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0$

검색결과 59,510건 처리시간 0.078초

구획 화재에서 스프링클러 열 손실계수 변화에 따른 작동 시간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on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in Compartment Fire)

  • 유우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34-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구획 공간 화재 시 발열량이 급격히 변하는 조건에서 스프링클러헤드의 손실인자 변화에 따른 작동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화보드로 구성된 구획 공간의 크기가 폭 0.3 m, 세로 0.5 m, 길이 3.0 m인 구조물을 제작하고 헵탄(n-Heptane) 풀 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구획 공간 내부의 온도 분포, 헵탄의 질량감소율 그리고 발열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ersion 6.5를 사용하여 실험 조건과 동일한 발열량을 가정하고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위치 및 손실인자(C-factor) 변화에 따른 작동 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지수(Response Time Index, RTI)가 $100(m{\cdot}s)^{0.5}$이고 작동온도가 $72^{\circ}C$인 스프링클러는 화원 상층부의 기류 온도가 $100^{\circ}C$에서 $300^{\circ}C$로 상승하고, 기류의 속도가 약 0.7 m/s인 경우 C-factor = 0과 1일 때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은 최소 30 s~60 s, C-factor = 3일 때 62 s에서 최대 92 s, C-factor = 5일 때 120 s 이상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of HTS Tube Depending on Chemical Compositions

  • Jung, Seung-Ho;Jang, Guneik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7-30
    • /
    • 2003
  • The Bi2212 based HTS tubes with 4 different compositions, Bi:Sr:Ca:Cu = 2.0:2.0:1.0:2.0, 2.1:2.0:1.0:2.0,2.2:1.8:1.0:2.0 and 2.2:1.8.1.0.2:2 with 10% of SrSO$_4$ were studied. For tube fabrication the optimum range of melt temperatures and preheating temperature and time for mold were 105$0^{\circ}C$~110$0^{\circ}C$ and 55$0^{\circ}C$ for 30min respectively. The mold rotating speed was 1000rpm. Typical tube dimension was 30/24mm in outside/inside diameter and 60mm in length. A tube was annealed at 84$0^{\circ}C$ for 40 hours in oxygen atmosphere. The plate like grains more than 20${\mu}{\textrm}{m}$ were well developed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of mold regardless of initial chemical compositions. The specimen with Bi2212 composition exhibited $T_c$ of 83K while the specimen with other compositions are lower than 60K. The measured $I_c and J_c$ at 77K(B = 0T) in Bi2212 composition were about 80A and 266A/$\textrm{cm}^2$.

0.27% C-1.0% Si-1.5% Mn 강의 미세조직과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Cr의 영향 (Effect of C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in 0.27% C-1.0% Si-1.5% Mn Steel)

  • 정우창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81-189
    • /
    • 2016
  • The variation i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during heat treatment was examined in a series of 0.27% C-1.0% Si-1.5% Mn steels with chromium contents in the range of 0 to 1.0 wt%. It was found that chromium decreased the martensite packet size through the austenite grain refinement and increased tensile strength in the as-quenched steel, about 70 MPa per 1.0 wt%. The 0.27% C-1.0% Si-1.5% Mn-1.0% Cr steel showed tensile strength of 1700 MPa in the as-quenched steel. The 0.27% C-1.0% Si-1.5% Mn-1.0% Cr steel revealed a full martensitic structure after air cooling from $900^{\circ}C$ to room temperature, showing air hardening characteristics. Tempering at $150^{\circ}C$ slightly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increased elongation, which is in a good agreement with impact toughness result.

소결온도에 따른 (Ba,Bi,Sr)$TiO_3$세라믹스의 구조적 특성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Ba,Bi,Sr)$TiO_3$ceramics with sintering temperature)

  • 남규빈;최의선;김지헌;이문기;이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3-696
    • /
    • 2001
  • The (Ba$_{0.3}$Bi$_{0.3}$Sr$_{0.4}$)TiO$_3$[BBST] ceramic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ed oxide metho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BBST ceramics with sintering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by XRD, SEM, EDS. In the case of BBST ceramics sintered at 1150~135$0^{\circ}C$, the $Ba_{0.5}$Sr$_{0.5}$TiO$_3$and SrBi$_4$Ti$_4$O$_{15}$ phase were coexisted. The 2$\theta$ value of the BST (110) peaks were shifted to the lower degree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130$0^{\circ}C$ and 135$0^{\circ}C$. The grains of the BBST ceramics sintered at 130$0^{\circ}C$ and 135$0^{\circ}C$ were not appeared. Increasing the sintering temperature, the densities of the BBST ceramics were increased. In the BBST ceramics sintered at 130$0^{\circ}C$ and 135$0^{\circ}C$, the mole ratio of Bi was decreased.d.ed.d.d.d.

  • PDF

걷기와 밴드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C-반응성단백질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and Band Exercise on C-reactive Prote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 김현준;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19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프로그램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시기에 따른 C-반응성단백질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과체중 및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12주 간의 걷기와 밴드운동을 실시하고, 운동전, 4주 후, 12주 후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인슬린, C-반응성단백질를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 85 이상(BMI${\geq}$21.3)인 과체중 및 비만아동 16명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운동군에 8명, 대조군에 8명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운동군은 주 2회의 걷기운동 50분과 주 2회의 밴드저항운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군 내 에서는 체중(p<0.001), BMI (p<0.001), 체지방량(p<0.001), 체지방률(p<0.001), TC (p<0.05), 인슐린(p<0.05), HOMA-IR (p<0.05)이 감소하였고, 제지방률(p<0.001), HDL-C (p<0.01)는 증가하였다. 측정시기를 고려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체중(p<0.001), BMI (p<0.001), 체지방량(p<0.001), 체지방률(p<0.001), 제지방량(p<0.05), 제지방률(p<0.001), 인슐린(p<0.05), HOMA-IR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12주 걷기와 밴드운동에 의해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일부 개선되지만, C-반응성단백질 농도는 개선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train Rate on the Mechanical Behavior in Uranium

  • Lee, Key-Soon;Park, Won-Koo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73-78
    • /
    • 1978
  • 온도 및 연신율변화 (strain-rate change)가 $\alpha$-uranium의 변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30$0^{\circ}C$에서 55$0^{\circ}C$까지 연구하였으며, strain rate sensitivity, activation volume, strain rate sensitivity exponent 및 dislocation velocity exponent을 조사하였다. 40$0^{\circ}C$이하에서 strain rate sensitivity exponent는 strain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50$0^{\circ}C$이상에서는 strain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circ}C$이하에서는 strain에 의해 생기는 가공경화로 인한 내부 용력의 증가가 strain rate sensitivity exponent에 영향을 미치나 50$0^{\circ}C$이상에서는 많은 slip system이 변형에 기여하게 되므로 가공경화 보다는 thermal softening이 더 큰 영향을 미쳐서 strain rate sensitivity가 감소된다고 추측된다.

  • PDF

Chaetomium globosum 이 생성하는 Cellulose 분해 효소에 관한 연구 -(제2보) Cellulase의 정제-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 Producing by Ckaetomium globosum -Part 2. Purification of Cellulase-)

  • 정동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33-41
    • /
    • 1969
  • 1. Cheatomium globosum의 밀기울 배양기에서 조효소를 추출하고 황산암모니움 염석 부분을 cellulose 분말 column으로 2개의 cellulase활성 부분(C-1, C-2)을 분리 하였다. 그 하나는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하며 (C-1) 다른 하나는 곁도 감소 활성이 강하였다. (C-2) 그러나 단백질 량은 C-1부분이 많았고 C-2 부분은 적었다. 2. 환원당 증가 활성이 강한부분 (C-1)을 DEAE-Sephadex A-25 column에서 분리할 결과 다시 2개의 성분 (C-1-1 및 C-1-2)으로 나누어 졌다. 그리고 C-1-2는 column에 강하게 흡착되었고 2M-NaCl의 용액으로 용출되었다. 이는 착색 된 것으로 봐서 C-1-1과는 아주 다른 단백질로 생각이 된다. 3. Cellulase C-1-1을 다시 Amberlite XE-64 column으로 분별하여 단일의 peak를 얻었다. 4. Cellulase C-1-1 부분의 초원심 침강계 면은 단일의 peak로 나타나고 또 자외선 홍수 spectrum도 전형적인 단백질의 흡수 spectrum을 나타 내었다. 5. Cellulase C-1-1의 최적 pH는 환원당 증가활성법으로나 점도 감소 활성법으로 다 같이 pH 4.0이였다. 6. 그리고 그의 최적 온도는 $40^{\circ}C$였다. 7. Cellulase C-1-1의 pH 안정성은 $40^{\circ}C$에서 pH 5.0 내지 pH 8.0의 범위 내였다. 8. 그리고 열안정성은 pH 4.0에서 $50^{\circ}C$ 이하였다

  • PDF

사과의 품위개선을 위한 열처리 임계조건 설정 연구

  • 서자영;김은정;홍석인;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6-116
    • /
    • 2003
  • 저장, 유통 중 부패미생물 및 해충류 등으로 인한 사과의 질적, 양적 손실발생을 줄이기 위해 열처리 시 사과가 생명체로서 기능을 지닐 수 있는 임계온도 및 시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후지 사과를 40~$65^{\circ}C$ 범위의 물에 침지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취한 후 $0^{\circ}C$에서 냉각, 저장하면서 처리조건에 따른 외관, 호흡특성 및 품질을 비교하였다. 처리온도 및 시간에 따라 사과의 외관상 품질은 차이를 보였는데 4$0^{\circ}C$에서 3시간, 45$^{\circ}C$에서 1시간, 5$0^{\circ}C$에서 25분, 55$^{\circ}C$에서 3분, 6$0^{\circ}C$에서 1분, $65^{\circ}C$에서 15초 처리 시까지는 과피의 갈변발생 등 이상증세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각각의 임계조건에서 사과를 열 처리한 후 $0^{\circ}C$에 저장하면서 방치 1일 및 7일 후 사과 조직내부의 가스조성을 조사한 결과, 탄산가스 농도는 저온 장시간 처리(4$0^{\circ}C$, 45$^{\circ}C$, 5$0^{\circ}C$)한 직후 급격한 증가 경향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55$^{\circ}C$, 6$0^{\circ}C$, $65^{\circ}C$)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지만 약간의 증감 경향을 보이다가 고른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산소 농도는 저온 장시간 처리 직후 급격히 저하된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저장 7일 후에는 4$0^{\circ}C$ 3시간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처리 직후부터 저장 7일 후까지 고른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다. 에틸렌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는 처리 직후 그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였다가 저장 1일 후부터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온 단시간 처리구의 경우 저온 장시간 처리구와는 달리 저장 1일 후부터 그 농도가 다소 상승되었다가 다시 감소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열처리하여 냉각시킨 직후 및 저장1주 후 사과의 pH, 산도, 당도, 경도, 과육의 갈변도 등을 조사하였던 바 대조구 및 처리구간에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11}C]6-OH-BTA-1$ 조제 시 생성되는 부산물 규명과 반응용매에 따른 표지 효율 비교 (Radiosynthesis of $[^{11}C]6-OH-BTA-1$ in Different Media and Confirmation of Reaction By-products.)

  • 이학정;정재민;이윤상;김형우;이은경;이동수;정준기;이명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3호
    • /
    • pp.241-246
    • /
    • 2007
  • 목적: 베타아밀66로이드 양전자단층촬영 영상 추적자인 $[^{11}C]OH-BTA-1(1)$는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용으로 개발되었다. 반응용매 루프 방법에 의한 $[^{11}C]1$$[^{11}C]MeOTf$를 통해서 한번의 반응으로 $^{11}C$을 바로 표지 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중에 $[^{11}C]2$가 생긴다는 것이 보고된바 있다. 하지만, 실험 중에 다른 부산물이 생기는 것이 발견되어 그 물질을 추정하고, 각 반응용매에 따른 $[^{11}C]1$과 부산물의 표지효율 변화에 대한 조사를 했다. 대상 및 방법: 사이클로트론에서 $^{14}N(p,{\alpha})^{11}C$ 핵반응과 미량의 $O_2$로 부터 의하여 생산되는 $[^{11}C]CO_2$를 0.2 M $LiAlH_4/THF$ 0.2 ml로 환원한 다음 HI 1ml과 반응하여 $[^{11}C]CH_3I$를 생산했다. 질소가스를 20 ml/min로 불어 주면서 200C 에서 AgOTf-Graphpac GC column를 통과시켜 $[^{11}C]CH_3OTf$를 생산했다. 각 반응용매 (MEK, CHO, DEK, DMF) 100 1에 녹인 전구물질 1 mg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료 루프에 미리 주입하고 $[^{11}C]CH_3OTf$를 상온에서 7분 동안 질소가스를 불어줬다. Semi-preparative HPLC로 분리하였다. 결과: 각 반응용매에서 $[^{11}C]1$에 표지효율은 MEK: $86.0{\pm}5.5%$, CHO: $59.7{\pm}2.4%$, DEK: $29.9{\pm}1.8%$, DMF: $7.6{\pm}0.5%$이었다. MEK에서 얻은 $[^{11}C]1$의 비방사능은 98 ($GBq/{\mu}mol$)이다. 각 물질의 질량 분석은 1: m/z 257.3 (M+1), 2: 257.3 (M+1), 3: 271.3 (M+1)이었다. 각 생성물질의 표지효율은 MEK에서 $86.0{\pm}5.5%:5.0{\pm}3.4%:1.5{\pm}1.3%$ $([^{11}C]1:[^{11}C]2:[^{11}C]3)$, CHO에서 $59.7{\pm}2.4%:4.7{\pm}3.2%:1.3{\pm}0.5%$, DEK에서 $29.9{\pm}1.8%:2.0{\pm}0.7%:0.3{\pm}0.1%$, DMF에서 $7.6{\pm}0.5%:0.0%:0.0%$이다. 결론: $[^{11}C]1$은 4가지 반응용매 중 MEK 반응용매에서 가장 높은 표지효율을 나타냈다. 부산물인 $[^{11}C]3$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자외선, 방사능 검출기와 질량 분석법을 통해 물질을 추정할 수 있었다.

건강한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epression Symptoms in Healthy General Population)

  • 이소희;박미나;윤대현;이영;김선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인 중 27,452명(남자 15,044명, 여성 12,40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의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구하고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은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6, p<0.01 ; r=-0.015, p<0.05) 여성의 경우도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9, p<0.01). 남성과 달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남녀 모두 중성지방(TG)이 높을수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