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SO_4$

검색결과 2,926건 처리시간 0.033초

무기질 염이 Sisomicin 발효 수율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nit Mineral Salts on the Improvements of Sisomicin field)

  • Shin, Chul-S;Sang H. Han;Lee, Sang 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7-251
    • /
    • 1989
  • 여러가지 염이 sisomicin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CoCl$_2$만이 항생물질 생성의 대사반응에 cofactor로서 작용하였으며 16.8 $\mu$M에서 최대항생물질의 수율이 얻어졌다. 한편, 앞의 경우보다 훨씬 높은 염농도에서 ZnSO$_4$, KH$_2$PO$_4$, FeSO$_4$그리고 MgSO$_4$가 각각 발효배지에 첨가되었다. ZnSO$_4$와 KH$_2$PO$_4$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나 FeSO$_4$는 약간 항생물질 수율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MgSO$_4$의 경우, 매우 높은 염농도에서도 균체생육의 저해가 약간 일어났으며, 최종 항생물질의 수율은 100% 이상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발효 중 균체내에 생성된 항생물질이 균체외로 유출되는 효과가 증진된 것에 기인한다.

  • PDF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민감도(敏感度) 및 자정기능(自淨機能)(I) - 강우(降雨)의 산성화도(酸性化度)와 식생(植生) 활력도(活力度)(TVI)를 중심(中心)으로 - (Sensitivity and Self-purification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to Acid Precipitation(I) - Acidification of Precipitation and Transformed Vegetation Index(TVI) -)

  • 이수욱;장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60-472
    • /
    • 1994
  •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산성우(酸性雨)에 대한 민감성(敏感性)과 자정능력(自淨能力)을 분석(分析) 평가(評價)하므로서 도시내 또는 인접지역에 존재하는 삼림(森林)을 생태학적(生態學的)으로 건강하게 관리(管理)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단지역 1개소, 상업지역 4개소, 주택지역 4개소와 외곽지역 5개소에서 강우를 조사, 측정하였고, 강우조사 장소에 인접해 있는 7개 산림지역을 선정하여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Landsat TM 데이타를 이용한 변환식생지수(TVI)로 산림 지역별 식생활력도를 분석하였다. 대전지역은 여러가지 대기(大氣) 오염물질(汚染物質)에 의해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었고, 강우내 이온농도의 평균은 $SO_4{^{2-}}$ 20.16mg/l, $NO_3{^-}$ 3.65mg/l, $Cl^-$ 3.09mg/l로 나타났다. 오염물질(汚染物質) 총강하량(總降下量)은 음이온의 경우 $SO_4{^{2-}}$$1.09mg/m^2/month$, $NO_3{^-}$$0.23mg/m^2/month$, $Cl^-$$0.20mg/m^2/month$이었다. 양이온의 경우는 $Ca^{2+}$$0.14mg/m^2/month$, $NH_4{^+}$$0.10mg/m^2/month$이었고 $Na^+$, $K^+$$Mg^{2+}$는 각 각 0.08, 0.07 및 $0.08mg/m^2/month$이었다. 대전지역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지역은 공단지역으로 강우내 $SO_4{^{2-}}$, $NO_3{^-}$, $Cl^-$의 농도가 각각 43.08, 3.88, 3.64ppm이었으며, 산림토양(山林土壤) 평균 pH는 4.16-4.94로 강산성(强酸性)이었다. 식생활력도(TVI)는 당산 3.11, 계족산 4.00, 보문산 4.13, 갑하산 4.18, 봉산 3.34, 식장산 4.13, 성치산 4.20으로 공단지역에 인접되어 있는 당산지역에서 식생활력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진주시 주변 산림에서 안개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og at a Forested Area in Jinju)

  • 이총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51-57
    • /
    • 2012
  • 본 연구는 안개를 채취하여 화학적 조성을 분석하고 금후 산성안개의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안개수의 pH는 2010년도가 4.3이었고, 2011년은 4.0으로서 강한 산성이었고, 전기전도도는 평균 477.2와 $562.7{\mu}s$이었다. 안개수의 음이온 중 봄철과 여름철 $NO_3{^-}$ 농도가 각각 267.1, 279.1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_4}^{2-}$ 농도가 각각 177.2, 198.6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 $NO_3{^-}$ 농도가 각각 217.7, 237.9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O{_4}^{2-}$농도가 각각 164.2, 190.1 mg/L이었다(p<0.05). 양이온은 봄철과 여름철 $Ca^{2+}$농도가 각각 221.3, 233.7 mg/L로서 가장 높았고, $Na^+$ 농도가 각각 125.1, 131.7 mg/L이었다. 가을과 겨울철에 $Ca^{2+}$농도가 각각 196.8, 198.8 mg/L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Na^+$ 농도가 각각 97.1, 117.2 mg/L이었다(p<0.05). 산성안개를 일으키는 안개수의 pH와 $EC(r=-0.9861^{**})$, $NO_3{^-}(r=-0.9677^{**})$, $SO{_4}^{2-}$ ($r=-0.9510^{**}$), $Ca^{2+}$는 1% 수준에서 상관이 있었다. 산성안개수의 생성에 영향을 하는 인자의 회귀 방정식을 나타내면 $Y(pH)=6.4627+0.9723X_2(EC)+0.9364X_4(NO_3{^-})+0.9044X_5(SO{_4}^{2-})+0.8049X_{10}(Ca^{2+})+0.6709X_8(K^+)\;(r^2=0.8787)$로 추정되었다.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gnesium Sulfate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Affects the Milk Composition and Immunoglobulin Levels in Sows

  • Hou, W.X.;Cheng, S.Y.;Liu, S.T.;Shi, B.M.;Shan, A.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469-1477
    • /
    • 2014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agnesium sulfate ($MgSO_4$)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on sow and litter performance, fecal moisture, blood biochemistry parameters, immunoglobulin levels and milk composition in sows. Forty-eight sows ($Yorkshire{\times}Landrace$, 4th to 5th parity) were randomly allocated to 1 of 4 dietary treatments supplemented with 0, 200, 400, or 600 mg/kg $MgSO_4$ (n = 12). The experiment started on day 90 of gestation and continued through day 21 of lacta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day 107 of gestation, day 0 (farrowing) and 21 (weaning) of lactation for the analyses of the blood biochemistry parameters and immunoglobulin levels. The colostrum and milk samples were obtained on day 0 and 14 of lactation, respectively.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ws on day 107 of gestation as well as day 7 and 20 of lactation to determine fecal moisture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vival percentage of piglets and the litter weight at weaning were decreased linearly (p<0.05) and other parameters of the sow or litter performance were not influenced (p>0.05) by $MgSO_4$ supplementation. The fecal moisture content of the sows were increased (p<0.05) linearly as dietary $MgSO_4$ increased on day 7 and 20 of lactation. Supplementation with $MgSO_4$ increased the plasma magnesium (Mg) level linearly (p<0.05) and had a trend to increase total protein level (p>0.05 and p<0.10). However, an increase in the dietary $MgSO_4$ level resulted in a linear decrease in the colostrum fat content (p<0.05). Dietary $MgSO_4$ supplementation enhanced the immunoglobulin G (IgG) level (linear, p<0.05) in plasma on day of farrowing and immunoglobulin A (IgA) level in colostrum (quadratic, p<0.05) and milk (linear, p<0.05) of the sow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MgSO_4$ during late gestation and lactation may have the potential to prevent sow constipation, but may also result in some negative effects.

시설재배지 토양의 유거수에 의한 염류의 이동 (Salt Movement of Soils by Runoff in Green House Area)

  • 강보구;김현주;이경자;김재정;홍순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15
    • /
    • 2001
  • 염류가 집적된 시설재배지 토양에 대한 유거수에 의한 염류의 이동을 조사하여 농업환경보전자료로 활용하고자 충북 청주지역 시설재배농가 포장에 유거수를 수거할 수 있는 lysimeter를 설치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본 시험중에 내린 강우량의 유거수율은 $38{\sim}77%$의 범위로 평균 58% 이었고 유거수중의 양이온 평균 함량은 $Ca^{2+}(27.12\;mg/L)$ > $K^-(9.18\;mg/L)$ > $Mg^{2+}(2.53\;mg/L)$ > $Na^+(1.89\;mg/L)$의 순이었으며 음이온들의 평균 함량은 $SO_4\;^{2-}(63.38\;mg/L)$ > $NO_3\;^-(25.40\;mg/L)$ > $Cl^-(4.19\;mg/L)$ > $PO_4\;^{3-}(3.18\;mg/L)$의 순이었다. 조사기간중에 내린 강우량의 유거수에 의한 용탈량은 농도가 가장 높았던 $SO_4\;^{2-}$가 140.1 kg/ha 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Ca^{2+}:$ 59.9 kg/ha, $NO_3\;^-:$ 56.1 kg/ha, $K^+:$ 20.3 kg/ha, $Cl^-:$ 9.3 kg/ha, $PO_4\;^{3-}:$ 7.0 kg/ha, $Mg^{2+}:$ 5.6 kg/ha, $Na^+:$ 4.2 kg/ha 순이었다. 유거수의 $PO_4\;^{3-}$의 함량 및 용탈량은 토양에 집적된 함량에 비하여 낮았다.

  • PDF

니코틴 분해 세균에 관한 연구(2) -니코틴 분해 세균의 최적 생장조건 연구- (Study on the Nicotine-Degrading Bacteria(2) -The Optimal Growth Condition of Nicotinophiles-)

  • 강은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0-37
    • /
    • 1980
  • 앞의 실험에서 선별된 34菌株의 니코틴 분해세균 중에서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된 Strain NCT 27과 Arthrobacter oxydans biotype xanthum으로 동정된 strain NCT30에 대해서 이들의 니코틴 분해를 위한 최적 배지조건 및 그 밖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니코틴 분해를 위한 최적배지조성은, $KH_2PO_4 2.Ogr$, KCI 5.Ogr, $MgSO_4\cdot7H_2O$ 20mg, $MnSO_46H_2O$ 0.2mg, $FeSO_4\cdot7H_2O$ 1.0mg, Co (Cobalt Acetate) 2.0$r$Ni (NiSO4.6H2O) 0.5${\gamma}$, yeast extract 80mg/1iter 이고 최적 초기 니코틴 농도는 Pseudomonas가 0.4%, Arthrobacter는 0.1%이었다. 그리고 최적생장온도는 두 경우 모두 3$0^{\circ}C$, pH는 7.0이며 배 양중의 pH변화는, Pseudomonas는 대수생장기에서 산성으로 기울었다가 24~40시간 후에 염기성으로 변화하는데 비해 Arthrobacter는 전 기간 중 pH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니코틴에 대한 저항성은 Arthrobacter가 0. 7%이상의 농도에서 생장이 완전히 저해됨에 비해 Pseudomonas는 1.0%까지 생장 가능하며 또한 담배추출물에서나, Nicotine 외의 다른 탄소, 질소 영양원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도 니코틴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최적배지조건에 서 최대 니코틴 분해도는 각각 1.22g/hr/1iter 및 0.186g/hr/1iter이었다.

  • PDF

알루미늄 수화물 나노여과 막오염에 대한 공존염의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inorganic compounds on nanofiltration membrane fouling with Al hydrolysis products)

  • 최양훈;권지향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9-488
    • /
    • 2011
  • Nanofiltration was performed with polyaluminium chloride solutions at different pH conditions to understand effects of inorganic compounds on aluminum hydrolysis products, i.e., three distinctive groups of aluminum species: polymeric Al at low pH; $Al(OH)_3$ at neutral pH; and ${Al(OH)_4}^-$ at high pH. The PACl solution was prepared to be approximately 4.0mM and adjusted to the designated pH. The influence of inorganic compounds on Al species fouling was investigated with 4.9mM $CaCl_2$ and 3.5mM $MgSO_4$ because $Ca^{2+}$, $Mg^{2+}$, $Cl^-$, ${SO_4}^{2-}$ are the most common inorganics in the drinking water. NF membrane fouling was measured by flux decline rate. The impact of $CaCl_2$ was not significant on the individual Al hydrolysis products fouling. However, the flux decline rate was drastically changed in the presence of $MgSO_4$.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was considerably increased possibly due to interaction between Al species and ${SO_4}^{2-}$ where $MgSO_4$ was introduced. The particulates were accumulated on the membrane and enhanced the hydraulic resistance of the cake layer. In addition, conductivity removal of the membrane was decreased when Al-hydroxide was dominant due to reduction of membrane surface charge. The rejection of $Ca^{2+}$and $Mg^{2+}$ were considerably different, which implys that composition of inorganics paly a role on conductivity removal.

미생물(微生物)에 의한 5'-GMP의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第2報). 5'-XMP aminase 생산균주인 Brevibacterium ammoniagenes BA 17-2의 생육도 - (Studies on the Fermentative Production of Guanosine-5'-Monophosphate by Microorganism - Part II. Growth responses of 5'-XMP aminase producing Brevibacterium ammoniagenes BA 12-7 -)

  • 김우연;공운영;손충홍;배종찬;유주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05-111
    • /
    • 1981
  • 전보(前報)에서 변이처리에 의해서 얻은 Brevibacterium ammoniagenes BA 17-2로부터 5'-XMP aminase를 생산(生産)하기 위하여 인산염, 마그네슘이온, 망간이온, thinamine의 예비적정농도를 정(定)하고자 생육도(生育度)를 조사했다. 본실험(本實驗)에서 배지중(培地中)의 인산염의 농도(濃度)가 균(菌)의 생육(生育)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MgSO_4{\cdot}7H_2O$, 0.2% $MnSO_4{\cdot}H_2O$ 3mg/l, $thiamine{\cdot}HCl$를 포함한 배지(培地)를 사용하면 최대 균체량은 $KH_2PO_4$, $K_2HPO_4$ 각각 0.4%의 농도에서 얻어졌다. 이러한 인산염 농도 이상에서 균생육(菌生育)은 인산염 농도가 1%까지 증가함에 따라 저해되었지만 저해작용은 1%의 $MgSO_4{\cdot}7H_2O$와 3mg/l의 $thiamine{\cdot}HCl$을 첨가하여 해소되었다. 5'-XMP aminase 역가도 역시 인산염, 마그네슘이온, 망간이온, thiamine의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그밖에 효소역가에 대한 배양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6.8과 $32^{\circ}C$로 밝혀졌다.

  • PDF

반응표면분석 법을 이용한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Astaxanthin Production by Paracoccus sp.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최종일;이희섭;최선강;김재훈;김진규;;변명우;이주운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321-326
    • /
    • 2009
  • Paracoccus sp.의 astaxanthin 생산성 증가를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배지조성을 설계하였다. Paracoccus의 성장 배지인 Marine Broth와 modified Blaszczyk 배지를 사용하여 astaxanthin 생산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0.39 mg/L, 0.40 mg/L의 astaxanthin 농도를 보였다. Modified Blaszczyk 배지의 조성을 각각 변수로 두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성분을 알아본 결과 $MgSO_4$와 yeast extract로 확인되었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MgSO_4$ ($0.397{\sim}4.621$ g/L), yeast extract ($2.879{\sim}7.121$ g/L)를 달리하였을 때, astaxanthin 생상성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0.894로 나타났고, 이에 따른 최대 생산량에 0.925 mg/L로 예상되었으며 이때의 $MgSO_4$와 yeast extract의 농도는 각각 2.83과 7.02 g/L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확인실험 결과 2.83 $MgSO_4$ g/L, 7.02 yeast extract g/L에서 1.021 mg/L의 astaxanthin이 생산되었으며, 배지의 최적화에 따라 250% 이상의 생산성 증가가 확인되어졌다.

나노여과를 이용한 발효유산 정제에서의 hardness $(Mg^{2+},\;Ca^{2+})$ 제거

  • 강상현;이은교;정용호;장용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9-492
    • /
    • 2000
  • 발효액으로부터 유산을 정제하기 위해서 나노여과를 이용할 때, hardness의 제거효율은 발효액내 이온성분의 분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음전하를 띠고 있는 막의 경우, 용액내 이가 음이온에 의해서 모든 이온들이 영향을 받으며 일가 음이온의 반발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발효액내 일가 음이온의 양을 줄이거나 더 높은 전하밀도를 가진 막을 사용한다면 나노여과를 이용하여 발효액내 hardness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