}B$전사인자에 의해 발현되는데 폐 상피세포에서 염증매개 사이토키인의 발현과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BEAS-2B, A549, NCI-H157, NCI-H719 세포에서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L-8과 TNF-$\alpha$ mRNA의 발현 양상을 평가하였고 이들의 발현과 관찰하였고 NF-${\kappa}B/I{\kappa}B$ 경로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L-l$\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I{\kappa}B{\alpha}$$I{\kappa}B{\beta}$의 분해 양상을 관찰하였다. 폐 상피세포의 종류에 따른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기전을 규명하고자 IL-1$\beta$와 TNF-$\alpha$ 자극에 의한 $I{\kappa}B{\alpha}$의 인산화와 기저상태에서 IKK$\alpha$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결과 :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alpha}$$I{\kappa}B{\beta}$가 분해되었고 NF-${\kappa}B$의 활성화가 관찰되었으며 IL-8과 TNF-$\alpha$mRNA의 발현이 유도되었다. NCI-H719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I{\kappa}B$ 분해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 및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BEAS-2B, A549, NCI-H157 세포에서는 IL-1$\beta$와 TNF-$\alpha$ 자극으로 ${\kappa}B$의 인산화가 관찰되었지만 NCI-H719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기저상태의 IKK$\alpha$ 발현은 세포간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폐 상피세포에서 NF-${\kappa}B/I{\kappa}B$ 경로는 염증매개 사이토카인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일부 세포에서는 NF-${\kappa}B/I{\kappa}B$ 경로 조절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IKK보다 상위 단계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gulation of the Immune System by NF-κB and IκB

  • Liou, Hsiou-Chi
    • BMB Reports
    • /
    • 제35권6호
    • /
    • pp.537-546
    • /
    • 2002
  • NF-${\kappa}B$/Rel transcription factor family participates in diverse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embryo development, hematopoiesis, immune regulation, as well as neuronal functions. In this review, the NF-${\kappa}B$/Rel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their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immune system will be discussed. NF-${\kappa}B$/Rel members execute distinct functions in multiple immune cell types via the regulation of target genes essential for cell proliferation, survival, effector functions, cell trafficking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formation of lymphoid architecture. Consequently, proper activation of NF-${\kappa}B$/Rel during immune responses to allergens, auto-antigens, allo-antigens, and pathogenic infection is crucial for the integrity of host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Murine AIDS 감염쥐 splenocytes에서 $NF-{\kappa}B$의 활성화 억제를 통한 pycnogenol의 Th2 cytokines의 mRNA 발현 조절 효과 (Pycnogenol, a Standardized Extract of French Maritime Pine Bark, Inhibited the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Th2 Cytokines by Suppressing $NF-{\kappa}B$ Activation in Primary Splenocytes of C57BL/6 Mice with Murine AIDS)

  • 이정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29-834
    • /
    • 2006
  • HIV 감염 후 AIDS로의 진행과정에서 cytokines의 변화는 필수적인 결과로서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AIDS 동물모델을 사용하여 Pyc Cytokines발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 매개체로서 $NF-{\kappa}B$의 관련성 및 작용 기작 확인에 초점을 두었다. LP-BM5 retrovirus에 감염된 C57BL/6 생쥐를 이용하여12주간에 걸친 실험에서Pyc 투여는 Th1과 Th2 cytokines의 혈중농도를 조절하여 murine AIDS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Th2 cytokines의 mRNA 발현을 억제함에 따라 Th1 cytokines의 혈중농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Pyc가 Th2 cytokines을 선택적으로 transcription level에서 조절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Th2 cytokines mRNA 발현 조절은 $NF-{\kappa}B$의 활성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AIDS 동물모델에서 $NF-{\kappa}B$의 조절을 통한 cytokines의 발현 조절의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Pyc의 역할에 대해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향후 murine AIDS 진행 억제제로서의 Pyc의 기작에 대한 일면을 보인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Inulin stimulates NO synthesis via activation of PKC-$\alpha$ and protein tyrosine kinase,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NF-$textsc{k}$B by IFN-ν-primed RAW 264.7 cells

  • Koo, Hyun-Na;Hong, Seung-Heon;Kim, Hyung-Mi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3년도 Annual Meeting of KSAP : International Symposium on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s on Obesity
    • /
    • pp.78-78
    • /
    • 2003
  • Inulin, an active component of Chicorium intybus root, has been shown to stimulate the growth of bifidobacteria, and inhibit colon carcinogenesis. NO mediates a number of the host-defense functions of activated macrophages, including antimicrobial and tumoricidal activity. We examined the effect of inulin on the synthesis of NO in RAW 264.7 cells. Inulin alone had no effect, whereas inulin with IFN-ν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NO production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Synergy between IFN-ν and inulin was mainly dependent on inulin-induced TNF-${\alpha}$ secretion. Also, protein kinase C (PKC)-${\alpha}$ was involved in the inulin-induced NO production. Inulin-mediated NO production was inhibited by the protein tyrosine kinase (PTK) inhibitor, tyrphostin AG126. Since iNOS gene transcriptions have been shown to be under the control of the NF -$\kappa$B/Rel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we assessed the effect of inulin on NF -$\kappa$B/Rel using an EMSA. Inulin produced strong induction of NF-$\kappa$B/Rel binding, whereas AP-l binding was slightly induced in RAW 264.7 cells. Inulin stimulated phosphorylation and degradation of I$\kappa$B-${\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IFN-ν-primed RAW 264.7 cells inulin might stimulate NO synthesis via activation of PKC-${\alpha}$ and PTK, resulting in the activation of NF-$\kappa$B.

  • PDF

$I{\kappa}B{\alpha}$-SR 유전자이입이 Ci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kappa}B{\alpha}$-SR Gene Transfer on the Sensitivity of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to Cisplatin and Paclitaxel)

  • 이석영;설자영;박경호;박근민;황용일;김철현;장승훈;권성연;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22-134
    • /
    • 2001
  • 연구배경 : 종양 세포들이 항암제에 대하여 저항을 나타내는 기전인 'apoptosis에 대한 저항'에 NF-${\kappa}B$의 활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되고 있다. 즉, NF-${\kappa}B$가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억제하는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종양 세포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제시되 고 있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항암 치료의 내성에 대하여 외부 자극으로 분해되지 않는 $I{\kappa}B{\alpha}$-SR의 삽입으로 NF-${\kappa}B$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항암제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결 과 :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로 NCI H157, NCI H460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Ad-$I{\kappa}B{\alpha}$-SR를 transduction 한 후 cisplatin을 처치한 군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이 억제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시 $IC_{50}$이 2-3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또한 paclitaxel의 경우에도 Ad-$I{\kappa}B{\alpha}$-SR로 감염된 폐암세포주는 대조군과 비교시 IC50이 2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의 기전으로 cisplatin의 경우는 $I{\kappa}B{\alpha}$-SR의 이입이 NF-${\kappa}B$의 활성을 억제 함으로 인한 apoptosis의 증대 때문인 것으로보인다. 결 론 : 폐암세포주에서 Ad-$I{\kappa}B{\alpha}$-SR transduction은 Cl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 앞으로 폐암을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폐상피세포에서 Triptolide에 의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 전사활성 억제기전 (Triptolide-induced Transrepression of IL-8 NF-${\kappa}B$ in Lung Epithelial Cells)

  • 지영구;김윤섭;윤세영;김용호;최은경;박재석;김건열;채기남;곽상준;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52-66
    • /
    • 2001
  • 연구배경 : 폐상피세포가 능동적으로 IL-8을 분비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NF-${\kappa}B$는 IL-8 발현 조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사인자이다. Triptolide는 최근 밝혀진 NF-${\kappa}B$ 억제제로서 중국한약제인 뇌공등 (Tripterygium Wilfordii)에서 추출된약제이다. 연자들은 새로운 NF-${\kappa}B$ 억제제인 triptolide가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triptolide가 염증성 폐질환에서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폐상피세포로서 A549 사용하였고 triptolide는 미국의 Pharamagenesis(Palo Alto, CA)사로부터 제공받았다. NF-${\kappa}B$ 활성유도물질로는 IL-$1{\beta}$(R&D)와 PMA(Sigma)를 이용하였다. IL-8 유전자의 발현은 RT-PCR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NF-${\kappa}B$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IL-8 NF-${\kappa}B$ luciferase construct를 안정적으로 유전자주입한 A549 IL-8 NF-${\kappa}B$ luciferase 세포주를 제조해 사용하였고 NF-${\kappa}B$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EMSA)를 이용하였다. p65 전사활성을 assay하기 위해서는 Gal4-p65 fusion protein expression system을 유전자주입과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Transcriptional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 하가 위하여서는 CBP(CREB-binding protein)와 SRC-1(steroid receptor coactivator-1) 발현 벡터를 유전자 주입하고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 Luciferase assay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자극에 의한 IL-8 NF-${\kappa}B$ 활성을 의미있게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IL-8 ELISA와 RT-PCR로 triptolide가 PMA와 IL-$1{\beta}$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L-8 발현을 각각 단백질과 mRNA 수준에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Triptolide가 PMA와 IL-$1{\beta}$에 의한 IL-8 NF-${\kappa}B$의 전사활성을 억제시킨 반면 EMSA와 $I{\kappa}B{\alpha}$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triptolide가 NF-${\kappa}B$ DNA 결합과 $I{\kappa}B{\alpha}$의 분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사활성 억제와 DNA 결합 간의 불일치의 원인으로서는 DNA 결합 이후에 발생하는 핵내 에서의 transactivation에 triptolide가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되어 p65 transactivation study를 Gal4-p65T A(p65의 transactivation domain) fusion protein 발현 시스템과 luciferase assay를 이용하여 시행한 결과 triptolide가 p65 transactivation을 억제함으로써 NF-${\kappa}B$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유전자주입 실험에서 triptolide에 의한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대해 CBP나 SRC-1의 과발현이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 Triptolide는 폐상피세포에서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을 억제하고 그 기전은 $I{\kappa}B{\alpha}$ 경로가 아닌 핵내에서의 p65 transactivation 억제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는 CBP나 SRC-1과 같은 coactivator가 관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Sulforaphane Inhibits Ultraviolet 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Lee, Sam Youn;Moon, Sun Rock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22-928
    • /
    • 2012
  • Sulforaphane [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butane] is one of the most abundant isothiocyanates in some cruciferous vegetables, especially broccoli. Sulforaphaene has been shown to exhibit many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However, the anti-skin photoaging effects of sulforaphane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ulforaphane on MMP-1 and -3 expressions of the human dermal fibroblasts via various in vitro experiments and elucidated the pathways of inhibition. Western blot analysis and real-time PCR revealed sulfiraphane inhibited UVB-induced MMP-1 and -3 express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UVB strongly activate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ctivity, which was determined by NF-${\kappa}B$ DNA binding activity. UVB-induced NF-${\kappa}B$ activation and MMP expression were completely blocked by sulforpha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lforaphane could prevent UVB-induced MMPs expressions through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LPS 자극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칼슘의존성 ROS와 NO 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CLA의 억제효과 (Effect of trans-10, cis-12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alcium-Dependent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최태원;강병택;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5
  • 염증상태에서의 CLA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 있어서 ROS와 NO생산 및 NF-${\kappa}B$ 활성에 대한 t10c12-CLA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세포질 내 칼슘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LPS 자극으로 ROS 생산은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칼슘결합제인 BAPTA/AM에 의해 감소하였다. t10c12-CLA 또한 LPS 자극 RAW 264.7 세포의 ROS 생산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BAPTA/AM과 함께 처리시 더욱 억제되었다. NO의 생산과 NF-${\kappa}B$ p65 활성도 t10c12-CLA, BAPTA/AM, t10c12-CLA와 BAPTA/AM의 동시처리 모두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염증 조건에서 CLA는 과도한 ROS와 NO의 생산 및 NF-${\kappa}B$의 활성을 칼슘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