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Cl_2$

검색결과 1,951건 처리시간 0.026초

응고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전지대두분 두부의 품질 (Quality Attributes of Whole Soybean flour Tofu Affected by Coagulant and Theirs Concentration)

  • 김주영;김준한;;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02-409
    • /
    • 2000
  • 전지대두분(WSF) 두부의 응고제 종류와 농도별 수율은 $CaCl_2$, $CaSO_4$, GDL, $MgCl_2$, $Ca-gluconate+CaSO_4$, $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Ca-gluconate+MgCl_2$, $GDL+CaCl_2$ 첨가구는 0.4%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Cl_2$ 첨가구는 0.5%에서 각각 가장 높았으며 0.3% $GDL+CaSO_4$ 혼합응고제를 첨가하였을 때 4.48(g/g WSF)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응고제 농도에 따른 WSF 두부의 색도는 응고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과 b값은 점차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일반두부와 시판두부에 비해 L값이 대체로 낮았으며 b값은 현저히 높았으나 a값은 비슷하였다. WSF두부의 각 응고제 농도에 따른 견고성(hardness)은 응고제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응고제 종류에 따른 견고성(hardness)은 전반적으로 $CaCl_2$를 사용한 경우 비교적 높았으며 $CaSO_4$와 GDL 응고제를 사용한 첨가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접착성(adhesiveness)은 응고제 농도가 높아질수록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CaSO_4$, GDL, $Ca-gluconate+CaSO_4$$GDL+CaSO_4$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응고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탄력성(springiness)은 $GDL+CaSO_4$ 혼합 첨가구에서는 응고제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씹힘성(chewiness)은 혼합 응고제 첨가구에서 대체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뭉치는 성질(gumminess)은 견고성(hardness)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WSF 두부의 각 응고제 농도에 따른 관능평가 중 전체적기호도에서는 $CaCl_2$, $Ca-gluconate+CaCl_2$, $GDL+CaCl_2$ 첨가구는 0.2%에서, $CaSO_4$, GDL, $MgCl_2$, $Ca-gluconate+MgCl_2$, $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 PDF

배 장십랑품종의 저장 전 $CaCl_2$처리에 따른 과실 칼슘함량과 과실특성의 변화 (Effect of Postharvest Calcium Solution Dipping and Vacuum Infiltration on Calcium Content and Quality of Chojuro Pear Fruit)

  • 최종승;이주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7-61
    • /
    • 1998
  • 장십랑 배를 수확한 후에 $CaCl_2$에 침지 또는 감압침지하므로 과실의 칼슘함량이 증가되었다. 특히 과피와 과피직하 과육의 칼슘증가량이 많았다. 단순침지의 경우 $CaCl_2$의 농도가 2%에서 8%까지 높아질수록 과실의 칼슘함량이 증가되어 효과적이었고, 감압침지의 경우 200-600mmHg의 감압범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단순 침지와 감압침지 간에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처리 4주 후의 과실경도의 저하는 $CaCl_2$ 처리로 칼슘함량이 증가된 과실에서 둔화되었다.

  • PDF

김치재료에 존재하는 Pectinesterase, Polygalacturonase 및 Peroxidase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ectinesterase, Polygalacturonase and Peroxidase in Kimchi Materials)

  • 박희옥;김기현;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443-448
    • /
    • 1990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ctinesterase(PE), polygalacturonase(PG) and Peroxidase(POD) in Kimchi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pecific activities of PEs in Korean cabbage, Korean raddish, garlic and ginger were 200 unit/mg protein, 23.1 unit/mg protein, 0.8 unit/mg protein and 32 unit/mg protein, respectively. The optimum pHs of PEs in all materials were between 7 to 8. The concentrations of NaCl, $CaCl_2$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of PEs were $0.2{\sim}0.3M$ NaCl, 50 mM $CaCl_2$ in Korean cabbage and raddish, 0.05 M NaCl, 20 mM $CaCl_2$ in garlic and 0.2 M NaCl, 20 mM $CaCl_2$ in ginger. 2. The specific activities and the optimum pHs of PGs were 1.5 unit/mg protein and pH 4.5 in Korean cabbage, 1.6 unit/mg protein and $pH\;4.5{\sim}5.5M$ in Korean raddish, 0.06 unit/mg protein and $pH\;3.0{\sim}3.5M$ in garlic, and 0.06 unit/mg protein and $CaCl_2$ in ginger. The concentrations of NaCl, $CaCl_2$ which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of PGs were $0.1{\sim}0.2M$ NaCl and $0.15{\sim}0.2mM$ mM $CaCl_2$ in all materials. 3. The specific activities and the optimum pHs of PODs in Korean cabbage, Korean raddish, garlic and ginger were 71.3 unit/mg protein ; pH 6.0. 769 unit/mg protein ; pH 5.5, 1.09 unit/mg protein ; pH 4.5 and 12.7 unit/mg protein ; $pH\;5.0{\sim}5.5M$, respectively. POD activities were not decreased in Korean cabbage, but decreased in Korean raddish by the increase of NaCl, $CaCl_2$ concentrations. In garlic and ginger, POD activities were a little slightly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aCl, $CaCl_2$ concentrations.

  • PDF

분리 대두단백질과 염화칼슘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용성 키토산 필름의 특성 (Effect of Soy Protein Isolate and Calcium Chloride on the Properties of Water Soluble Chitosan Film)

  • 조지미;박상규;이유석;이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2호
    • /
    • pp.113-116
    • /
    • 2003
  • 수용성 키토산 필름 용액에 분리 대두단백질(SPI)과 $CaCl_2$ 첨가가 키토산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을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의 색도, puncture strength, 인장강도와 신장률, 수증기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필름의 puncture strength는 0.15% $CaCl_2$를 첨가하여 제조한 키토산 필름이 $458.8\;g_f$로 대조구의 $174.5\;g_f$보다 약 2.5배 증가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인장강도의 경우 대조구가 0.06 MPa인 반면에 0.05% $CaCl_2$를 첨가한 키토산 필름은 1.58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SPI를 2.5% 첨가한 필름은 0.73 MPa로 나타났다. 필름의 신장률은 대조구가 12.25%인 반면 0.15% $CaCl_2$를 첨가한 필름은 44.80%로 $CaCl_2$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증기투과도는 $CaCl_2$를 첨가한 필름이 SPI를 첨가한 필름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염화물계 제설제의 밀, 보리, 시금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de-deicers on Growth of Wheat, Barley and Spinach)

  • 김순일;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0-357
    • /
    • 2014
  • $CaCl_2$나 NaCl과 같은 제설제들은 겨울철에 교통사고예방과 상해방지를 위해서 빈번히 사용된다. 제설제가 사고를 줄이는데 기여를 해오고 있지만, 농업 및 임업 생산성 감소, 토양 및 수질 오염 등의 부작용도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재배가 활발한 밀, 보리, 시금치의 발아 생육에 대한 제설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제설제의 농도가 3%이상인 경우, 노출된 밀, 보리, 시금치의 발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성이 있는 감수성을 보였고, 시금치가 가장 감수성이 높았다. 유묘에 대한 제설제 분무는 잎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작물이 지속적으로 제설제에 처리된 토양에 노출되었을 때 작물의 발아는 제설제 2% 이상농도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제설제에 노출된 유묘성장은 $CaCl_2$, NaCl 처리구 모두 밀과 보리에 비슷한 저해효과를 보였고, 시금치가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1% 제설제가 처리된 토양에서 1달동안 성장한 유묘의 줄기와 뿌리는 대조구에 비해서 성장이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설제에 대한 작물의 감수성은 NaCl> $CaCl_2$ > mixture ($CaCl_2$ + NaCl) 임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조사작물 유묘의 생체량은 1.5-4배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염화물계 제설제가 토양에 들어감으로써 작물의 발아, 성장, 생체량의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MgCl2-CaCl2-NaCl 혼합용융염에서 Mg2+ 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 (Electrochemical Behavior of Mg2+ Ions in MgCl2-CaCl2-NaCl Molten Salt)

  • 류효열;정상문;김정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939-9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MgCl_2-CaCl_2$-NaCl 혼합용융염에서 $Mg^{2+}$ 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평가하였다. $MgCl_2-CaCl_2$-NaCl 용융염에서 순환전압전류법 측정을 통해 $Mg^{2+}$이온의 환원전위를 측정하였고, $MgCl_2$의 농도 변화 및 용융염의 온도변화에 따른 환원전위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각 660, 680, 700, 720 및 $740^{\circ}C$의 온도에서 $Mg^{2+}$ 이온의 확산계수를 계산한 결과 $8.79{\times}10^{-6}$, $9.56{\times}10^{-6}$, $1.17{\times}10^{-5}$, $1.4{\times}10^{-5}$$1.77{\times}10^{-5}\;cm^2\;s^{-1}$로 측정되었다. 또한 Arrhenius 식을 통해 $Mg^{2+}$ 이온의 확산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70.28\;kJ\;mol^{-1}$로 계산되었다.

감자의 전처리 방법에 따른 환원당 함량과 potato chip의 색상 (Reducing sugar contents of potato tubers and potato chip color by pretreated methods)

  • 남경아;노완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37-442
    • /
    • 1992
  • 우리나라에서 널리 보급되어 재배되고 있는 감자 품종인 수미(秀美, Superior) 및 남작(男爵, Irish Cobbler) 두 품종을 원료로 potato chip을 제조할 때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Maillard 반응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환원당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저해제로 알려진 $CaCl_2$와 NaCl을 사용하여 감자를 전처리한 후 환원당 함량을 분석하고 potato chip을 제조하여 색상을 비교한 결과 NaCl로 침지 처리한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15{\sim}30%$에 불과하고 chip의 색상도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NaCl 침지 가열처리의 경우에는 환원당의 감소가 평균 40%였으며, 특히 두 품종 모두 0.08% NaCl 용액으로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에 침지처리한 것은 NaCl 용액으로 처리한 것보다 효과는 있었으나 색상이 고르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갈색화되었다. $CaCl_2$용액에 침지 가열처리한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환원당의 감소가 약 50% 정도였으며 그 중에서도 0.05% 및 0.07% $CaCl_2$ 용액에 5분 및 7분간 처리한 것이 환원당의 감소는 물론 chip의 색상도 가장 좋았다. 침지시 상온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72{\sim}82^{\circ}$ 에서 NaCl 용액 보다는 $CaCl_2$ 용액으로 blanching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Calcium chloride is a better calcium source rather than calcium carbonate for weanling pigs

  • JunYoung, Mun;ChangBeon, Lee;Abdolreza, Hosseindoust;SangHun, Ha;Habeeb, Tajudeen;JinSo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871-884
    • /
    • 202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lcium (Ca) levels in weanling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In experiment 1, one hundred and eighty weanling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one of the three treatments. The treatments were low (Ca 0.60% in phase 1 and 0.50% in phase 2), standard (Ca 0.72% in phase 1 and 0.66% in phase 2), and high (Ca 0.84% in phase 1 and 0.72% in phase 2). In experiment 2, hundred and forty weanling pig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differing in Ca levels (high and low) and sources (CaCl2 and CaCO3) in a 2 × 2 factorial arrangement. There were 10 pigs per replicate in both experiments, with 6 replicates in each treatment, and they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phase 1, days 0-14; phase 2, days 15-28). In experiment 1, body weight (BW), average daily gain (ADG), and growth to feed ratio (G/F) increased as the Ca level decreased (p < 0.05). P digestibility was higher in the low-Ca diet group than in the high-Ca diet group (p <0.05). In experiment 2, the final BW, ADG, and G/F increased in the CaCl2 diet group compared with the case in the CaCO3 diet group (p < 0.05). The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P), Ca, and P was higher in the CaCl2 diet group than in the CaCO3 diet group (p < 0.05). Cl- levels were higher in the CaCl2 diet group than in the CaCO3 diet group (p < 0.05). The bicarbonate (HCO3-), base excess (BE), and electrolyte balance (EB) levels were lower in the CaCl2 diet group than in the CaCO3 diet group (p < 0.05). Hematocrit increased as the Ca level decreased (p < 0.05). The HCO3- interacted with the Ca sources and thus, affected the Ca levels (p < 0.05). Bone ash, Ca, and P were downregulated in the low-Ca diet group compared with the case in the high-Ca diet group. Overall, the low dietary Ca supplementation led to greater growth performance. Furthermore, CaCl2 appeared to be a better Ca source than CaCO3 because of the greater digestibility of CP, Ca, and P, and improved EB.

CsCl 보호막을 이용한 전면발광 OLED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op Emission OLEDs with CsCl Passivation Layer)

  • 김소연;문대규;한정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73-177
    • /
    • 2008
  • We have developed the transparent passivation layer for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CsCl thin film by the thermal evaporation method. The CsCl film was deposited on the Ca/Ag semitransparent cathode.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Ca/ Ag/CsCl triple layer is higher than that of Ca/Ag double layer in the visible range. The device with a structure of glass/Ni/2-TNATA/a-NPD/Alq3:C545T/BCP/Alq3/Ca/Ag/CsCl results in higher efficiency than the device without CsCl passivation layer. The device without CsCl thin film shows a current efficiency of 7 cd/A, whereas the device passivated with CsCl layer shows an efficiency of 10 cd/A. This increase of efficiency isresulted from the increased optical extraction by the CsCl passivation layer.

점질물 제거가 다시마 추출액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moval of Viscous Material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a Tangle Extract)

  • 이정근;이승렬;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32
    • /
    • 1994
  • 알긴산 제거시 전반적으로 고형분 및 단백질 수율이 감소하였고 UF처리가 $CaCl_2$ 첨가시 보다 더 뚜렸한 감소를 보였으며 점도는 알긴산 제거전 $84{\sim}94\;cps$이었던 것이 10cps로 감소하였고 탁도 또한 현저히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의 회수량은 $CaCl_2$ 첨가보다 UF처리한 것이 적었고 특히 NaCl을 첨가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mannitol은 추출방법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유기산은 ox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효소처리 후 NaCl 1.5%를 첨가하여 추출한 시료가 전반적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핵산 조성은 분말과 2시간 열수추출의 경우 4가지 핵산이 비교적 균등한 분포를 보였으나 알긴산 제거시 일부 핵산이 함께 제거되어 핵산조성비율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CaCl_2$에 의한 침전제거는 IMP가 전부 그리고 UMP가 많이 손실되었으며 UF처리가 $CaCl_2$ 방법보다 핵산손실이 훨씬 적었다. 추출액의 아미노산 조성은 전체함량 중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그 밖의 아미노산 함량은 대단히 적게 나타났으며 tryptophan, proline등 일부 아미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