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V_{1.0}$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32초

Comparison of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n Pneumonectomy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Lung Perfusion Scans

  • Kang, Hee Joon;Lee, Seok S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87-493
    • /
    • 2021
  • Background: Predict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 after pneumonectomy is essential. We retrospectively compar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to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CT) volumetry and perfusion scintigraphy in patients who underwent pneumonectomy. Methods: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was calculated based on perfusion scintigraphy and CT volumetry. The predicted function was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n terms of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using 4 parameters: FVC, FVC%, FEV1, and FEV1%. Results: The correlations between postoperative function and predicted function based on CT volumetry were r=0.632 (p=0.003) for FVC% and r=0.728 (p<0.001) for FEV1%. The correlations between postoperative function and predicted postoperative function based on perfusion scintigraphy were r=0.654 (p=0.002) for FVC% and r=0.758 (p<0.001) for FEV1%. The preoperativ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n which the gap between postoperative FEV1 and predicted postoperative FEV1 analyzed by CT was smaller than the gap analyzed by perfusion scintigraphy (1.2±0.62 vs. 0.4±0.52, p=0.006). Conclusion: This study affirms that CT volumetry can replace perfusion scintigraphy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needing pneumonectom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a better predictor of postoperative lung function for poor-performance patients (i.e., those with high ECOG scor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screpancy between Exercise Capacity and Airflow Lim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Tae Hoon Kim;I Re Heo;Na Young Kim;Joo Hun Park;Hee-Young Yoon;Ji Ye Jung;Seung Won Ra;Ki-Suck Jung;Kwang Ha Yoo;Ho Cheol Kim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2호
    • /
    • pp.155-164
    • /
    • 2024
  • Background: Exercise capacity is associated with lung function declin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but a discrepancy between exercise capacity and airflow limitation exis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discrepancy in COPD patients. Methods: Data for this prospective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OPD Subgroup Study. The exercise capacity and airflow limitation were assessed using the 6-minute walk distance (6-MWD; m)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EV1 >50%+6-MWD >350, FEV1 >50%+6-MWD ≤350, FEV1 ≤50%+6-MWD >350, and FEV1 ≤50%+6-MWD ≤350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883 patients (male:female, 822:61; mean age, 68.3±7.97 years) were enrolled. Among 591 patients with FEV1 >50%, 242 were in the 6-MWD ≤350 group, and among 292 patients with FEV1 ≤50%, 185 were in the 6-MWD >350 group.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le sex (odds ratio [OR], 8.779; 95% confidence interval [CI], 1.539 to 50.087; p=0.014), current smoking status (OR, 0.355; 95% CI, 0.178 to 0.709; p=0.003), and hemoglobin levels (OR, 1.332; 95% CI, 1.077 to 1.648; p=0.00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in exercise capacity and airflow limitation in patients with FEV1 >50%. Meanwhile, in patients with FEV1 ≤50%, diffusion capacity of carbon monoxide (OR, 0.945; 95% CI, 0.912 to 0.979; p=0.002)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between exercise capacity and airflow limitation. Conclusion: The exercise capacity of COPD patients may be influenced by factors other than airflow limitation, so thes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when assessing and treating patients.

체중 잔차를 이용한 12세 아동의 정상 폐기능 예측식 (Prediction Equations for FVC and FEV1 among Korean Children Aged 12 Years)

  • 강종원;성주헌;조수헌;주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60-64
    • /
    • 1999
  • 환경오염과 관련된 건강효과 연구에서 흡연, 직업 등 교란변수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면서 폐기능검사가 제대로 시행될 수 있는 연구대상으로 선호되고 있는 특정 연령층인 12세 학동의 보다 정확한 FVC와 FEV1 예측식을 만 들고자 전국 11개 중학교의 학생들(남자 256명, 여자 301명)을 대상으로 측정된 신장, 체중, 그리고 폐기능검사 값으로 신장-체중의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12세 인구의 신장별 표준체중을 산출하였다. 이 표준체중과 실측체중의 차이인 잔차를 독립변수로 하여 폐기능 예측 식을 남녀별로 만들었는데, 남자의 경우는, FVC(ml) = 50.84 $\times$ 신장(cm) + 7.06 $\times$ 체중 잔차 - 4838.86, FEV1(m1) = 43.57 $\times$ 신장(cm) + 3.16 $\times$ 체증 잔차 4156.66 이었다. 여자에서는 FVC(ml) = 42.57 $\times$ 신장(cm) + 12.50 $\times$ 체중 잔차 - 3862.39, 그리고 FEV1(ml) = 36.29 $\times$ 신장(cm) + 7.74 $\times$ 체중 잔차 - 3200.94 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예측값들의 설명력(R2)은 남자에서 FVC, FEV1가 각각 0.708, 0.670이었고, 여자에서는 FVC, FEV1가 각각 0.580, 0.513이었다.

  • PDF

노인환자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FEV6의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 (The Complementary Role of FEV6 in Bronchodilator Reversibility Test for the Old Age)

  • 김새희;이양덕;이정윤;조용선;나동집;한민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27-232
    • /
    • 2006
  • 연구배경: 기도가역성 측정시,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과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은 흔히 사용되는 지표인데 양성반응의 권장기준은 기저치보다 증가치가 절대량이 200ml이상 그리고 백분율로는 12%이상의 두 조건을 다 만족하는 것이다. 그러나 노인 환자는 천식에 합당한 병력을 가지고 있어도 기도가역성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저자들은 6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6}$)이 노인의 기도가역성 검사에서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중 폐기능검사에서 $FEV_{1}$/FVC가 80%미만인 236명에게 폐활량측정법으로 기도가역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저 $FEV_{1}$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에서의 FVC, $FEV_{6}$, $FEV_{1}$의 지표에 따른 기도가역성를 비교분석하였다. 제1군 : $$FEV_{1}{\geq_-}80%$$, 제2군 : $FEV_{1}$ 60~80%, 제3군 : $$FEV_{1}{\leq_-}60%$$ 결 과: 전체 환자에서 기도가역성은 각각의 지표에 따라 $FEV_{1}$에서는 33명(14.0%), $FEV_{6}$는 55명(23.3%), FVC는 55명(23.3%)로 양성반응을 보였고, 제3군($$FEV_{1}{\leq_-}60%$$)에서는 $FEV_{1}$을 지표로 할 때는 15명(22.4%), $FEV_{6}$는 30명(44.8%), FVC는 32명(47.8%)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FEV_{6}$가 노인환자에서 기도가역성 검사의 새로운 보완적 지표로서의 역할을 보여줬지만 이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폐절제술후의 폐기능 예측에 대한 나선식 정량적 CT의 유용성 (나선식 정량적 CT와 폐관류스캔과의 비교) (Use of Quantitative CT to Predict Postoperative Lung Function (Comparison of Quantitative CT and Perfusion Lung Scan))

  • 이조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798-805
    • /
    • 2000
  • Background : the prediction on changes in the lung function after lung surgery w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in terms of the operabili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order to predict the postoperative FEV1 - the commonly used method for measuring changes in lung func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quantitative CT and the perfusion lung scan was made and proved its usefulness. Material and Method : The subjects included 22 patients who received perfusion lung scan and quantitative CT preoperatively and with whom the follow-up of PFT were possibles out of the pool of patients who underwent right lobectomy or right pneumonectomy between June of 1997 and December of 1999. The FEV1 and FVC were calibrated by performing the PFT on each patient and then the predicted FEV1 and FVC were calculated after performing perfusion lung scan and quantitative CT postoperatively. The FEV1 and FVC were calibrated by performing the PFT after 1 week and after 3 momths following the surgery.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mutual scan and the actual postoperative FEV1 and FVC at 1 week and 3 months. The predicted FEV1 and FVC(pneumonectomy group : r=0.962 and r=0.938 lobectomy group ; r=0.921 and r=913) using quantitative CT at 1 week postoperatively showed a higher mutual relationship than that predicted by perfusion lung scan(pneumonectomy group : r=0.927 and r=0.890 lobectomy group : r=0.910 and r=0.905) The result was likewise at 3 months postoperatively(CT -pneumonectomy group : r=0.799 and r=0.882 lobectomy group : r=0.934 and r=0.932) Conclusion ; In comparison to perfusion lung scan quantitative CT is more accurate in predicting lung function postoperatively and is cost-effective as wel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quantitative CT is an effective method of replacing the perfusion lung scan in predicting lung function post-operatively. However it is noted that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using more data and follow-up studies of the patients is required.

  • PDF

탄광부 진폐증자의 일초폐활량($FEV_{1.0}$)과 폐성심의 심전도 소견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ECG Sign of Cor Pulmonale in Coal Workers' Pneumoconiosis)

  • 천용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267-270
    • /
    • 1988
  • The medical record of ECC and pulmonary function test of 297 cases who were dead at hospital or admitted as coal workers' pneumoconiosis were used for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_{1.0}$) and ECG sign of pulmonale. The incidence of T wave inversion in $V_1$ lea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FEV_{1.0}$ decrease. The incidence of T wave inversion in $V_1$ lead was over the half in the group of $FEV_{1.0}$ less than 0.7l.

  • PDF

소아 천식에서 호기산화질소와 폐기능 검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xhaled nitric oxide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children with asthma)

  • 고한석;정성훈;최용성;최선희;나영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81-187
    • /
    • 2008
  • 목 적 : 천식의 특징은 기도염증의 결과인 가역적인 기류제한과 기관지과반응성이다. 최근에 호기산화질소(exhaled nitric oxide; FeNO)이 비침습적으로 기도염증을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또한 FeNO는 천식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데 이용되는 객담내 호산구수나 메타콜린 기도유발시험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간헐성 천식환자에서 폐기능검사와 호기산화질소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4월부터 8월까지 경희의대부속병원 소아과에서 천식으로 진단되어 폐기능검사와 호기산화질소 측정이 가능하였던 5세부터 15세의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 4주내에 상기도 감염이 없었고, 부신피질스테로이드를 포함한 조절약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폐기능검사는 Microspirometer를 사용하였다. Eco Medics사의 Chemiluminescence NO-analyzer(CLD 88 sp, Duernten, Switzerland)를 사용하여 FeNO를 측정하였으며 폐기능 검사와 FeNO와의 상관관계 분석은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 하였다. 결 과 : 1초간 강제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의 평균은 $0.890{\pm}0.455L$이었으며 강제폐활량 (forced vital capacity; FVC)의 평균은 $1.071{\pm}0.630L$이었다. $FEV_1%pred$의 평균은 $98.39{\pm}34.27%$였으며 $FEV_1/FVC$의 평균은 $88.53{\pm}19.49$이었다. FeNO의 평균치는 16.88 parts per billion(ppb)이었다. FeNO 측정치는 $FEV_1$(r=0.345, P<0.01), FVC(r=0.244, P<0.0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FEV_1%pred$$FEV_1/FVC$는 FeNO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 FeNO의 측정은 폐기능 검사와 함께 소아천식 환자의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빙성있는 검사로 생각되며 측정 방법이나 측정치의 참고치 설정에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후 폐기능 변화의 예측에 대한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스캔의 비교 (Comparison of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 천영국;곽영임;윤종길;조재일;심영목;임상무;홍성운;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11-119
    • /
    • 1994
  • 배경 및 목적: 폐암 환자의 다수가 흡연력이 있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병발되어 있으므로 수술후 폐기능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폐 절제술 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현재까지 99mTc-MAA를 이용한 폐관류 스캔이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론적으로 폐환기와 폐관류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 오차가 있을 수 있어 $^{99m}Tc$-DTPA 연무흡입 환기 스캔을 이용해 잔류 폐기능을 예측하여 관류 스캔을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수술전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 스캔을 시행하고 수술전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잔여 폐기능을 예측하고 수술후 2개월 뒤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전 폐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전체 폐에 대한 잔류폐의 비 폐엽 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1-침범된 폐의 전체폐에 대한 비$\times$절제될 폐의 분절 수/침범된 폐의 총 분절 수) 결과: 1) $FEV_1$에서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 실측치 간의 상관 계수는 0.94(p<0.0001), 폐관류 스캔을 이용한 경우는 0.86(p<0.0001)이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FVC에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91(p<0.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0.72(p=0.0005)로 연무 흡입스캔으로 예측한 군에서 상관 관계가 좋았다. 3) $FEF_{25-75%}$에서의 결과는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87(p=0.0001), 폐관류 스캔에서는 상관 계수가 0.87(p<0.000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두 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군에서 비교한 결과를 보면 연무 흡입 스캔에서 상관 계수는 $FEV_1$ 0.97(p<0.0001), FVC 0.95(p<0.0001), $FEF_{25-75%}$ 0.85(p<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FEV_1$ 0.97(p<0.0001), FVC 0.96(p<0.0001), $FEF_{25-75%}$ 0.83(p<0.002)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수술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연무 흡입스캔 및 관류 스캔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비교적 정확했고 폐기능중에서는 $FEV_1$이 가장 상관 관계가 좋았다.

  • PDF

The Effects of Horse-riding Simulator Training with Dual-task on Pulmonary Function and Flexibility in Healthy Adults

  • Seo, Jeong Pyo;Hwang, Yoon Tae;Kwon, J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2권6호
    • /
    • pp.383-38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imultaneous dual-task and horse-riding simulator (HRS) training regime on pulmonary function and flexibility. Methods: Sixteen subjec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a dual-task (DT) (n=8) or a single-task (ST) (n=8) training group. Flexibility and pulmonary func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HRS training. Both groups underwent HRS training for 4 weeks, 3 times/week in 15-minute training sessions. The ST group underwent HRS training and the DT group underwent dual-task HRS training, which consisted of throwing and catching a ball and ring catching while HRS training. Results: Training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bility and FVC (forced vital capacity) and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in both groups (p<0.05), but FEV1/FVC and PEF (peak expiratory flow)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training in both groups (p>0.05). After the training, flexibility and FVC in the DT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ST group (p<0.05), but FEV1, FEV1/FVC, and PEF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 Simultaneous dual-task and HRS motor training improved flexibility, FVC, and FEV1, and our comparative analysis suggests that dual-task HRS training improved flexibility and FVC more than single-task training.

만성 농흉에서 늑막박피술후 폐기능의 변화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fter Decortication in Chronic Empyema Thoracis)

  • 김창수;김길동;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14-919
    • /
    • 1997
  •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만성 농흉으로 늑막박피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수술전 후에 폐기능 검사를 시행한 33례와 폐관류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11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수술후 FEV1은 술전 2.30 L/sec에서 2.65 L/sec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8). 2. 연령별 수술전 후 FEV1의 변화는 20세 미만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그 이상의 연령군에선 유의성이 얼었다. 3. 만성 농흉의 원인을 결핵성과 비결핵성으로 나누어 수술 전후의 FEV1을 비교시 결핵성 농흉 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p=0.008). 4. 추적관찰 기간에 따른 FEVI의 변화는 24개월 이전에선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24개월 이후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0=0.013). 5. 늑막박피술을 시행받은 폐의 관류량은 술전 21.5.%에서 술후 26.9%(p=0.046), FEVI은 술전 0.56 L/sec에서 술후 0.78 L/sec(p=0.071) 증가하였으며, 반대측 폐의 관류량은 술전 78.4%에서 술후 72.9%(p=0.042), FEVi 은 술전 2.04 L/sec에서 수술후 2.03 L/sec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