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7^{\alpha}$-methyltestosteron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51초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 교란 (Disruption of Sex Differentiation by Exogenous Sex Steroid Hormone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권준영;이찬희;김주영;김상훈;김대중;한형균;임한규;변순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4호
    • /
    • pp.247-254
    • /
    • 2006
  • 내분비 교란물질들이 연안 어류의 정상적인 성적 발달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해산 어종에 대한 이러한 위협을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시험 어종은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성분화 초기에 어류의 생식소가 외형으로나 조직학적으로 암수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피 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자연 성비, 생식소 구조, 그리고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성분화 교란 여부 등을 조사하여 이 종이 시험 어종으로 개발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1년생 조피볼락 240마리의 생식소를 조사한 결과, 이들의 성비(암수 비율)는 통계학적으로 1:1을 벗어나지 않았으며, 암컷은 유백색의 두터운 생식소를, 수컷은 검은색의 가느다란 생식소를 가지고 있었다. 성분화 시기의 조피볼락 치어를 $estradiol-17\;{\beta}(E_2)$ 또는 $17\;{\alpha}-methyltestosterone$ (MT)으로 처리하여 성분화 교란 여부를 조사한 결과, $E_2$ 처리는 93%의 암컷 유도율을 보였으나, MT 처리의 경우 수컷은 53%였고, 38%가 암수의 생식소 구조를 모두 갖는 intersex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조피볼락은 미성숙 시기에도 암수 생식소의 형태가 뚜렷이 다르고,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해 뚜렷한 성분화 교란 현상이 초래되어 시험 어종으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 있다.

  • PDF

무지개송어의 자성발생2배체 성전환 수컷을 이용한 전 암컷 생산 (Production of All-Female using Sex-Reversal Gynogenetic Diplo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철호;김대중;정창화;최경철;이채성;김동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902-1905
    • /
    • 2010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양식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염색체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전 암컷 무지개 송어의 대량생산을 유도 하였다. 자성발생 2배체를 유도한 후 17 alpha-methyltestosteron으로 성전환을 성공적으로 유도하였다. 성전환된 수컷에서는 일반 암컷 모양을 띤 생식소가 형성 되었으나, 수정관의 발달은 보이지 않는 전형적인 성전환 개체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성전환된 자성발생 2배체 가짜수컷을 이용하여 정상 암컷과 단순교배로 발안율 55.7%, 부화율 52.9%의 전 암컷 집단 97,850 마리를 얻을 수 있었고, 4개월 사육 후 치어기(6~7 cm)때의 생식소 확인 결과 100% 암컷임이 확인되었다.

무지개송어의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 유도 (Induction of Physiological Sex-Reversal and Gynogenetic Diploid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이철호;김대중;정창화;최경철;이채성;김동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본 연구는 무지개송어 양식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 암컷 무지개송어 대량생산을 위한 일환으로 성호르몬에 의한 생리학적 성전환과 자성발생 2배체어를 유도하였다. 생리학적으로 성전환된 수컷을 만들기 위하여 부화 후 첫 먹이를 먹는 시기에 웅성호르몬인 17 alpha-methyltestosterone (MT) 5 mg을 사료에 흡착시켜 사육수온 $13^{\circ}C$에서 적산수온 $800^{\circ}C$까지 처리한 결과 96.7%의 수컷 유도율을 보였다. 또한 정상 수컷 정액을 이용하여 수정 10분 후 $28^{\circ}C$에서 20분간 고온 처리하여 61.7%의 자성발생 2배체가 유도되었다.

청틸라피아의 2년째 성장, 체조성 및 생식소 중량 지수에 미치는 $17\alpha-Methyltestosterone$의 잔류 효과 (Residual Effects of Dietary $17\alpha-Methyltestosterone$ on Second-Year Growth, Body Composition, and Gonosomatic Indices of Blue Tilapia, Oreochromis aureus (Steindachner))

  • 조재윤;알 오닐 스미들먼;더글러스 테이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71-283
    • /
    • 1995
  • 청틸라피아(Oreochromis aureus)의 자어에 0, 1, 10, 60 ppm의 $17\alpha-Methyltestosterone$ (MT)을 30 일간 성 전환기 사료에 섞어 먹인 후 다음 39 일간(성전환 후기) 0 ppm 을 먹인 그룹은 다시 세 그룹으로 나누어 0 ppm MT (0-0), 10 ppm MT (0-10), 및 60 ppm MT (0-60)을 먹였고, 60 ppm을 먹인 그룹은 다시 3 그룹으로 나누어 0 ppm MT (60-0), 10 ppm MT (60-10), 및 60 ppm MT (60-60)을 먹였으며, 초기 30 일간 1 ppm과 10 ppm MT를 먹인 것은 계속해서 각각 1 ppm과 10ppm을 먹여서 월동시킨 다음 10개월 후인 이듬해 9월 말경에 체조성과 생식소 중량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암수 모두에서 2 년째의 성장에 대한 MT의 잔류 효과는 없었다. MT를 먹인 그룹의 성장은 전혀 먹이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좋았는데(P<0.05) 그 이유는 대조군에 있는 암컷의 성장 지연으로 인한 전체 평균 중량의 감소 때문이었다 사료 중의 MT 함량이 증가하는데 따라 수컷의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여 순상관 관계의 잔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체 수분 함량은 오히려 MT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역상관 관계의 결과가 나타났다. 암컷에서는 사료 중 MT가 증가함에 따라 체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역상관 관계의 잔류 효과를 보였다. 성전환 후기의 암수 모두의 생식소 중량 지수에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고, 성전환기에 사료에 섞어 섭취된 MT는 2 년째의 수컷의 생식소 중량 지수에 잔류 효과를 나타내어 MT 농도가 증가하는데 따라 생식소 중량 지수가 감소하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식소 발달이 완료된 성전환 후기에 먹인 MT는 암수 모두에서 생식소 중량 지수에 잔류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경골어류의 성전환에 관한 연구 II. $17\beta$-Estradiol 및 $17\alpha$-Methyltestosterone을 이용한 Guppy 및 Tilapia의 성전환에 관한 연구 (Sex Reverse in Teleost Culture II. Sex Reversal of Guppy and Tilapia by $17\beta$-Estradiol and $17\alpha$-Methyltestoserone)

  • 윤종만;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0-48
    • /
    • 1989
  • Guppy fry were treated for the first 40 days of life with 0, 20, 40, 60 & 100$\mu\textrm{g}$ of estradiol per gram of food in order to change the sex of normal males to functional females(genetic male). The present investigation deals with the effects of steroid hormones, such as $\beta$-estradiol and testosterone, on the sex differentiation in guppy and tilapi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B (20$\mu\textrm{g}$/g diet) group 17$\beta$-estradiol-treated, 67.8% of male offsprings were produced. 2. In D (60$\mu\textrm{g}$/g diet) group 17$\beta$-treated, 67% of female offsprings were produced. 3. B, D groups of genetic male brooder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s (P<0.01) upon sex ratios of their progeny. 4. This strongly indicates that sex direction has been achieved and that the male is the heterogametic sex. 5. The group that produced the highest percentage of male offspring(male percentage of observed number to expected number was 91%) contained only full-sibling male brooders to the sex-reversed female brooders. 6. After 7 months following treatment, the sex-reversed males had ovarian portion in the anterior region and a testicular portion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same intersexual gonad, respectively. 7. At 7 months after treatment, the ovareis revealed a complete arrest of the ovarian formation, and appearances of spermatogenetic cell cysts among surviving auxocytes. 8. In most of sex-reversed fish, anterior portion of test is was devoid of sperm ducts including the seminal vesicle and vas deferens. 9. The male transferrin showed two strong bands, while the female transferrin showed a single weak band. 10. One of the two bands of male transferrin showed the same mobility with band of female transferrin.

  • PDF

넙치 전 암컷 집단의 생산을 위한 연구 II. 성전환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수컷의 자손 검정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l-Female Population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I. Progeny Test from Sex-Reversed Gynogenetc Diploid Male)

  • 방인철;김경길;김윤;김종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2
    • /
    • 1996
  • 본 연구는 성전환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수컷의 정액을 보통 암컷 및 자성발생성 2배체 암컷의 성숙란에 인공수정시킨 후 자손의 성비를 분석하였다. 자성발생성 수컷의 유도는 자성발생성 2배체를 전장 13.5 mm에서 57.6 mm까지 62일간 $17{\alpha}$-methyltestosterone 10 ppb의 농도로 침지 처리하여 유도하였다. 자손 검정 결과, 보통 암컷과 자성발생성 수컷 교배군의 암컷 유도율은 평균 $37.4\%$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성발생성 2배체 암컷과 자성발생성 수컷 교배군에서는 8개 실험군 중 6개 실험군에서 $100\%$ 암컷이 유도 되었고 2개 실험군에서는 $96.9\%$$95\%$ 암컷이 유도되어, 전체 $99\%$ 의 암컷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성발생성 2배체 암컷과 성전환된 자성발생성 2배체 수컷이 정상적인 생식 기능을 통해 교배되어 전 암컷 집단을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염색체 조작에 의한 전 암컷 3배체 무지개송어 조기난의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All-Female Triploid Egg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During the Fall Season by Chromosome Manipulation)

  • 정창화;안재현;김봉석;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1-148
    • /
    • 1995
  • 무지개송어 전 암컷 3배체 조기난 생산을 위해 1994년 9월 30일부터 3년생 암컷 친어에 대하여 광주기를 단일 처리하여 조기 산란 및 성전환 유도와 고온 처리에 의한 염색체 조작을 실시하였다. 광주기 조절이 시작된지 1개월째 170마리의 암컷으로부터 340,000개의 난을 얻었다. 그러나, 부화율에 있어서는 자연 상태의 산란기때 부화율에 미치지 못하는 $40\~55\%$ 범위로 평균 $51.3\pm4.2\%$였다. (P<0.05). 수컷으로의 성전환을 위해 $16.5^{\circ}C$의 사육 수온 조건하에서 $17\alpha-methyltestosterone$을 사료 1kg당 3mg 섞어 첫 먹이 공급기부터 55일간 공급하여 성전환율을 조사한 결과 전부 수컷으로 판명되어 $16.5^{\circ}C$의 조건하에서도 성전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13.5^{\circ}C$의 사육수온 조건하에서 3배체를 생산하기 위해 최초 처리 시간 및 고온 처리 기간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처리한 결과 발안기까지의 생존율에 있어 $15.0\~88.2\%$ 범위로 나타났다. 이때 3배체 유도율은 $36.7\~100\%$ 범위로 다양하였다.

  • PDF

성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고수온 처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High Temperature on Sex Differentiation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치훈;나오수;여인규;백혜자;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77
    • /
    • 2000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에 $estradiol-l7{\beta}\;(E_2)$$17{\alpha}-methyltestosterone$ (MT) 그리고 고수온을 처리하여 성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출산 후 56일부터 72일까지 $E_2\;20,\;40,\;60\;{mu}g/g\;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고, MT는 $20, 50{\mu}g/g diet$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고수온 처리는 대조구 그리고 호르몬 처리구와 비교하여 약 $10^{\circ}C$ 이상인 $27.0{\pm}0.5^{\circ}C$로 사육하였다. 출산 후 56일까지 성분화 과정에서,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원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성적으로 미분화 단계였다. 그러나 출산후 128일째에, 난소는 난소강파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원세포와 주변인기난모세포는 난소박판에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정소는 많은 정세관으로 이루어 졌고, 이들 세관내에는 정원세포들이 무리를 지어 분포하고 있긴 또한 색소포들이 정소의 수질층과 기부에 드문드문 분포하고 있다. 성비에 있어,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E_2$, 처리구는 더 많은 암컷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모든 MT 처리구와 고수온 처리구에서는 더 많은 수컷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서,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와 종류 그리고 고수온 사육이 조피볼락의 성분화 과정에 있어서 성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넙치도 범가자미 교잡종의 성장과 성현상 (Growth and Sexual Phenomena of the Hybrid between Olive Flounder and Spotted Flounder)

  • 이영돈;나오수;송춘복;이화자;박준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9-187
    • /
    • 1997
  • 범가자미 수컷과 넙치 암컷 교잡종의 초기발생, 성장 그리고 성현상이 조사되었다. 범가자미와 넙치의 교잡종은 국명으로 범넙치, 영명으로 mottled flounder로 명명하였다. 범넙치의 수정율, 부화율, 초기 성장률은 각각 56.9-72.3%, 86.7-92.5%, 그리고 89.1-96.0% 범위였다. 성장은 부화후 50일에 전장 2.1$\pm0.2cm$,체중$0.10\pm0.02g$ 이었고, 부화 후 240일에 전장22.9$\pm2.1cm$ 체중 179.0$\pm38.5g$ 이었다. 범넙치의 눈이 몸의 왼쪽에 위치하는 형 77.7%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형 22.3%로 흔재하고 있었다. 부화후 80일에 생식소는 강(cavity)을 형성하는 난소형과 강을 갖지 않는 정소형으로 분화되었고, 이들의 출현 비율은 1 : 1 이었다(P>0.05). 범넙치의 생식소는 대부분 생식세포를 갖지 않는 불임상태였다. 생식소내에 난모세포를 갖는 개체는 조사 개체중 3.6%였다. 성전환 유도를 위하여 부화후 40일부터 100일까지 60일간 $17\alpha-methyltestosterone(MT)$$estradiol-17\beta$$(E_{2})$을 0.5 mg/kg fish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MT 처리구는 정소형이 81.9% 유도되었고, $E_{2}$ 처리구는 난소형이 87.7% 유도되었다.

  • PDF

호르몬처리에 의한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성전환 (Hormonal Induction of Sex Reversal in Serranid Fish,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이영돈;김형배;송춘복;노섬;이정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3
    • /
    • 1996
  • Hormonal induction of sex reversal was examined by using sex steroid hormones in serranid fish, Epinephelus septemfasciatus. Young fish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 of Cheju Island, and reared for 2 years before fish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Without any hormonal treatment, gonads of fish ($1,000\~2,800$ g in body weight) were occupied by oocytes of the perinucleolus stage and bundles of protogonial cells in the area of germinal epithelium. When the induction of sex reversal was attempted by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17\alpha$-methyltestosterone (0.5 mg/kg fish) for 90 days, active spermatogenesis was induced, and spermatogonia and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were appeared in all gonads we examined. However, after daily, oral treatment of $17\beta$-estradiol (0.5 mg/kg fish) to. 50 days with the following injection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1,000\~1,500$ IU/kg fish) mature oocytes were not induced in fish gon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