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_{45}$성분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7초

작두콩 첨가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s Containing Sword Bean)

  • 이학태;이만종;이상선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176-182
    • /
    • 2009
  • 작두콩 된장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된장에 작두콩을 8.0% 첨가한 된장(J2)과 재래식 쌀 된장에 작두콩을 6.0% 첨가한 된장(J4)을 제조하여 시판된장(K1-K6) 및 일반 재래 된장(J1, J3)과의 시험분석을 하였다. 수분, 회분 등 일반성분결과, 시료간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protease 활성은 다른 시료에 비해 콩함량이 높은 J1과 J2가 높게 나타났으며, amylase 활성과 환원당 함량은 쌀을 첨가하여 제조한 J3과 J4가 다른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시판된장인 K5와 K6에서 각각 668.34mg%와 642.64mg% 함량을 나타내어 다른 시료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색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작두콩 첨가가 색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한국재래산양의 발육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평가 (Parameter Estimates for Genetic Effects on Growth Traits of Korean Native Goats)

  • 김영근;이지웅;최순호;손삼규;나기준;문승주;김재홍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71-180
    • /
    • 2002
  •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국 재래산양의 발육형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형질로는 생시, 3개월령, 6개월령 체중으로 개체모형(Animal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고정효과로 성별, 출생년도-계절, 사양형태를 고려하였으며, 각 형질에 대한 분산성분 및 유전모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MTDFREML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시, 3개월령, 6개월령의 평균체중은 각각 1.78${\pm}$0.32, 7.99${\pm}$2.66, 12.08${\pm}$3.20kg이었고, 부수적으로 조사된 3개월령과 6개월령 평균체위는 각각 체고가 36.46, 40.27 cm, 체장은 38.06, 42.01cm, 흉위는 45.56, 51.07cm이었다. 생시, 3개월령, 6개월령 체중에 대한 개체의 유전력은 각각 0.66, 0.34, 0.27이었으며, 생시와 3개월령 체중에 대한 모체의 유전력은 각각 0.28, 0.03으로 추정되었고, 분산성분과 유전모수 추정 결과 생시와 3개월령 체중에 대해서는 모체유전효과가 중요하게 작용되었으며, 3개월령 체중에서는 모체환경효과가 고려되어야 하나, 6개월령 체중에서는 모체유전효과가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 개량 흑돼지 고기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from Crossbred Jeju Black Pigs)

  • 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8-245
    • /
    • 2004
  • 제주도 개량 흑돼지 고기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개 농진(Jl, J2, J3및 J4)에서 생산한 등심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함량, 지방산 조성,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관능평가를 하였다. 등심의 수분 함량(73.06∼74.75%), 조단백질 함량(22.78∼23.85%), 조회분 함량(1.23∼1.35%), pH(5.51∼5.70), 불포화지방산(60.21∼62.33%), 보수력(64.22∼69.40%), 가열감량(28.17∼30.45%), Hunter's L*(53.02∼55.64), a*(8.71∼9.87) 및 b*(6.95∼7.29) 값은 4개 농장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등심의 조지방(0.85∼1.81%)과 총아미노산 함량(18.85∼21.19%)은 J2농장의 것이 제일 높고, 경도와 저작성은 J2농장의 것이 가장 낮아 Jl농장의 것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7단계 기호척도법에 의한 관능 평가 결과, J2농장의 등심이 맛(5.22), 향(4.80), 연도(5.30), 다즙성(5.09) 및 종합적 기호도(5.33)가 모두 가장 우수하였으며 향을 제외하면 Jl농장의 등심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 었다(p<0.05).

패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마우스의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besity Effects of Ishige okamurae Extract in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

  • 박세진;전유진;김학주;한지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9-205
    • /
    • 2013
  • 본 연구는 패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C57BL/6J mice에 4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공급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에, 6주간 패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 사료를 섭취시키고 체중, 간, 신장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액과 간의 지질 농도 및 혈중 렙틴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HFD군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HFDIO군에서는 HFD군보다 체중의 증가가 유의하게 적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도 HFDIO군이 HFD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이로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HFDIO군에서는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반면에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IO군이 HF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에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질환위험도가 HFD군에 비해 HFDIO군에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혈중 렙틴의 양도 HFDIO군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간 기능의 지표가 되는 ALT, AST, ${\gamma}$-GTP는 HFD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모두 정상범위 내의 값을 나타내었고, 혈중 BUN과 혈중 Creatinine의 농도도 정상 범위 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식이와 함께 급여한 패 추출물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및 간의 지질농도 개선과 혈장 렙틴 농도를 감소시키는 유용한 항비만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패의 어떠한 성분이 이러한 작용을 하는 지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자소(紫蘇)의 산지별(産地別) 화학조성(化學組成) -제일보(弟一報) 지질(脂質)의 특성(特性) 및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Chemical Composition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Part 1. Characteristics of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 박호식;김정기;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24-229
    • /
    • 1981
  • 한약재(韓藥材)로서 널리 이용(利用)되고 있는 자소(紫蘇)(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를 지역별(地域別)(광주(廣州), 대구(大郎), 제주(濟州))로 배양(培養) 하여 얻은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性分),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지방(脂肪)의 여러가지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자소종실(紫蘇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15%정도로서 산지별(産地別)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조지방(粗脂肪)은 28(제주(濟州))${\sim}$34%(대구(大邱)), 탄소화물(炭水化物)은 40(대구(犬邱))${\sim}$44%(제주(濟州))로서 산지별(産地別)로 상당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무기성분(無機成分)의 함량(含量)은 $K(426{\sim}446mg%)$, $SiO_2(197{\sim}229m%)$, $Ca(124{\sim}136mg%)$가 비교적 많고 P, Mg, Zn, Mn, Fe 등(等)은 $30{\sim}56mg%$로서 서로 비슷한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無機成分)중 Fe 및 Mn의 함량(含量) 산지별(産地別)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무기성분(無機成分)은 산지별(産地別)로 별차이가 없었다. 3.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염화가는 $194{\sim}199$, 요오드가(價)는 $196{\sim}200$, 산가(酸價)는 $4{\sim}5$로서 산지별(産地別)로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다른 식물유(植物油)에 비하여 요오드가(價)가 현저하게 높았다. 4.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조성(組成)으로서 triglyreride가 전체(全體)의 $92{\sim}95%$, 불염화물이 $1.7{\sim}1.9%$, phospholi-pid가 $1.2{\sim}1.3%$, free fatty acid가 $0.7{\sim}0.9%$, free sterol이 $1.1{\sim}1.4$이며 sterol이 주구성분(主構成分)으로 되여 있는 불염화물의 함량(含量) 및 phospholipid의 함량비(含量比)가 다른 식물유지(植物油脂)에 비하여 상당치 높았다. 5. 전체지방조성(全體脂肪組成)으로서 불포화지방산함량(不飽和脂肪酸含量)이 현저히 많으며 그중에서도 linolenic acid가 전체(全體)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각지방(各脂肪) fraction별(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hospholipid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triglycer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ate의 함량(含星)이 현저히 높았고 sterylglycos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sterylester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불포화지방산함유비율(不飽和脂肪酸含有比率)이 매우 높았다. 산지별(産地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차이(差異)를 보면 total fatty acid 조성(組成)에는 큰차이가 없었으나 phospholipid 구성지방산조성(構成脂肪酸組成)에는 큰 차이가 있어 광주산(廣州産)의 경우 palmitate의 함량비(含量比)가 24%인데 비하여 대구산(大邱産)은 11.8%로서 2배(倍)이상의 차이(差異)를 보여 주었다.

  • PD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국내 시판 사과 주스의 Patulin 분석 (Determination of Patulin in Commercial Apple Juice in Kor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조완일;최영붕;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2-416
    • /
    • 1997
  • 7개의 국내 시판 사과 주스제품에 대해 patulin 오염수준을 분석하였다. Sep-Pak silica cartridge를 이용한 ethyl acetate 추출물의 정제과정은 HPLC 분석시 추출물내의 다른 성분으로부터 patulin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였다. Patulin 검출은 J'sphere $4\;{\mu}m$ ODS-H80 column을 사용하여 reverse phase HPLC로 274 nm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제품은 $4{\sim}20\;{\mu}g/L$ 수준으로, 나머지 3개 제품은 $30{\sim}45\;{\mu}g/L$ 수준으로 patulin에 오염되어 있었다. 이 분석방법에서의 검출 한계농도는 $3\;{\mu}g/L$이며 $3.78{\sim}125.9\;{\mu}g/L$ 오염수준에 대해 $80{\sim}90%$의 회수율을 보였다.

  • PDF

비육돈 사료의 영양소 수준이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Density of Diet on Pork Quility of Finishing Pigs)

  • 이제룡;서종태;정재두;이진우;하영주;이정일;곽석준;이중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6호
    • /
    • pp.1039-1046
    • /
    • 2003
  • 본 시험은 비육돈 사료의 변화가 돈육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육색,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0${\pm}$3kg의 삼원교잡종 240두를 공시하여 비육돈 사료 변화의 영양소 수준에 따라 대조구는 저영양소 사료 ME 2,960kcal/kg, CP 12.25%, Lysine 0.41%, Ca 0.70, T1은 중영양소 사료 ME 3,220kcal/kg, CP 15.50%, Lysine 0.87%, Ca 0.90 및 T2는 고영양소 사료 ME 3,350kcal/kg, CP 17.50%, Lysine 1.08%, Ca 0.90%로 배합한 사료를 66일간 급여하였다. 단백질, 지방 및 수분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사하였으며, 조회분 함량은 T1 처리구가 대조구와 T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최종 pH$_{u}$는 T2 처리구가 대조구와 T1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반면 가열감량은 낮게 나타났다(p〈0.05). 필수아미노산인 Threonine, Isoleucine 및 Histidine는 T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반면 비필수아미노산인 Proline과 Glycine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조구가 T1 처리구와 T2 처리구에 비해 포화지방산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Oleic acid(18:1)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다가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arachidonic acid(C20:4)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T1 및 T2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에서 비육돈 사료 변화의 영양소 수준이 높은 T2 사료를 급여했을 때, 이화학적 특성에서 pH$_{u}$가 높고 가열 감량이 낮아 돈육품질이 향상되었으며 일반성분,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서도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다.

수확 후 LED와 UV-B 조사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순의 항산화 기능 향상 (Post-harvest LED and UV-B Irradiation Enhance Antioxidant Properties of Asparagus Spears)

  • 유남희;정선균;이정애;최동근;윤성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88-198
    • /
    • 2017
  • 아스파라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리 전 그리고 12시간 암상태로 저장한 아스파라거스를 대조구로 하여 백색(색온도 45,000 k), 청색(peak 450 nm), 적색(peak 660 nm)의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수확한 아스파라거스 순을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200{\mu}mol{\cdot}m^{-2}{\cdot}s^{-1}$의 광으로 12시간 처리하고, UV-B(280 nm)를 0.5kJ 또는 1.0kJ로 처리하여 원예적 특성, 비타민C(total ascorbic acid), 루틴(rutin), 총 페놀(total phenolics)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s)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들 처리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생체중, 길이, 직경 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UV-B0.5kJ에서는 당도와 엽록소 함량이 각각 9%와 41% 증가하였다.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중에서 비타민 C 함량은 대조에 비하여 백색광(114%), 적색광 (137%) 및 UV-0.5 kJ(127%) 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이나 UV-0.5 kJ 처리에서만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DPPH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백색광, 적색광 및 UV-0.5kJ 처리구에서 각각 43, 41 및 43%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색광 12시간 처리나 UV-B 0.5kJ 처리로 아스파라거스 순의 원예적 특성의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함량이 증가되고 자유기 소거능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확한 아스파라서스의 순에 적색광 12시간 또는 UV-B 0.5kJ을 처리하면 채소 또는 음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기능성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밀여과 모세관 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 (Characteristics of Flux Decline in Microfiltration Capillary Membrane of Bentonite Colloidal Suspensions)

  • 남석태;한명진
    • 멤브레인
    • /
    • 제15권1호
    • /
    • pp.52-61
    • /
    • 2005
  • 폴리에틸렌 정밀여과 모세관막을 이용한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현탁액의 투과유속 감소특성을 검토하였다. 운전시간이 경과하면서 투과유속이 감소되는 원인은 막표면 위에서 케익층의 성장과 입자들에 의한 세공막힘 때문이었으며, 운전시간이 경과하여 정상상태에 도달하면 투과유속은 케익여과 모델에 의해 지배받는다. 운전압력이 높은 경우의 투과유속 감소는 세공막힘과 케익층이 치밀해졌기 때문이다. 운전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J/J₁는 감소하였으며, 0.5 kg/sub f//㎠일 때의 45%, 2.0 kg/sub f//㎠일 때 38%로 감소하였다. 운전압력 0.5 kg/sub f//㎠에서 총 막오염에 대한 성분오염의 비율은 표준세공막힘 14.6%, 완전세공막힘 23.4% 그리고 케익여과 62.0% 이었다. 순환흐름속도의 증가로 인해 투과유속은 증가하였고, 그 효과는 운전압력이 1.0 kg/sub f//㎠일 때가 운전압력 2.0 kg/sub f//㎠ 경우보다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투과유속은 세공의 크기가 0.24 ㎛인 막보다 컸으며, 용액의 농도에 따른 투과유속은 농도가 낮은 용액이 컸다. 세공크기가 0.34 ㎛인 막의 막오염 형태는 유사하지만 농도가 200 ppm인 용액의 경우 1000 ppm인 용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약한 세공막힘 현상을 보였다.

유채 성분육종 효율을 증진키 위한 세대단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제II보. 유채의 등숙차이가 종자발아능력 및 휴면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a Technique of the Generation Shortening for a Breeding Efficiency Promotion of Rape Oil Improvement -II. Influence of Different Maturing Stages to Seed Germination power and Dormancy in Brassica napus L.-)

  • 이정일;민경수;주기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100-106
    • /
    • 1975
  • 유체의 성분육종효율을 증진키 위한 세대단축기술개발에 있어서 개화수분후의 등숙차이가 종자발아능력 및 휴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든 바 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종자는 생체에서 개화수분후 40일이전에는 거의 발아력이 없으며, 건조시켰을때는 50일이전에 발아력이 없었다. 2. 세대단축에 이용할 수 있는 유효발아력에 있어서는 (발아율 70%이상) 생체종자로는 D.A.F. 75~80일이라야하며 건조종자에서는 55일이면 거의 100% 가까운 발아력을 갖추게되는데 건조처리는 휴면타파효과가 인정되였다. 3. 유채의 휴면주기는 2회의 싸이클이 있으며 생태형별로 주기가 다른데 만숙군과 조생군은 경향이 비슷하며 중생군은 품종에 따라 주기가 각각 달라서 매우 휴면기작이 복잡하다. 4. 춘파성 정도별발아력은 D.A.F. 50일이후에서는 파종성정도가 낮을수록(만생일수록) 발아력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D.A.F. 45일이전의 미숙종자에서는 만생인 I, II가 특히 높았다. 5. 종자, 치상후의 발아세는 치상 2일에 가장높았고 그 이후는 점차 낮으며 생체종자일 때 발아기간이 건조종자일 때보다 길었다. 6. 휴면타파제 $H_2O_2$의 효과에 있어서 완숙종자에서는 발아촉진효과가 없으며 미숙종자에서는 촉진효과가 있었는데 생체종자에서 더욱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