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nd}$ baby boom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베이비부머 가계의 경제구조 및 경제적 만족도 분석 (A Study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Baby Boomer Households and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atisfaction in Korea)

  • 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41-66
    • /
    • 2012
  • Recently, Korean baby boomers, which make up approximately 15% of the total population, have begun to retire. Their economic well being is one of Korea's most important soci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conomic structure of baby boomers' households with that of the prior genera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ork" and "child educational burden." In addition, group comparisons were made regarding economic resource allocation between baby boomers and the prior generation and within baby boomers of different work and child educational burden statuses.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cluding baby boomers and the generation prior to the baby boomer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baby boomers had a different economic structure, level of economic satisfaction, and economic resource allocation when compared to the prior generation. The economic structure of baby boomers in terms of income, expenditure, savings and assets, debts, and trust in policie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ir counterparts. Second,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satisfaction and the propensity of resource alloc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y worked or had a child educational burden,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economic well being of baby boomers were provided.

  • PDF

체류형 관광 속성이 지역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영향: 2차 베이비부머세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ng-stay Tourism Attributes on Regional Image and Visit Intention: Focused on the Second Baby Boomer Generation)

  • 김명용;박은영;박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6호
    • /
    • pp.91-97
    • /
    • 2024
  • 지방 인구 소멸에 대응방안으로 체류형 관광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법정 은퇴 연령에 도달하는 2차 베이비부머 세대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주도의 체류형 관광속성이 지역 이미지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체류형 관광속성으로는 자연환경, 문화환경, 생활안전, 생활편의, 일자리 환경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연환경과 문화환경, 일자리 환경이 체류형 관광지로서 지역 이미지와 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편의는 방문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체류형 관광 관련 연구들과는 달리 일자리 환경을 체류형 관광만의 고유한 속성으로 보고, 일자리 환경이 체류형 관광 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체류형 관광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지방정부는 이들이 지방에서 할 수 있는 일자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Family Conflict on Family Violence among the Baby Boom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blem-drinking and Self-esteem)

  • 김지훈;김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448-461
    • /
    • 2016
  • 본 연구는 9차년도 한국복지패널에서 추출한 가족갈등을 경험한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가족갈등대처전략이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어떻게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AMOS 21.0 버전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 검증 중 Baron & Kenney(1996)에 의해 활용된 Aroian Test 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문제음주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대처전략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재된 문제음주는 가정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강화된 자아존중감은 가정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를 근거로 베이비부머의 가족갈등을 극복하고 가정폭력을 축소 예방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