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_2O$ addition

검색결과 2,243건 처리시간 0.039초

OH Emission toward Embedded YSOs

  • Yun, Hyeong-Sik;Lee, Jeong-Eun;Lee, Seokho;Evans, Neal J.
    • 천문학회보
    • /
    • 제40권1호
    • /
    • pp.60.1-60.1
    • /
    • 2015
  • High energy photons and mechanical energy produced by the process of star formation result in copious FIR molecular and atomic lines, which are important coolants of the system. Photons thermally or mechanically induced could dissociate water in the dense envelope to change relative abundances among the species of O, OH, and H2O. Here we analyze OH emission lines toward embedded young stellar objects (YSOs) observed as part of the Herschel open time key program, 'Dust, Ice, and Gas In Time (DIGIT)' in order to study the physical conditions of associated gas and the energy budget loaded on the OH line emission.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the Herschel/PACS spectra, OH emission peaks at the central spaxel in most of sources, but several sources show spatially extended emission structures. In the extended emission sources, the distribution of OH emission is correlated with that of [OI] emission and extended along the outflow direction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source properties, ratios between detected OH lines are relatively constant among sources. In addition, each OH line has strong correlation with bolometric luminosity. In order to determine the physical conditions of YSOs, we adopt sever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he OH lines: rotational diagram, non-LTE LVG analysis, and a 2-D PDR code. From the simple LVG analysis, we find that the thermal solution with the dense ( > $10^7cm^{-3}$) and warm ( ~ 100 K) OH gas reproduces the ratios of detected OH lines. However, our self-consistent PDR 2-D model, which can deal with the IR-pumping effect from the central protostar as well as the warm dust in situ, cannot fit the observational results, suggesting that an irradiated shock model is necessary for a better interpretation.

  • PDF

오리멀젼회로부터 바나듐 침출특성에 관한 연구 (Leaching Behaviour of vanadium from Orimulsion ash)

  • 박경호;윤승한;남철우;최영기;윤오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4호
    • /
    • pp.32-38
    • /
    • 2004
  • 중유의 대체연료로서 관심을 받고있는 오리멀젼회로부터 바나듐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오리멀젼회의 물성과 침출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리멀젼회는 16%의 바나듐, 4%의 니켈 그리고 9%의 황을 함유하고 있으며 $d_{50}$이 5.9$mu extrm{m}$로 미세한 분말이었다. 오리멀젼회 중의 금속성분이 황산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바나듐은 수 침출이 용이하고 침출시간도 10분 이하로 짧았다. 수침출 시 반응온도가 높으면 침출율이 감소하는데 이는 V(V)이 가수분해되어 $V_2$$O_{5}$로 침전되기 때문이다. 한편 황산을 첨가하면 바나듐의 침출율을 높일 수 있었다. 바나듐의 선택적 침출을 위한 알카리 침출의 경우 침출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산화제의 사용이 필요하며 과산화수소가 적당하였다.

Surface Engineering of GaN Photoelectrode by NH3 Treatment for Solar Water Oxidation

  • Soon Hyung Kang;Jun-Seok Ha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388-396
    • /
    • 2023
  • Photoelectrochemical (PEC) water splitting is a vital source of clean and sustainable hydrogen energy. Moreover, the large-scale H2 production is currently necessary, while long-term stability and high PEC activity still remain important issues. In this study, a GaN-based photoelectrode was modified by an additional NH3 treatment (900℃ for 10 min) and its PEC behavior was monitored. The bare GaN exhibited a highly crystalline wurtzite structure with the (002) plane and the optical bandgap was approximately 3.2 eV. In comparison, the NH3-treated GaN film exhibited slightly reduced crystallinity and a small improvement in light absorption, resulting from the lattice stress or cracks induced by the excessive N supply. The minor surface nanotexturing created more surface area, providing electroactive reacting sites. From the surface XPS analysis, the formation of an N-Ga-O phase on the surface region of the GaN film was confirmed, which suppressed the charge recombination process and the positive shift of EFB. Therefore, these effects boosted the PEC activity of the NH3-treated GaN film, with J values of approximately 0.35 and 0.78 mA·cm-2 at 0.0 and 1.23 VRHE, respectively, and an onset potential (Von) of -0.24 VRHE. In addition, there was an approximate 50% improvement in the J value within the highly applied potential region with a positive shift of Von.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nanotexturing on the surface structure, the newly formed defect/trap states correlated to the positive Von shift, and the formation of a GaOxN1-x phase, which partially blocked the charge recombination reaction.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및 부착 억제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dherence Inhibition on Streptococcus mutans by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권현정;김용현;한국일;전미애;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6가지 유기용매 분획물 중 IP-3의 항균활성을 및 부착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항균 물질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EtOAc 분획물(IP-3)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의 EtOAc 분획물에서 최종 정제된 활성물질은 UV 288.3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으며, NMR spectrum을 통해 brazilin(($C_{16}H_{14}O_5$)으로 확인되었다. 3. S. mutans에 대한 소목의 EtOAc 분획물의 항균 활성은 최소억제농도(MIC) 3.1 mg/ml에서 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 부착억제효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S. mutans와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대조군은 균 부착률이 높게 관찰되었으나, 소목의 EtOAc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HA에 S. mutans의 부착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목에서 추출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구강 내 우식원성세균에 강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S. mutans의 부착 억제능이 확인되어 우식원성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퇴비(堆肥) 및 비료(肥料) 장기연용(長期連用)이 토양내(土壤內)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soil Enzymes Activity in Normal Paddy Soil)

  • 조강진;정연태;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109-115
    • /
    • 1989
  • 퇴비(堆肥) 및 비료(肥料) 시비방법별(施肥方法別)로 무비구외(無肥區外) 7처리(處理)로 21년간(年間) 시험한 미사식양질계(微砂埴壤質系) 보통답(普通畓)에서 urease, L-glutaminase, phosphatase 활성(活性)을 조사하였다. 총(總) urease 활성(活性)(TUA)과 미생물(微生物) 분필(分泌) urease 활성(活性)(MUA)은 처리간(處理間)에 차이가 심하였으나,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된 urease 활성(活性)(AUA)은 처리간(處理間)에 차이가 경미(輕微)하였다. 특히 MUA는 3요소(要素)와 퇴비(堆肥), 3요소(要素)와 규산(硅酸)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중(土壤中) 인산(燐酸), 가리(加里), 규산(硅酸) 함량(含量)과도 고도(高度)의 유의(有意)한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총(總) L-glutaminase 활성(活性)(TGA)과 토양(土壤)에 축적(蓄積)된 L-glutaminase 활성(活性)(AGA)은 처리 간에 차이가 심하였으나, 미생물(微生物) 분필(分泌) L-glutaminase 활성(活性)(MGA)은 처리간에 차이가 경미(輕微)하였으며 활성정도(活性程度)는 AGA와 비슷하였다. 또한 AGA는 토양 중 규산(硅酸), 인산(燐酸) 함량(含量)과 pH와는 고도(高度)의 유의(有意)한 상관(相關)이 있었다. 토양 중 phosphatase 활성(活性)은 toluene 처리와 무처리간에 차이가 경미하였으나, 퇴비(堆肥)와 비료(肥料) 시비방법(施肥方法)에 따른 차이는 심하여서 3요소구(要素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 3요소(要素)+규산구(硅酸區)에서 활성(活性)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phosphatase 활성(活性)과 토양 PH, 규산(硅酸), 인산(燐酸), 칼슘 함량(含量)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 PDF

해양 미세조류 Isochrysis galbana Parke 성장에 대한 환경 및 영양 조건의 영향 (Effect of the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Conditions on the Growth of Marine Microalga Isochrysis Galbana Parke)

  • 오유관;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03-310
    • /
    • 1996
  • 해양 미세조류인 Isochrysis galbana Parke의 성장에 미치는 여러 환경요인과 배지요인의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 배양조건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 1. 인공바닷물은 자연바닷물보다 다소 낮은 비성 장속도와 최종 균체농도를 나타내었다. 2.. 자연바닷물이 기초배지로 사용되었을 때 2mM 이상의 충분한 질산염 농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미량원소와 비타민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완충용액요로 Tris를 첨가한 경우 pH는 일정 하게 유지가 가능하나 비성장속도와 최종 균체농도 가 감소하였다. 4. 최적 초기 pH와 온도는 각각 pH 8, $20^{\circ}C$ 였다. 5. 벚세기를 400-21001ux의 범위에셔 변화시켰을 때 비성장속도는 18501ux까지 증가하였고 그 이 후로는 일정하였다. 6. 10mL에서 70mL로 Working volume을 증가 시켰을 때 초기 성장속도는 비슷하였으나 최종 균체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Working volume이 30mL일 때 최적 교반속 도는 100rpm정도이고, 더 높은 교반속도에서는 최 종 균체농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8. 플라스크배양의 최적조건에서 최대 비성장속도 와 최종 균체농도는 각각 $O.021hr^{-1}$과 1.1g/L로 얻어졌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Nuruk on Oxidative Stress, Melanogenesis, and Photo-Aging

  • Lee, Sang-Jin;Cho, Sung-Won;Kwon, Yi-Young;Kwon, Hee-Suk;Shin, Woo-Chang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117-123
    • /
    • 2012
  • Nuruk contribute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uruk extracts (NE) on anti-oxidant characters, melanogenesis, and anti-photoaging activity were investigated. NEs were obtained from the 70% ethanol extracts of six types of nuruk, which have been used in brewing of fermented alcohol beverages in Korea. First, various antioxidan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2,2'-azino-bis(3-ethylbenzthio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expression, and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ctivity. NE#4 exhibited poten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 19.51 ${\mu}g$/mL). Compared with NE#4, relatively lower levels of activity were observed for NE#3 and NE#6, with $IC_{50}$ values of 90.99 and 76.88 ${\mu}g$/mL,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SOD expression in $H_2O_2$-treated HepG2 cells, NE#5 and NE#6 induced a dramatic increase in the expression ratio of SOD,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H_2O_2$ only.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which converts xanthine into uric acid, generating superoxide ions, was inhibited by NE#4 and NE#6 in a dose-dependent manner. NE#4 induced significant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 reduction in cellular melanin contents of 80% was observed in B16F1 melanocytes treated with NE#5 and NE#6; these effects were similar to those of arbutin at 100 ${\mu}M$. In addition, gelatin zymography and reverse transcription-PC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ssessment of anti-photoaging activity of Nuruk. Treatment with NE#6 resulted in dramatically inhibited activities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9, suppressed expression of MMP-1,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ype-1 procollagen. Results of gelatin zymography for NE#4 and NE#5 were similar, to a slightly lesser degre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NE#4 and NE#6 as natural ingredients for use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함유 음료의 in vitro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효능 및 안전성 검증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 박재희;김소윤;강민구;윤민수;이양일;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총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comet assay) 및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무첨가군과 첨가군 단회 투여(2 g/kg) 시 나타나는 치사율, 체중, 생리적 증상, 장기무게, 생화학적 분석(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을 통해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를 함유한 호박, 알로에, 돼지감자음료 1 pack의 총 페놀함량은 66.35~100.98 mg/pack,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90.0%/1 pack, TRAP 값은 $1.46\sim1.54{\mu}M$/trolox equivalent(TE)를 보였으며, 모든 음료의 ORAC 값은 1500보다 높았다. 모든 음료는 인체 임파구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에 대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의 ICR mouse 암수 각각에 경구투여(2 g/kg) 후 14일까지 치사된 실험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생리적, 병리적 및 생화학적 분석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그룹들 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 g/kg의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를 ICR mouse에 단일 경구투여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항산화활성과 안전성은 산업적측면에서 약용 및 식용 자원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첨가 두부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fu (Soybean curd) Containing Mushrooms on the Immune Activities)

  • 김종봉;이용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61-966
    • /
    • 2011
  • 본 연구는 버섯성분을 함유한 두부의 면역조절물질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표고버섯(Letino edodes)과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의 자실체와 균사체를 두유에 첨가하고 응고제로 $CaSO_4{\cdot}2H_2O$ 또는 젖산발효추출물을 사용하여 두부를 만들었다. 두부와 버섯성분이 함유된 두부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Sandwich ELISA를 이용하여 비장세포 배양액에서의 IFN-${\gamma}$와 IL-4및 TNF-${\alpha}$농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혈장과 비장세포 배양액에서 IgG1, IgG2a 및 IgE등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조단백과 조지질은 버섯성분을 함유한 두부에서 감소되었으나, 인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IFN-${\gamma}$는 자실체나 두부를 투여한 생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IL-4는 표고버섯 자실체가 함유된 두부를 투여한 생쥐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TNF-${\alpha}$는 표고버섯 성분을 함유한 두부를 투여한 생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장의 IgG1은 거의 모든 실험군에서 증가되었으나, IgG2a는 대조군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비장임파구 배양액에서 측정한 IgG1 와 IgG2a의 농도는 자실체나 균사체를 첨가한 두부의 대부분의 그룹들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IgE의 혈장농도는 두부나 표고버섯을 투여한 생쥐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버섯 성분을 첨가한 두부 투여 생쥐그룹에서는 그 생성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버섯 성분을 함유한 두부들이 면역활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내며, 면역활성의 관점에서 두부와 표고버섯의 혼합물은 개발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ggin형 헤테로폴리산에 의한 과당의 5-하이드록시메틸퍼퓨랄로의 전환을 위한 탈수반응 (Dehydration Reaction of Fructose to 5-Hydroxymethylfurfural over Various Keggin-type Heteropolyacids)

  • 백자연;윤형진;김남동;최영보;이종협
    • 청정기술
    • /
    • 제16권3호
    • /
    • pp.220-228
    • /
    • 2010
  • 과당(fructose)로부터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바이오디젤보다 우수한 청정에너지 연료로 알려진 5-하이드록시메틸퍼퓨랄(HMF)을 제조하는 청정공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중심원소와 배위원소가 치환된 네 종류의 헤테로폴리산 $H_nXM_{12}O_{40}$ (중심원소 X = P, Si, 배위원소 M = W, Mo.)을 과당으로부터 HMF로 전환하는 탈수반응에 적용하고, 그 반응활성을 비교하였다. 헤테로폴리산의 산 세기는 중심원소가 P, 배위원소가 W일 때 더 높았으며 산 점의 수는 이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과당의 HMF로의 탈수반응은 헤테로폴리산의 산 특성과 음이온의 연성(softness)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촉매 활성점과 전환율이 상쇄 작용하여 네 종류의 헤테로폴리산 촉매는 서로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에 사용된 헤테로폴리산을 반응온도보다 높은 $200^{\circ}C$에서 열처리한 후에도 그 결정구조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헤테로폴리산의 반응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