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H_2PO_4$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5초

질소(窒素)와 인산(燐酸) 시비(施肥)가 루브라 오리나무(Alnus rubra Bong.) 묘목(苗木)의 외생균근발달(外生菌根發達)과 질소고정(窒素固定)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Ectomycorrhiza Development, N-Fixation and Growth of Red Alder Seedlings)

  • 구창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96-106
    • /
    • 1996
  • 루브라 오리나무(Alnus rubra Bong.) 파종묘(播種苗)에 Frankia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과 Alpov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을 접종(接種)한 후 온실에서 10주 동안 길렀다. 이 묘목(苗木)에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을 여섯 가지로 조합(대조(對照)), 10mM $NH_4NO_3$, 50mM $NH_4NO_3$, 5mM $KH_2PO_4$, 10mM $NH_4NO_3+5mM$ $KH_2PO_4$, 50mM $NH_4NO_3+5mM$ $KH_2PO_4$)하여 매주 3회씩 10주 동안 시비(施肥)하였다. 고농도(高濃度)의 질소(窒素) 시비(施肥)는 온실에서 오염된 균에 의한 균근(菌根) 형성(形成)을 증가시켰으나, 질소고정(窒素固定)과 뿌리혹내(內) 인산(燐酸) 농도(濃度)는 감소시켰다. 인산(燐酸) 시비(施肥)는 뿌리혹과 묘목의 지상부 생장, 그리고 식물체(植物體) 조직내(組織內) 인산(燐酸) 농도(濃度)를 증가시켰다. 한편 고농도(高濃度)의 질소(窒素) 시비(施肥)는, 엽내(葉內) 인산(燐酸) 농도(濃度)에 있어서는 인산(燐酸) 시비(施肥) 효과를 배가(倍加)시켰으나, 뿌리혹내(內)의 인산(燐酸) 농도(濃度)에 있어서는 인산(燐酸) 시비(施肥) 효과를 없어지게 하였다. A. diplophloeus 외생균근균(外生菌根菌) 접종(接種)으로는 묘목의 직경생장(直徑生長)과 광합성(光合成)이 증가되었으나 잎 생장은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고농도(高濃度)의 질소(窒素)나 인산(燐酸) 시비(施肥)가 질소고정(窒素固定)과 균근(菌根) 발단에 영향을 주지만, 그 효과는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상호작용(相互作用)으로 일정하지 않게 됨을 나타낸다.

  • PDF

무기질 염이 Sisomicin 발효 수율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nit Mineral Salts on the Improvements of Sisomicin field)

  • Shin, Chul-S;Sang H. Han;Lee, Sang 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7-251
    • /
    • 1989
  • 여러가지 염이 sisomicin 발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CoCl$_2$만이 항생물질 생성의 대사반응에 cofactor로서 작용하였으며 16.8 $\mu$M에서 최대항생물질의 수율이 얻어졌다. 한편, 앞의 경우보다 훨씬 높은 염농도에서 ZnSO$_4$, KH$_2$PO$_4$, FeSO$_4$그리고 MgSO$_4$가 각각 발효배지에 첨가되었다. ZnSO$_4$와 KH$_2$PO$_4$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나 FeSO$_4$는 약간 항생물질 수율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MgSO$_4$의 경우, 매우 높은 염농도에서도 균체생육의 저해가 약간 일어났으며, 최종 항생물질의 수율은 100% 이상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 발효 중 균체내에 생성된 항생물질이 균체외로 유출되는 효과가 증진된 것에 기인한다.

  • PDF

Applications of Nutrient-Controlling and Growth-Regulating Chemicals to Enhance Yield of Once-Over Harvest Red Pepper (Capsicum annuun L.)

  • Ahn, Byung-Koo;Kim, Hyeong-Goog;Kim, Myung-Jun;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75-580
    • /
    • 2011
  • The cultivation of once-over harvest pepper cultivars might be very valuable to Korean farmers who still depend on traditional hand-harvesting method. Thus,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to obtain important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productivity of once-over harvest red pepper fruits by supplying several nutrient-controlling and growth-regulating chemicals, such as $KH_2PO_4$, $SiO_2$ and 2-chloroethylphosphonic acid (ethephon). Adequate fertilization was provided in each treatment plots. In this study, two once-over harvest pepper cultivars, Saengryeg No. 211 and 213 (SR 211 and SR 213), and one regular piecemeal harvest pepper cultivar, Kangryegdaetong (KRDT), were cultivated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of pepper fruit as affected by above chemicals. The distribution of macro- and micro-nutrients in pepper fruits among the cultivars were different in term of N, B, Cu, and Fe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 of B in SR 213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in SR 211 and KRDT. However, overall red pepper productivity of SR 211 was markedly higher ($2.91{\sim}3.38Mg\;ha^{-1}$) than that ($1.68{\sim}2.37Mg\;ha^{-1}$) of SR 213. Also, the productivity of matured red peppe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reatments of $KH_{2}PO_{4}$, $SiO_2$ and ethephon. The yield indices for matured red pepper fruits were the highest with the treatment of $KH_2PO_4$ or $SiO_2$ with ethephon, which were 113~116% for SR 211 and 147~150% for SR 213. Thus, the applications of $KH_2PO_4$ or $SiO_2$ with ethephon would be suggeste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matured red pepper fruit.

Priming 약제의 종류와 농도가 목초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iming Materials and its Concentrations on the Germination of Pasture Seed)

  • 김종덕;권찬호;채상헌;허삼남;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7-284
    • /
    • 2006
  • 종자의 priming은 유식물의 초기 정착에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목초의 주요 초종인 톨 페스큐, 오처드그라스, 알팔파 및 화이트 클로버의 발아율 향상과 균일도 증가를 위하여 priming 약제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KNO_3,\;KH_2PO_4,\;K_3PO_4,\;Ca(NO_3){_2}$ 및 PEG 약제를, 세구는 50mM(또는 10%), 100mM(또는 20%) 및 200mM(또는 30%)의 약제농도를 두었다. Priming 목초의 발아율은 약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화본과 목초인 톨 페스큐는 $Ca(NO_3){_2}$$K_3PO_4$가 다른 약제보다 발아율이 높았으며, 오처드그라스는 약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KH_2PO_4$가 다른 약제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한편 두과목초인 알팔파와 화이트 클로버는 모두 PEG에서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약제의 농도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목초의 priming은 초종에 따라 적정 약제종류와 농도가 달랐다.

정색반응(呈色反應)에 의(依)한 싸리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Lespedeza by Means for Colour Reactions)

  • 박종열;이창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1
    • /
    • 1972
  • 화학약품(化學藥品)에 의(依)한 목재(木材)의 정색반응(呈色反應)을 이용(利用)하여 지피조성용(地被造成用), 사료자원, 밀원자원, 공예자원, 및 섬유자원으로서 중요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싸리 속(屬) 중에서 다음 7 수종(樹種)에 대한 분류상(分類上)의 식별점(識別點)을 조사(調査)하였다. (1)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2) Lespedeza bicolor var. melanantha(Nak.) T. Lee 쇠싸리 (3)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4) Lespedeza japonica var. intermedia Nakai 풀싸리 (5) Lespedeza maritina Nakai 해변싸리 (6)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er 조록싸리 (7)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Nakai 털조록싸리 처리 방법(方法)은 시료분말을 직접 염산에 처리하여 나타나는 정색반응을 검토하는 방법과 목재분말(木材粉末)의 methanol 침출액에 각종 시약을 적하한 후 그 정색반응을 관찰하는 두가지 방법을 적응했으며 시약으로는 $K_2Cr_2O_7$, $FeSO_4{\cdot}7H_2O$, $FeCl_3$, $KMnO_4$, $KH_2PO_4$, $NH_4OH$, HCl의 7 가지 시약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구명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검색표와 같다. 1. 침출액에 $K_2Cr_2O_7$ 적하반응에서 chrome lemon으로 정색했다${\cdots}{\cdots}$2 1. 침출액에 $K_2Cr_2O_7$ 적하반응에서 sun flower yellow색으로 정색했다${\cdots}{\cdots}$털조록싸리 2. $KH_2P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oyster white, $FeCl_3$ 용액을 적용반응하면 golden yellows로 정색한다${\cdots}{\cdots}$3 2. $KH_2PO_4$ 용액을 적하반응시키면 cream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6 3. $NH_4OH$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oyster white, $FeSO_4{\cdot}7H_2O$ 적하반응에서 cor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4 3. $NH_4OH$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cream 색을 정색한다 ${\cdots}{\cdots}$5 4. $KMn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van dyke brown, HCl 주가가열반응에서 sea shall pink 로 정색한다${\cdots}{\cdots}$풀싸리 4. $KMn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sepia, HCl 주가가열 반응에서 honey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해변싸리 5. $FeSO_4{\cdot}7H_2O$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golden rod, 분말(粉末)에 직접 HCl을 첨가하여 andover gree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쇠싸리 5. $FeSO_4{\cdot}7H_2O$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yellow ochre, 분말에 직접 HCl을 첨가하여 sand warm gray 색을 정색한다 6. $FeCl_3$ 용액의 적하법에서 amber graw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참싸리 6. $FeCl_3$ 용액의 적하법에서 leather brow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조록싸리.

  • PDF

토마토쥬스와 KH$_2$PO$_4$가 Botrytis Cinerea LVF12 분생포자의 토마토 감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mato-Juice and Potassium Phosphate on the Infection of Botryis cinerea LVF12 on the Tomato Leaves)

  • 손지희;이재필;김철승;임은경;송주희;김현주;박현철;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34-139
    • /
    • 2001
  •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LVF12 분생포자의 토마토 잎 감염에 미치는 영양원의 영향을 조사하고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0.1M KH$_2$PO$_4$를 첨가한 20% 토마토 쥬스로 만든 분생포자 부유액이 토마토 잎에서 일정하면서도 높은 발병도를 보여 감염에 효과적인 분생포자 영양원으로 선발하였다. 또한 토마토의 생육 단계별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유묘보다 성숙한 식물일수록 발병도가 높았고 하위엽이 상위엽보다 발병도가 높았다. 병징은 감염 초기에 갈색의 소형 점무늬가 잎에 형성되고 병반이 잎자루와 줄기까지 진전되면서 잎이 탈락하거나 줄기 전체가 갈변하여 고사하였다. 감염된 열매는 초기에 암갈색의 원형 병반이 형성되고 점점 진전되면서 열매가 물러 썩었는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병든 잎, 줄기 및 열매가 잿빛의 균사와 분생포자로 뒤덮혀 자연 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특성을 보여 주었다.

  • PDF

Xanthomonas malvacearum 돌연변이주(突然變異株)의 Heteropolysaccharide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Production of Heteropolysaccharide by Mutant of Xanthomonas malvacearum)

  • 이계호;김미선;박찬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77-87
    • /
    • 1987
  • Xanthan gum의 생산력(生産力)이 있는 Xanthomonas SNUF-560 균주(菌株)에서 자외선(紫外線) 조사방법(照射方法)으로 생산능(生産能)이 우수(優秀)한 변이주(變異株)를 선택(選擇)해서 동결건조법으로 보존(保存)했으며 PDA배지(培地)에서 2주(週)마다 이식(移植)하여 생산실험(生産實驗)에 사용(使用)하였다. 최적발효배지(最適醱酵培地)의 검토(檢討)에서 탄소원(炭素源)으로 sucrose 40g/l, 질소원(窒素源)으로 glutamic acid 10mM, 유기산(有機酸)으로 succinic acid 10g/l, $PO_4\;^{-3}\;65mM$일때 각각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최종적(最終的)으로 배지(培地) 1과 배지(培地) 2에서 각각 1,050cp(12g/l), 900cp(10.5g/l)를 얻었으며 조성(組成)은 다음과 같다. 배지(培地) 1 = sucrose 40g/l, glutamate 10mM, $PO_4\;^{-3}\;65mM(KH_2PO_4\;12.65g/l)$, citrate 2g/l, $MgSO_4{\cdot}7H_2O\;0.2g/l$, $H_3BO_3\;0.006g/l$, ZnO 0.006g/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배지(培地) 2 : sucrose 40g/l, $(NH_4)_2SO_4\;2g/l\;PO_4\;^{-3}\;65mM\;(KH_2PO_4\;12.65g/l)$ succinate 10g/l, $MgSO_4{\cdot}7H_2O\;0.02g/l$ $H_3BO_3\;0.006g/l$ $FeCl_2{\cdot}6H_2O\;0.0024g/l$ $CaCO_3\;0.02g/l$.

  • PDF

Phellinus linteus의 액체배양을 위한 새로운 합성배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Synthetic Medium Composition for the Submerged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67-173
    • /
    • 1999
  • A new synthetic medium was developed for the submerged mycelial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The medium for maximum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3 days incubation, 28$^{\circ}C$, pH 5) consisted of (per 1 L): glucose, 90 g peptone, 10 g soluble starch, 10 g yeast extract, 3 g KH2PO4, 1 g MgSO4.7H2O, 1 g and CaCl2, 0.1 g.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peptone, yeast extract, KH2PO4, MgSO4.7H2O, and CaCl2 were examined in the ranges of 10~90 g/L, 0~10 g/L, 0~15 g/L, 0~2 g/L, 0~1 g/L, and 0~0.5 g/L, respectively. The dry weight of mycelium in 3 days increased to 16.79 mg/mL using the new synthetic mediu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was 28$^{\circ}C$. The concentrations of KH2OP4, CaCl2, and yeast extract, which gave the maximum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existed in the concentration ranges examined in this study. But, in the cases of other compositions (MgSO4.7H2O, peptone, and glucose), the mycelial growth of Phellinus linteus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in the ranges.

  • PDF

Coriolus versicolor와 Lentinus erodes의 영양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a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of Coriolus versicolor and Lentinus edodes)

  • 박경숙;이재성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91-98
    • /
    • 1991
  • The media compositions and culture conditions were optimized for mycelial growth of Coriolus versicolor and Lentinus edodes. Media composition for optimal growth of Coriolus versicolor was 2.0% glucose 0.4% peptone and 0.6% yeast extract. Media composition for optimal growth of Lenttnus edodes was 2.0% glucose 2.0% starch 0.4% bacto-soytone and 0.6% yeast extract. The media supplemented with KH2PO4, 0.046% KH2PO4 0.1% and MgSO4, .7H2O 0.05% supported better mycelial growth than the media without mineral salt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ranged from $25^{\circ}C$-28$^{\circ}C$. The optimum pH range for mycelial growth of Coriolus versicolor was 5.2~5.6 while that of Lentinus edodes appeared to be 5.75.

  • PDF

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로부터 Endoglucanase의 최적생산 (Optimization of Endoglucanase Production from Fomitopsis pinicola Mycelia)

  • 구지민;박상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2
    • /
    • 2013
  •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MKACC 54347)의 균사체로부터 endoglucan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복합배지 중 MSM이 가장 높은 endogluc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SM의 성분과 농도를 각각 2.0% CMC, 2.0% yeast extract, 0.2% $KH_2PO_4$, 0.03% $MnSO_4$ 및 0.3% trace metal 용액으로 첨가하였을 때 효소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F. pinicola로부터 endoglucanase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배지조건은 2.0% CMC, 2.0% yeast extract, 0.2% $KH_2PO_4$, 0.03% $MnSO_4$ 및 0.3% trace metal 용액이다. 이상의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온도 $25^{\circ}C$에서 8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로 효소 활성이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MC를 기질로 사용한 activity staining의 결과를 통해 F. pinicola 균사체의 endoglucanase 활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분자량이 43-70 kDa 임을 확인하였고, 배양액 중의 효소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pH 5.0과 $55^{\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