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th}$ century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27초

궁중 무용의상에 관한 연구 - 유럽 일반 복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urt's Dancing Costume - A Comparison between the Court's Dancing Costume and the People's Clothes -)

  • 정옥임;김경희
    • 복식
    • /
    • 제52권7호
    • /
    • pp.123-138
    • /
    • 2002
  • This study as one of a series of systematic studies about dancing costumes will compare the costumes of the 16th. 17th century with their normal style of dress. In brief. this study wants people to know about 16th, 17th century court dancing costumes and to understand the culture in the 16th.17th century.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urt's dancing costume and the people's clothes, we could get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pourpoint. chemis, gown, chausses, etc. that people wore were used for the court's dancing costume. While people Pursued the beauty with the ample silhouette. there were used wrinkles. slits. and tailored oblique line-clothes that gave vitality. Second, silk. linen. brocade. etc. that were used for people's chemises were used for the dancing costume. The good quality and beautiful colors of the dancing costume. however. excelled than of the brilliant court's clothes and the people's clothes. Third. the hair style of dancers were very colorful. For example, there were many kinds of hats and furs, corals, etc. that were attached to them on the most of the long curly hair. In summary, for the court's dancing costume, the same type of clothes was used like the people's clothes. There, however, were differences. The slits, tailored oblique line-clothes and shortened skirt gave the activity. There were many decorations symbolizing the nobles' wealth and Power. Especially the use of the decoration of hair and other stake properties was an effective means for expression. The use of personified masks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rt dance.

이상설(李相卨)의 산서 수리(算書 數理) (Lee Sang Seol's mathematics book Su Ri)

  • 이상구;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4
    • /
    • 2009
  • 17세기에 서양 수학이 조선에 들어온 이래 조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산서는 수리정온(數理精蘊)이었다. 19세기 말 조선에서 신교육이 시작되면서 수리정온(數理精蘊)이후의 서양 수학을 가르치게 되었다. 이 때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서양 수학은 주로 교과서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독립 운동가로 잘 알려진 이상설(李相卨)의 저서인 수리(數理)를 조사하여 19세기 말 선교사를 통하여 서양 수학이 조선에 전해지는 과정을 알아본다. 특히 이상설(李相卨)이 조선 산학의 대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낸 것을 밝혀낸다.

  • PDF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Settling Period of the Gwandong-Palkyung by the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oetry and Paintings)

  • 노재현;손희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24
    • /
    • 2017
  •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관동 명승의 집경에 따른 팔경 형상화 및 정착시기를 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관동팔경(關東八景)'이란 최초 용례(用例)는 이황의 "답홍응길(答洪應吉)"로 볼 때, 관동팔경은 이미 16세기 이전 당시 인들의 인식 속에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론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 분석 결과, 관동팔경은 16세기 초 중반에 관동십경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졌다. 최초의 관동팔경에 대한 집경은 신즙의 "영관동팔경(詠關東八景)"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동팔경이라는 용어는 문학 분야에서는 최소한 16세기 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세트화된 관동팔경으로 정착된 시기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이라 추정된다. 관동 명승의 출현빈도 분석 결과, 시문에 등장한 관동 명승은 관동팔경 경물에 대한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회화 분야에서 오로지 관동팔경만을 모은 그림은 허필의 "관동팔경도병(關東八景圖屛)"에서 최초로 확인되는데 실경산수화에서 표현된 관동팔경은 시문에서의 집경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화제 출현률 순위로 볼 때 시각적 결속력과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일정한 관념체계 상 특정 의의를 지닌 회화의 도상(圖像)을 중요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들어 제작된 다수의 민화 형식의 팔폭병풍(八幅屛風)은 관동팔경의 문화현상이 보편적 수용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증좌이다. 또한 조선후기 성행한 남승도놀이 등 명승유람놀이에 등장하는 강원도내 13개의 명승에는 관동팔경이 오롯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말기 관동팔경은 놀이문화 속에서도 확고하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관동팔경의 인식은 15세기 전반 이전부터 있어 온 것으로 보이고, 16세기 형상화 과정의 지속적 전개를 통해 17세기 정착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관습화 보편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별개의 경물로 명성을 얻은 지역 명승이 17세기 후반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동 명승 중에 관동팔경은 오랜 기간 여러 사람의 탐승과 유람문화 향유(享有)를 통해 오직 여덟 개의 최상의 명소만을 추리기 위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 배태된 국내 대표적 팔경임을 일깨워준다.

20세기 비종교적 스테인드글라스의 전개과정과 건축적 특성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ecular Stained Glass in the 20th century)

  • 김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3-10
    • /
    • 2008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ecular stained glass in the 20th century. Stained glass had been architectural art from the origin. But it had declined since the Renaissance era, and began to rev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Stained glass work is very flourish in Korea today, but it is still treated as simple decoration or 2-dimensional mosaic. Architect and interior designer even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al character of stained glass. In order to recover the architectural nature of stained glass, I have consider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ecular stained glass in the 20th century, and analysed the works of Frank Lloyd Wright, the postwar German artists, Georg Meistermann, Ludwig Schaffrath, Johannes Schreiter, and English artist, Brian Clark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 First, stained glass has come to life again from the secular glass painting decoratio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rough Art-Nouveau, De Stil, Bauhau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L'Art $Sacr\acute{e}$. Second, Frank Lloyd Wright, the postwar German artists and Brian Clarke have established the architectural concept and potentiality of the modem stained glass in the secular field. Third, They have done by coming back to the basic creative method by traditional lead-came technique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Forth, stained glass fundamentally ha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the characters of Space, Time, Place, Context, and they have showed the new possibility of stained glass by recovery of these characters.

바로크(Baroque) 양식 시대 서양 남성복에 나타난 남성의 몸 이미지 (Male Body Image Appearing on the Western Men's Costume in the Baroque Era)

  • 이효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4호
    • /
    • pp.723-739
    • /
    • 2011
  • This research seeks to analyze western men's costume in the Baroque era in relation to men's physical beauty from its most detailed and interesting perspective to fomulate a plausible reasoning related to the aesthetic sense of body as expressed in men's costume. This research us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books, theses and internet data upon which to base a literature review for a correct understanding of Baroque style and at the same time empirical research to analyze the body image expressed in men's costume. The Baroque style expressed in the 17th century costume offered a dynamic feeling through wavy curves, and its brilliant and colorful decorations created a passionate and charming mood resembling a flame. Accordingly, this research studied the body image as it appeared in the form of 17th century western men's costume by dividing it into the contact beauty of the human body and the manner of hiding the architectural beauty of the human body. First, the exposed silhouette by clothing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uman body could be found mainly in upper-class men's costum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shorter and tighter doublets and knee breeches could be analyzed in terms of erotic imagery that emphasized masculinity, aristocratic imagery that stressed a distinctive status, and geometric imagery that expressed a triangular pattern. Second, the constructive expression by hiding the human body could be found in upper-class men's costume starting in the mid-17 century. The wearing of the justaucorps could be studied in terms of how it came into contact with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but also how this clothing style the hid the architectural beauty of human body.

조선조 17세기 궁궐건축공사에 종사한 목수편수에 대하여 (The Moksoo-Pyunsoo of the 17th Century Palace Building Constructions of the Chosun Dynasty)

  • 김동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9-17
    • /
    • 1992
  • According to the 17th century palace construction documents, head artisans were called Pyunsoo. In one building constructions, not only carpenters but also masons, plasterers and painters had their own head, Pyunsoos. This meant that Moksoo-Pyunsoo, head carpenter, could not manage the whole design of the building. Moreover, in many cases, selecting and laying the site of the building were determined by the geomancers. Under those working conditions, Moksoo-Pyunsoo could only have charge of designing the wooden parts, such as structural forms or detailed carvings. The documents showed that some dominent carpenters, like Kwak Ki Jong or Lee Choon Bong, had taken on the post of Moksoo-Pyunsoo in almost every palace constructions, especially inner palace buildings. Form the fact that the same carpenters had worked continuosly, it can be presumed that there would have many resemblance of structural forms or carvings among those inner palace buildings.

  • PDF

연시조 성격의 대비적 고찰 - 16세기 작품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istinctive quality of the Younsijo(연시조) - The works of the 16th century -)

  • 김상진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2집
    • /
    • pp.195-223
    • /
    • 2005
  • 연시조는 몇 개의 시조가 하나의 제목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가의 형태로 시조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우리 시가사에 연시조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6세기이다. 이 시기는 사대부 문학이 중심이 되던 시기로 단형시조와 연시조, 그리고 가사가 함께 불려졌다. 그렇다면 왜 동일계층이 서로 다른 양식으로 노래하게 되었는가라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궁금증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연시조의 성격을 단형시조와 가사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서는 16세기 작품을 대상으로 삼는다. 연시조는 성리학의 발전과 함께 발전하게 되는데, 16세기는 성리학이 크게 성행하였던 시기로 연시조 또한 그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그 후, 17세기에 이르러 다수의 연시조가 창작되는데, 17세기의 작품이 16세기의 작품을 토대로 계승$\cdot$발전하는 만큼 16세기 작품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16세기 연시조는 강호시조와 훈민시조의 두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강호시조에는 육가의 전통을 이어받는 육가계 연시조와 사시가의 전통을 이어받는 사시가 계 연시조가 포함되며, 훈민시조에서는 오륜의 질서 및 사회규범 등을 노래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토대로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 그리고 <훈민가>를 대상으로 16세기 연시조의 성격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모두 효용적 가치를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형시조와 가사를 논의함에 있어서는 송강 정철의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 작가를 대상으로 한 것은 논의의 전개를 위해서는 동일 잣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송강은 단형시조와 연시조, 가사를 모두 제작한 경우로 서로 간의 변별성이 잘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그 결과 단형시조와 가사는 개인의 정서적 미감을 노래했다는 공통점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단형시조는 정서의 함축이, 가사는 보다 심층적인 정서를 드러내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연시조는 성리학자의 이념을 담아내기에 적합한 시조를 노래하되, 시조가 3장으로 시상을 완결하여 그들의 효용적 가치를 충분히 전달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시조를 택한 것이라 하겠다.

  • PDF

15~17세기 예서에 검용의와 그 의미 (A Study on Chosun period burial clothing in 15th to 17th Centuries)

  • 장인우;이춘계
    • 복식
    • /
    • 제25권
    • /
    • pp.269-284
    • /
    • 1995
  • This study investgates the significance of Chosun burial clothing in 15th to 17th Centuries by examing the costumes recorded in the ryesu (ritual books). Referring to description of the mouring-rit-ual in the the Kujoohryei(국조오례의), the sangryebiyo(상례비요), they exhibit little differ-ence in the ceremonial procedure, this implies that the the Jujagarye, the oldiest Chinese Ryesu, had influence on the manner of Chosun. The Kujoohryei(국조오례의) written-in 15th Century played a paramount role in domesti-cation of burial costume(염습의) which had been performed by the Jujagarye(주자가례), and the sangryebiyo(상례비요) etc written between 16th and 17th Centries promoted to genealize the mouring-ritual to the ordinery people. In the period, ryemsupui(염습의, clothing for the dead) is costumes for 'sup(습)', sofyum(소렴), and 'daeryum(대렴)' in the mourning ceremorial procedure, and for postliminal rites in the rites of passage. The reason of using clothing which they put on the dead's own daily clothing stands for eagerness for lasting life not only in this world but also in the other world.

  • PDF

『묵재일기(默齋日記)』 속 상한(傷寒) 및 『상한론(傷寒論)』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The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as They Appear in The Diary of Muk-Jae)

  • 조성환;김동율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6
    • /
    • 2019
  • The Diary of Muk-Jae is a historical record that describes many social aspects of the Joseon period in the 16th century. It records many scenes of its author, Lee Mun-Geon, treating patients. This paper uses The Diary of Muk-Jae to examin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cold damage and the text of the Shanghanlun (Treatise on Cold Damage) in the Joseon period in the 16th century. In The Diary of Muk-Jae, cold damage is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wo categories: 'dangerous disease' and 'disease caused by cold'. The Diary of Muk-Jae also presents the Shanghanlun not as a work limited to the concept of cold damage, but as a medical text that could be widely used for many different diseases. Thus, The Diary of Muk-Jae may represent a point of transition between in the perception of cold damage as seen in the Uibang Yuchui (The Collection of Medical Procedures) of the 15th century and the Donguibogam of the 17th century.

18세기(世紀) 조선(朝鮮)의 구고술(句股術) (Gou Gu Shu in the 18th century Chosun)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
    • /
    • 2007
  • 18세기 초 중인(中人) 홍정하(洪正夏)($1684{\sim}?$)의 구일집(九一集)과 양반(兩班) 조태구(趙泰耉)($1660{\sim}1723$)의 주서관견(籌書管見)에 들어 있는 구고술(句股術)을 조사한다. 구조적 접근과 천원술(天元術)을 통하여 홍정하(洪正夏)는 동양(東洋)에서 가장 앞선 구고술(句股術)의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 17세기 중엽에 서양(西洋) 수학(數學)이 조선(朝鮮)에 유입된 후 조선(朝鮮) 산학(算學)에 이론적 접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조태구(趙泰耉)의 구고술(句股術)을 통하여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