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0^{\circ}C$

검색결과 5,044건 처리시간 0.167초

순수 물과 에탄올 산화 탄소나노유체의 열전도도 및 점도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ies and Viscosities of the Pure Water and Ethanol Carbon Nanofluids)

  • 안응진;박성식;천원기;박윤철;전용한;김남진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spc3호
    • /
    • pp.213-219
    • /
    • 2012
  • Nanofluids are advanced concept fluid that solid particles of nanometer size are stably dispersed in fluid likes water, ethylene glycol and others. They have higher thermal conductivities than base fluids. If using this characteristic, efficiencies of heat exchangers can be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rm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of carbon nanofluids. They were made to ultra sonic dispersed 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OMWCNTs) in distilled water and ethanol, respectively. The mixture ratios of OMWCNTs were from 0.0005 vol% ~ 0.1 vol%. Therm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was measured by transient hot-wire method and rotational viscometer.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are as in the following: thermal conductivity of the 0.1 vol% pure-water nanofluid improved 7.98% ($10^{\circ}C$), 8.34% ($25^{\circ}C$), and 9.14% ($70^{\circ}C$), and its viscosity increased by 37.08% ($10^{\circ}C$), 33.96% ($25^{\circ}C$) and 21.64% ($70^{\circ}C$) than the base fluids. Thermal conductivity of the 0.1 vol% ethanol nanofluids improved 33.72% ($10^{\circ}C$), 33.14% ($25^{\circ}C$), and 32.25% ($70^{\circ}C$), and its viscosity increased by 35.12% ($10^{\circ}C$), 32.01% ($25^{\circ}C$) and 19.12% ($70^{\circ}C$) than the base fluids.

환경인자가 토양내 석유계탄화수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in Soil)

  • 황의영;남궁완;박준석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분함량 및 온도변화가 석유계탄화수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토양은 사질양토였으며 대상오염물질은 디젤오일이었다. 디젤오일의 초기오염농도는 건조질량기준으로 10,000mgTPH/kg이었다. 수분함량은 토양 수분보유능력의 50%, 70%그리고 90%로 조절하였으며 온도는 $5^{\circ}C$, $10^{\circ}C$, $20^{\circ}C$, 그리고 $30^{\circ}C$로 변화시켰다.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는 수분함량이 수분보유능력의 50%와 70%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 온도는 10~3$0^{\circ}C$에서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가 활발하였으며 5$^{\circ}C$에서는 상대적으로 분해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노르말알칸류의 분해속도는 석유계 총탄화수소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휘발에 의하여 손실된 석유계 총탄화수소는 초기 농도의 약 2% 내외였다. 대조실험으로서 공기공급을 하지 않은 경우와 biocide로 $HgCl_2$를 첨가한 경우에 석유계 총탄화수소의 분해가 미미하여 석유계 총탄화수소가 호기성조건하에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국내 현장중온재생공법의 효율적인 가열공정을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for the Efficient Heating System for Warm In-Place Recycling in Korea)

  • 김대훈;권수안;이재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9-36
    • /
    • 2016
  •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illing temperature that minimizes the binder-induced damage to the aggregate; this is achieved by evaluat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viscosity of the asphalt binder,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effective heating process for warm in-place recycling. METHODS : The validity of the indoor test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n internal heating test based on the on-site heating test. In addition, the adhesive power of the binder was measured at various temperatures ($30^{\circ}C$, $40^{\circ}C$, $50^{\circ}C$, $60^{\circ}C$, $70^{\circ}C$) via three types of measuring methods. RESULTS: The surface temperature spectrum of field test was slight different with that of laboratory test. But, the spectra of inner temperature between the field and the laboratory was almost similar. Also, the adhesion of the asphalt binder was measured from $30^{\circ}C$ to $70^{\circ}C$. The adhesion of the binde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0^{\circ}C$. Contrary to other temperature, the adhesion was slightly changed from $60^{\circ}C$ to $70^{\circ}C$. Also the inner temperature between two different heating methods was shown similar temperature spectra. CONCLUSIONS: The pavement heating temperature spectrum of hot in place recycling method was simulated by a laboratory test. Based on this study, the optimum temperature was $60^{\circ}C{\sim}70^{\circ}C$ for reducing aggregate damage during milling process. The susceptibility heating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maintained the optimum inner temperature range.

숙성조건이 마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g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 정윤숙;황경아;김가람;송진;노건민;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45-7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숙성 온도와 기간에 따른 마늘의 품질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통마늘을 $60^{\circ}C$에서 60일간, $70^{\circ}C$에서 40일간 숙성 처리하여 pH, 총산도, 갈변도, 5-HMF 함량, fructose 함량, SAC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하였다. 숙성 온도가 높고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마늘의 pH는 감소하고, 총 산도, 갈변도 및 5-HMF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5-HMF 함량은 $60^{\circ}C$ 숙성 처리 시 0.08~3.30 mg/100 g으로 증가량이 적은 반면, $70^{\circ}C$ 숙성 처리 시 0.05~106.07 mg/100 g으로 숙성 25일차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uctose 함량은 $60^{\circ}C$의 숙성온도에서는 0.77~14.5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70^{\circ}C$ 숙성 온도에서는 30일차까지 1.07~19.75%까지 증가 후 15.1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C 함량은 생마늘의 경우 48.11 mg/100 g이었으며, $60^{\circ}C$에서 20일 숙성 시 100.50 mg/100 g으로, $70^{\circ}C$에서 5일 숙성 시 85.55 mg/100 g까지 증가한 후 숙성 기간이 경과할수록 SAC 함량은 감소하였다. 생마늘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8.38 mg/100 g이었고, $60^{\circ}C$ 숙성 처리 시 591.82 mg/100 g까지, $70^{\circ}C$ 숙성 처리 시에는 665.22 mg/100 g까지 생마늘에 비해 각각 6.01배 및 6.67배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숙성 온도가 높고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마늘 섭취가 용이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숙성 마늘 제조를 위해서는 $70^{\circ}C$에서 30일, 숙성 마늘의 유효성분인 SAC의 다량 생산을 위해서는 $60^{\circ}C$에서 15일간 숙성 처리하는 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의 결과는 항산화 효과가 강화 및 SAC 함량 증진 등 선택적인 숙성 마늘의 제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열풍건조 온도에 따른 고구마 잎의 영양성분 및 수화복원성 변화 (Effect of hot-air drying temperature on nutritional components and rehydration rate of sweetpotato leaves)

  • 정다운;박양균;남상식;한선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8-5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잘 이용되지 않는 고구마 잎을 열풍건조하여 이들의 건조속도와 수화복원력을 조사하고, 일반성분, lutein 과 $\beta$-carotene 및 색도 등을 분석 비교 검토하여 고구마 잎의 건조 채소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품종 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건조속도가 증가해 $70^{\circ}C$에서 건조속도가 가장 빠르며, $60^{\circ}C$, $50^{\circ}C$, $40^{\circ}C$ 순서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일반성분은 생엽에서 수분 87~88%로 많았으나 열풍건조 후 6~8% 이었다. 다른 일반성분은 온도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기능성 성분인 lutein 함량은 신미 $40^{\circ}C$에서 $171.59{\mu}g/g$ 많았으며, 하얀미 $70^{\circ}C$에서 $73.75{\mu}g/g$로 적었다. $\beta$-carotene 함량에서 신미가 $40^{\circ}C$에서 $379.59{\mu}g/g$ 많고, 하얀미 $70^{\circ}C$에서 $170.78{\mu}g/g$로 적었다. 기능성 물질은 $40^{\circ}C$에서 가장 많고 $50^{\circ}C$, $60^{\circ}C$, $70^{\circ}C$ 순서로 함량이 감소되었다. 색도는 생잎과 건잎을 비교하였을 때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circ}C$에서 색이 유지되었으며, 수화복원성에서도 신미와 하얀미 모두 $40^{\circ}C$에서 수화복원율이 각각 233.93%, 223.47%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건조 고구마 잎의 품질은 건조시간보다는 온도 영향이 컸으며 저온건조가 상품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융해 속도가 동결.융해된 개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awing Rate on the Function of Cryopreserved Canine Sperm)

  • 김수희;유도현;강태운;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71-575
    • /
    • 2011
  • 정액 동결 방법들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왔지만 융해 속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결 후 융해 속도가 정액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글견으로부터 채취된 정액은 동결 보존 후 다른 융해 속도 ($37^{\circ}C$/1분 or $70^{\circ}C$/15초)에서 융해 되었다. 융해 후,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형질막 온전성, phosphatidylserine (PS) translocation, 세포내 $H_2O_2$ 수준을 평가하였다. $70^{\circ}C$에서 융해된 정자는 $37^{\circ}C$에서 융해된 정자에 비해 향상된 정자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세포막 온전성, non-PS translocation을 보였으나(P < 0.05), $70^{\circ}C$$37^{\circ}C$에서 융해된 실험군간 세포내 $H_2O_2$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결론으로, $70^{\circ}C$에서의 융해는 개 정자 동결 후 정자 기능을 증진시켰으며, 적절한 융해 온도는 동결 정자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약용버섯과 식용버섯의 건조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edicinal and edible mushrooms)

  • 김보민;정은선;안용현;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89-695
    • /
    • 2016
  • 약용버섯(영지버섯, 상황버섯)과 식용버섯(새송이버섯, 표고버섯)을 장방형(1 cm)과 정방형($1{\times}1cm$)으로 절단하여 자연건조와 열풍건조($50^{\circ}C$, $70^{\circ}C$)하면서 건조특성을 조사하고 건조 시료의 수축률, 색도 및 재수화성을 조사하였다. 건조 전의 초기수분함량은 약용버섯에 비해 식용버섯이 높았으며, 건조 후 최종수분함량은 약용버섯이 높았다. 건조속도는 $70^{\circ}C$ 열풍건조가 가장 빨랐으며, 장방형절편보다 정방형절편에서 건조 속도가 빨랐다(p<0.05). 수축률은 약용버섯은 $50^{\circ}C$ 열풍건조, 식용버섯은 $70^{\circ}C$ 열풍건조가 가장 작았으며 정방형 절편이 장방형에 비해 낮았다(p<0.05). Hunter 색차계로 색도 값을 조사한 결과, 약용버섯은 자연건조구, 식용버섯은 열풍건조구가 색도 변화가 작았으며, 갈변도를 나타내는 ΔE값도 적었다(p<0.05). 재수화율은 약용버섯은 $50^{\circ}C$ 열풍건조구, 식용버섯은 자연건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50^{\circ}C$ 열풍건조가 비교적 건조시간이 짧으며, 수축률이 낮고, 갈변이 적게 일어나며, 재수화율이 높아서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Investigation of the cytotoxicity of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 Lee, Jung-Hwan;Jun, Soo-Kyung;Kim, Si-Chul;Okubo, Chikahiro;Lee, Hae-Hyou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6호
    • /
    • pp.453-46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s and to identify the possible adverse effects of these resins on oral keratinocytes in response to hot water/ food intake. MATERIALS AND METHODS. Six dental thermoplastic resin materials were evaluated: three polyamide materials (Smile tone, ST; Valplast, VP; and Luciton FRS, LF), two acrylic materials (Acrytone, AT; and Acryshot, AS), and one polypropylene resin material (Unigum, UG). One heat-polymerized acrylic resin (Vertex RS, RS) was chosen for comparison. After obtaining extracts from specimens of the denture resin materials (${\phi}=10$ mm and d=2 mm)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37^{\circ}C$ for 24 hours, $70^{\circ}C$ for 24 hours, and $121^{\circ}C$ for 1 hour), the extracts (50%) or serial dilutions (25%, 12.5%, and 6.25%) in distilled water were co-cultured for 24 hours with immortalized human oral keratinocytes (IHOKs) or mouse fibroblasts (L929s) for the cytotoxicity assay described in ISO 10993. RESULTS. Greater than 70% viability was detected under all test conditions. Significantly lower IHOK and L929 viability was detected in the 50% extract from the VP ($70^{\circ}C$) and AT ($121^{\circ}C$) samples (P<.05), but only L929 showed reduced viability in the 50% and 25% extract from LF ($37^{\circ}C$) (P<.05). CONCLUSION. Extracts obtained from six materials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37^{\circ}C$, $70^{\circ}C$, and $121^{\circ}C$) did not exhibit severe cytotoxicity (less than 70% viability), although their potential risk to oral mucosa at high temperatures should not be ignored.

Structural Stability of High-Temperature State of Bacteriorhodopsin: A Model of Multi-state Membrane Proteins

  • Mitaku, Shigeki;Yokoyama, Yasunori;Sonoyama, Masashi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8-121
    • /
    • 2002
  • A state of bacteriorhodopsin at high temperature was studied by various spectral measurements. The stability measurements indicated that the onset temperature of the denaturation was 70$^{\circ}C$ in the dark and 60$^{\circ}C$ under illumination. The reactivity of hydroxylamine with the Schiff's bas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60 and 70$^{\circ}C$. A spectral band at about 470 nm appeared in the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60$^{\circ}C$. The circular dichroism spectra in the visible region started to change from a bilobed exiton type to a positive band at about 60$^{\circ}C$, suggesting that the two-dimensional configuration of bacteriorhodopsin molecules changed from crystalline to amorphous. All the measurements suggested a new state between 60 and 70$^{\circ}C$ in which bacteriorhodopsin is stable only in the dark.

  • PDF

전기분해에 의한 은 나노 콜로이드 합성에 따른 항균 특성 연구 (Study on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Silver Nanocolloid)

  • 이재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3
    • /
    • 2018
  • In this study, high-purity silver nanocolloids were synthesized by an electrolytic reaction,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nanocolloid concentration was analyzed by performing the reaction at $70^{\circ}C$ and $90^{\circ}C$.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he thus-synthesized silver nanocolloids were also studied. When the synthesis was performed at $90^{\circ}C$, the concentration of silver nanocolloid increased to 14 mg/L after 5 min, 1756 mg/L after 30 min, and 2147 mg/L after 60 min. The concentration of silver nanocolloid synthesized by electrolytic reaction at $70^{\circ}C$ and $90^{\circ}C$ for 60 min was 1,882 mg/L and 2147 mg/L, respectively. The preferred temperature at which the electrolytic synthesis is performed is $70^{\circ}C$ to obtain high concentrations of 1,000 mg/L or more. The antibacterial performance of the thus-synthesized silver nanocolloids was 99.9% for E. coli and 99.5% for Pseudomonas aerugin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