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V_1/FVC%$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26초

근로자건강진단 폐활량검사에서 새로운 신뢰성기준 적용 결과 (New Reliability Criteria for Korean Workers' Health Examination Spirometry Results)

  • 원용림;이화연;이지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76-283
    • /
    • 2023
  •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는 현재 2005년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ATS)와 유럽호흡기학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 ERS)의 폐활량검사 표준화가이드를 준용하여 근로자건강진단 폐활량검사를 평가하고 있으며, 2019년 ATS/ERS가이드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새로운 평가기준에 따른 결과를 현재 결과와 비교해보고 우리나라 근로자건강진단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확인하기 위해 특수건강진단기관으로부터 수집한 325건의 폐활량검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외삽용적, 보정오차, FIVC 등의 평가기준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였음에도 검사의 신뢰성 점수가 상승한 기관이 더 많았다. 주요원인은 FEV1, FVC의 적합성과 재현성을 분리하여 판단함과 동시에 점수를 ATS 등급에 따라 차별 부여하므로 감점 폭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면 현재 부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자료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검사자와 판정의사의 결과선별과 해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검사자와 수검자 모두가 검사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관지확장증에서 Erythromycin의 소량 장기투여 효과 (The Effect of Low-dose Longterm Erythromycin on Bronchiectasis)

  • 김영환;오연목;정만표;유철규;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390-394
    • /
    • 1993
  • 연구배경 : 기관지확장증의 일부의 환자는 수술로 병변부위를 제거함으로서 완치될 수도 있으나 상당수의 환자에서는 기관지확장증이 국소적인 병변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체위배출법, 항생제투여 등의 내과적치료를 필요로 한다. 기관지확장증과 다른 질환이지만 기관지확장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이차적으로 기관지확장증이 잘 생기는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에서는 erythromycin의 소량 장기투여가 현저한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기관지확장증 환자에서도 erythromycin의 소량 장기투여가 효과가 있다는 일부 연구자의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통원치료 받고 있는 급성감염의 합병증이 없는 기관지확장증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erythromycin을 6개월 이상 투여하여 기관지확장증에서의 erythromycin의 소량 장기투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기관지확장증 25명의 환자에게 erythromycin 250 mg b.i.d.로 6개월 이상 투여하였다. 치료전, 치료 3개월 및 6개월 후 환자의 호흡기 증상, 이학적 소견, 흉부 X-선 소견, 폐기능검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32%의 환자에서 erythromycin 투여후 증상의 현저한 감소 및 폐기능검사상 FVC 및 FEV1의 호전을 보였으며, 32%의 환자에서는 주관적 증상의 호전은 있었으나 폐기능의 변화는 없었고, 36%의 환자에서는 증상 및 폐기능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2) 증상의 현저한 감소 및 폐기능검사상 FVC 및 FEV1의 호전을 보인 환자들은 대부분 투약 3개월 이내에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이 환자들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 환자들은 대부분 전폐야에 광범위한 기관지확장증의 병변이 있었고 만성부비동염을 동반한 환자들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erythromycin의 소량 장기투여는 대부분의 국소적 기관지확장증에는 효과가 없고 기관지확장증 환자의 일부, 주로 광범위한 기관지확장의 병변이 있는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으며 erythromycin의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신 말기 임산부의 호흡패턴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Pulmonary Function in the last period Pregnancy)

  • 채정병;박래준;배지혜;김광호;신성희;이화진;이희정;임미정;장은정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4호
    • /
    • pp.613-620
    • /
    • 2005
  • Tests of ventilatory function including pulmonary diffusing capacity were made in 18, the last period pregnant women and 20 non pregnant women. During the study was from May 22 to June 4, the subject of study refered 38 women (20 student and the staff of Physical Therapy at Masan college and 18 women who were examined at Masan OO obstetrics Hospital). All the studied subjects had no clinical abnormalities of the cardiorespiratory system. Mean FVC and FEV1.0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st pregnant women compare with that of non pregnant women. All the Other Measurements were not differ from those of non pregnant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l. Pregnancy wa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mean FVC and FEVl.0, Which at the last period pregnant women were $2.70{\pm}0.58{\iota},\;2.31{\pm}0.53{\iota}$ below the non pregnant women mean $3.03{\pm}0.33,\;2.64{\pm}0.44{\iota}$ : Both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The mean VC, which at the last period pregnant women was $3.15{\pm}0.45{\iota}$ below the non pregnant women mean $3.28{\pm}0.33{\iota}$ and the mean IC $2.21{\pm}0.53{\iota}$ below the non pregnant women mean $2.22{\pm}0.54{\iota}$, but the differ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mean ERV, IRV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non pregnant women and pregnant women. 4. The mean TV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non pregnant women and pregnant women. 5. The mean FEVl.0(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non pregnant women and pregnant women.

  • PDF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 6주 치료가 기관지 천식환자의 기관지 과민반응과 부신피질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6 Weeks of Treatment with Inhaled Budesonide 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drenal Function in Asthmatic Patients)

  • 김관형;오용석;김치홍;권순석;김영균;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19-227
    • /
    • 1992
  •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제제가 치료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흡입용 스테로이드는 전신적 부작용이 적어 경구용 스테로이드보다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의 효과와 전신적 부작용의 지표로서 부신피질-뇌하수체축에 대한 영향을 알고자 본 실험을 했다. 방법 : 강남성모병원에 내원한 기관지 천식환자 23명에서 내원당시, placebo투여 2주후, budesonide투여후 3주와 6주에 임상증상, 폐기능 검사, 히스타민 기도 유발검사, 오전 8시와 오후 4시의 ACTH 및 cortisol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1) 폐기능의 변화 : PEFR, FEV1, FVC가 budesonide 치료 3주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치료전보다 의미있는 개선효과가 있었다. 2) 증상의 변화 : 호흡곤란 치료후 3주일과 6주일후에 의미있는 증상의 개선이 있었다. 객담 : 치료후 3주일과 6주일에 치료전보다 의미있는 증상의 개선이 있었다. 수포음 : 치료후 3주일과 6주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3) 히스타민 기도 유발 시험 : 치료 3주일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치료 6주일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4) 혈중 Cortisol의 변화 : Budesonide 6주일 치료후에 오전 8시와 4시의 cortisol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5) 혈중 ACTH의 변화 : Budesonide 6주 치료 전후의 혈중 ACTH에는 영향이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 천식의 치료에 흡입용 스테로이드인 budesonide는 하루 $800{\mu}g$씩 투여할 경우 치료후 3주일부터 유의한 증상의 개선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일후에는 3주일보다 임상증상이 더욱 개선되고, 부신피질-뇌하수체축에는 뚜렷한 억제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수면중 동맥혈 산소 포화도의 변화 (The Changes of Arterial Oxygen Saturation During Sleep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 정기호;최형석;현인규;최동철;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55-261
    • /
    • 1991
  • Frequently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ave lowered arterial oxygen saturation in daytime. During sleep, they are apt to experience additional hypoxemia. These episode of nocturnal hypoxemia are usually associated with periods of relative hypoventilation. Noctunal hypoxemia may be associated with cardiac arrhythmia and with acute increase i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and may be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r pulmonale. We selected 14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9 with emphysema dominant type and 5 with chronic bronchitis dominant type,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nocturnal hypoxemia and the effect of oxygen in prevention of nocturnal hypoxem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 PFT, FVC, $FEV_1$, and $FEV_1$/FV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mphysema dominant type (pink puffers, PP) and the chronic bronchitis dominant type (blue bloaters, BB). But DLCO/VA for the PP group was $45.7{\pm}15.1%$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B group, $82.4{\pm}5.6%$. 2) The daytime arterial oxygen saturation ($SaO_2$) and the lowest $SaO_2$, during sleep for the BB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the PP group. 3) The hypoxemic episodes during sleep were more frequent in BB group and the duration of hypoxemic episode was longer in BB group. 4) In both group studied, although there was a tendency for a lower L-$SaO_2$ (the lowest $SaO_2$, during sleep), an increase in hypoxemic episodes and duration as the daytime $SaO_2$, fell lower, the only parameter whic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aytime $SaO_2$, and the frequency of hypoxemic episodes in the PP group (r=-0.68, P<0.05). 5) In PP group, with oxygen supplementation, L-$SaO_2$, during slee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n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frequency of hypoxemic episodes and duration to fall but it was not significant. 6) In BB group, oxygen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SaO_2$ during sleep a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hypoxemic episode.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oxygen supplementation during sleep can prevent the decrease in $SaO_2$ to some extent and that this effect of oxygen can be seen more prominently in the BB group.

  • PDF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의 치료에서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의 치료효과 (The Therapeutic Effect of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in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우덕수;설원종;경선영;임영희;안창혁;박정웅;정성환;이재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78-487
    • /
    • 2003
  • 연구배경 : Angiotensin II가 폐포상피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폐섬유모세포에서 TGF-${\beta}$등의 발현을 증가시켜 폐섬유화증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angiotensin II receptor의 차단이 폐섬유화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에게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AGIIRA)를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특발성 폐섬유화증으로 진단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명 의 환자에게는 angiotensin II type 1 receptor antaginist인 losartan(cozaar$^{(R)}$) 을 투여하였고 나머지 5명의 환자에게는 losartan을 투여 하지 않았으며, 치료 직전과 치료 l년 후에 모든 환자에게 폐기능 검사와 호흡곤란 지수의 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AGIIRA 복용 군에서는 폐기능이 전체적으로 약간의 호전을 보였으며, 미 복용 군에서는 DLco%가 5%로 증가하였으나 TLC가 14%로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페기능이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폐기능 변화가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고 두 군간의 변화율의 변화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호흡곤란 지수는 AGIIRA 복용한 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호전을 보였다. 결 론 : 특발성 폐섬유화증의 치료에 AGIIRA가 일부 환자들에게 임상적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오랜 기간의 연구와 함께 폐섬유화에 있어서 anglotensin II와 그 receptor에 대한 기전과 역할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지 않은 유육종증 환자의 임상경과 (Clinical Course of Untreated Sarcoidosis)

  • 고영민;정경재;박상준;강경우;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807-816
    • /
    • 1999
  • 배경 및 목적 : 유육종증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경과를 나타낸다. 이에 저자들은 유육종증으로 진단 후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지 않은 환자들을 추적관찰하여 유육종증의 임상경과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l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조직학적 검사로 확진된 유육종증 환자들 중 스테로이드 치료률 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후 3개월마다 호흡곤란의 악화 유무, FVC, $FEV_1$, DLco등의 폐기능검사, 단순 흉부 X-선 소견 변화 및 폐외 유육종증의 발현 유무를 평가하여 악화, 안정, 호전군으로 분류하였고 단순 흉부 X-선사진상 병변이 완전히 소실된 경우를 '정상'상태로 판정하였다. 결 과: 전체 유육종증환자 24 명중 19 명이 치료없이 추적관찰만 하였으며 연령의 중앙값은 33세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2개월이었고 이중 14명이 호전을 보였고, 4명은 안정상태였으며, 1명에서만 악화를 보였다. 호전된 14 명중 13명은 추적기간중 단순 흉부 X-선 소견상 병변이 소실되어 정상상태로 평가되었다. 결 론: 우리나라의 유육종증환자의 임상양상은 서구의 환자들과 유사한 양상이었고, 임상증상이 경미하고 폐를 비롯한 심각한 폐외 장기침범이 없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치료의 유용성이 낮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바른체형운동 지도가 정신장애인의 우울감 및 폐활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Upright Body Type Excercise on Lung Capacity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우경희;양정옥;이중숙;이범진;김의숙;정숙희;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69-1181
    • /
    • 2016
  • 본 연구는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폐활량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북 P시에 거주하고 정신장애 판정을 받았으며 정신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한 피험자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하였고, 연구 참가동의서를 받은 19명을 최종 선정하여 10명은 운동군, 9명은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12주간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폐활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PEF (최대호기속도)와 FEV1/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가 바른체형운동 적용 후에 증가하여 호기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운동군의 우울감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울정도의 감소폭이 통제군보다 운동군에서 훨씬 크게 나타나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의 우울감 정도의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특수성으로 인한 표본 수의 한계로 인해 통계적 검증의 한계가 명확히 존재함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질적분석(qualitative research)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 중 동의하는 사람에 한해 심층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표현하는 내용의 의미단위를 검토하여 분류하고 세분화하는 작업을 통해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우울감 정도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울감의 변화과정은 ′변화의 시작′,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신체적 건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신체적 건강증진′, ′신체적 기능의 회복′, ′부정적인 습관(자세)의 변화′, ′우울감의 감소′, ′할 수 있다는 자신감′, ′미래에 대한 희망′과 같은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 주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들의 신체적 건강증진을 위해 심폐지구력을 높여 신체적 건강증진을 도모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정신적 우울감의 감소에도 효과성을 높여 정신적 건강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보급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utcomes of Sleeve Lobectomy versus Pneumonectomy for Lung Cancer

  • Lee, Hong-Kyu;Lee, Hee-Sung;Kim, Kun-Il;Shin, Ho-Seung;Lee, Jae-Woong;Kim, Hyoung-Soo;Cho, Sung-W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6호
    • /
    • pp.413-417
    • /
    • 2011
  • Background: Sleeve lobectomy for lung cancer in close proximity to or involving the carina is widely accepted.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recurrence, and survival rates have varied considerably across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of 2005 to July of 2010, sleeve lobectomy was performed in 19 patients and pneumonectomy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sleeve lobectomy and pneumonectomy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will be compared and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either group, but there was one mortality in the pneumonectomy group. There was better preservation of pulmonary function in the sleeve lobectomy group than the pneumonectomy group (p=0.066 in FVC, p=0.019 in FEV1). The 3-year survival rates were 46.7% in the sleeve lobectomy group and 54.5% in the pneumonectomy group (p=0.505). The 3-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38% in the sleeve lobectomy group and 45.8% in the pneumonectomy group (p=0.200). Conclusion: Sleeve lobectomy for lung cancer showed low mortality, low bronchial anastomotic complication rates, and good preservation of pulmonary function.

음성진전 유무에 따른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의 보툴리눔 독소-A 주입 후 음성 특성 변화 양상 (The Aspect of Voice Characteristics Change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in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ccording to Vocal Tremor)

  • 고혜주;최홍식;임성은;최예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4권4호
    • /
    • pp.95-107
    • /
    • 2012
  • As BTX-A, which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ADSD, is not effective in treating vocal tremors, voice assessment must be employed to perform differential diagnosis of SD and vocal tremor in an accurate fash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changes after botulinum toxin injection were compared by analyzing the voice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vocal tremors using objective analysis devices, with the aim of helping to provide prognoses and to determine remedial effects in clinical cases comprising patients wit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ccompanied by voice tremors. Respiratory function tests, aerodynamic analysis, electroglottography (EGG), acoustic analysis, auditory perception tests, and K-VHI had been conducted at intervals of four, eight, and twelve weeks before and after injection, targeting a group of 17 ADSD female patients (a ADSD group of four with vocal tremor and a ADSD group of 13 without voice tremor). For average FVC and FEV1, the 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 averages compared with the NT group, whereas the 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average ATRI compared with the NT group. In addition, the 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tr, lower than that of the NT group. For the ADSD group of patients with voice tremor, their vocal tremor remained unchanged despite noticeable decrease in wringing voices. In other words, as the vocal tremor and wringing voices are two distinctive features, there is a need for the two features to be targeted separately for differential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