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_3}-N$

검색결과 8,996건 처리시간 0.04초

고정생물막 공법을 이용한 질소제거에 있어서 제한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ing Factors in Nitrogen Removal with Fixed Biofilm Process)

  • 지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11권3호
    • /
    • pp.63-68
    • /
    • 1996
  • This study was to discuss limiting factors influenced 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itrogenous compounds investigated using the polypropyrene media which was to attach microorganism in order to apply the fixed-biofilm process. The main limiting factors are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C/N ratio, $COD/NO_{3}-N$ ratio and temperature.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were 6, 8, 10, 12 hrs and the C/N ratio range was 2.5-9.5. The $COD/NO_{3}-N$ ratio range was 3.2-21.9 and the temperature were 15, 20, 25, 30, $35^{\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to obtain removal efficiencies of T-N higher than 85% had to be 10 hrs above. 2.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N decreased at C/N ratio from 6.2 to 4.8 in this anoxic-contact aeration system. 3. Denitrification rate decreased at $COD/NO$_{3}$-N$ ratio from 8.0 to 5.0 4. As temperature increased, removal efficiencies of T-N increased.

  • PDF

담수조건에서 토양의 표면에 시용된 요소태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Methanol의 영향 (Effect of Methanol on the Behavior of Urea-N Applied to the Soil Surface under Submerged Condition)

  • 이상모;류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9-107
    • /
    • 1997
  • 담수토양에서 이분해성 유기물 (methanol)이 표면에 시용된 요소로 부터 유래하는 요소태 질소 (Urea-N)와 암모늄태 질소 ($NH_4-N$) 및 질산태 ($NO_3-N$) 질소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요소를 $150kg\;N\;ha^{-1}$ (관행구)와 $300kg\;N\;ha^{-1}$ (배비구)의 수준으로 처리하고 이분해성 유기물인 메탄올 ($CH_3OH$)을 2, 4 및 8 ml 처리한 후 30일 동안 담수 항온시키면서 표면수와 토양의 pH, Urea-N, $NH_4-N$$NO_3-N$의 농도를 시간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수 10일째에 관행구와 배비구의 표면수에서는 Urea-N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토양 중 Urea-N은 관행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배비구에서는 메탄올을 8 ml 처리한 경우에 담수 10일째에 $4.7{\mu}g\;g^{-1}$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표면수의 $NH_4-N$ 농도는 무처리 0.5-3.5, 관행구 4.1-12.1 및 배비구 $7.2-20.5{\mu}g\;ml^{-1}$의 범위로서 배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의 $NO_3-N$ 농도는 무처리 1.7-6.7, 관행구 2.2-7.3 및 배비구 $2.8-7.8{\mu}g\;g^{-1}$로서 거의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을 처리량에 따른 토양의 $NO_3-N$ 농도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담수시간이 경과할 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H_4-N$ 총량은 배비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 처리량이 증가할 수록 $NH_4-N$ 총량은 감소하였다. 담수시간 별로는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 20일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으로서 토양의 $NH_4-N$ 농도변화와 관계가 있었다. 표면수와 토양의 $NO_3-N$ 총량은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메탄올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메탄올을 2 ml 처리한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올을 4와 8 ml 처리한 경우에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무처리, 관행구 및 배비구 모두 담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NO_3-N$ 총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일본 노지채소 집약 재배지역 토양 침출수 중의 NO3-N 농도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자연존재비(δ15N) (Concentrations and Natural 15N Abundances of NO3-N in Groundwater and Percolation Water from Intensive Vegetable Cultivation Area in Japan)

  • 박광래;최재성;백형진;김원일;정구복;윤순강;조진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9-126
    • /
    • 2003
  • 질소 안정동위체 자연존재비(${\delta}^{15}N$)측정을 통해 노지 채소 재배토양에서 침출되어 지하로 이동하는 $NO_3-N$의 동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 m 관정수와 6 m 관정수의 $NO_3-N$ 농도 평균값은 각각 25.7 및 $2.8mg\;L^{-1}$이었으며, ${\delta}^{15}N$는 +3.6 및 +4.7‰이었다. 2) 암거배수의 $NO_3-N$ 농도와 ${\delta}^{15}N$의 평균은 각각 $35.5mg\;L^{-1}$와 +6.6‰로 토양 침투수는 즐인 선상지 전체로부터 모아지며 비교적 민감하게 화학비료, 가축분 퇴비 유래 질소농도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3) 단지 말단부의 용출수의 $NO_3-N$ 농도와 ${\delta}^{15}N$의 평균은 각각 $19.4mg\;L^{-1}$ 및 +7.9‰로서 채소 재배지대의 복류수 중에는 축산폐기물 유래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다. 4) 본 지구의 채소재배 토양의 ${\delta}^{15}N$은 2 N KCl 추출 가용태 질소로서 +6.1‰, 질산태 질소로서 +5.1‰이며, 주로 사용되는 화학비료의 전질소의 ${\delta}^{15}N$은 질산 억제비료가 -6.1‰, 그리고 완효성비료가 2.2‰이었다.

Pt-$WO_3-Si_3N_4-SiO_2$-Si-Al 캐패시터를 이용한 $NO_2$ 가스 센서 ($NO_2$ Gas Sensor Utilizing Pt-$WO_3-Si_3N_4-SiO_2$-Si-Al Capacitor)

  • 김창교;이주헌;이영환;유광수;김영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1998
  • Pt-WO$_3$-Si$_3$N$_4$-SiO$_2$-Si-Al 캐패시터를 이용한 NO$_2$ 가스 센서를 개발하였다. 표준 실리콘 MNOS구조에 촉매 게이트로 Pt와 가스 흡착층으로 WO$_3$를 이용함으로서 전통적인 세라믹 가스 센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NO$_2$ 가스를 감지할 수 있었다. 은도 변화와 NO$_2$ 가스 농도의 변화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NO$_2$ 가스 감도를 조사하였다. Pt-WO$_3$ 계면에서 NO$_2$ 이온농도의 변화에 기초로 한 가스 감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가스 감지 모델을 계면에서의 가스 반응 속도론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서 확인하였다.

  • PDF

배양액(培養液)의 질산태질소농도가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Mill)의 생육 및 무기원소(無機元素)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ate Concentration in Culture Solution on the Growth and the Uptake of Inorganic Elements of Tomato Plants(Lycopersicum esculentum Mill))

  • 이광식;유경권;요시히사 마츠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4
    • /
    • 1997
  • 본 연구(硏究)는 수경재배토마토에 있어서, 음(陰)이온이 무기양분흡수(無機養分吸收) 및 식물체의 원소조성(元素組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의 주요 질소원으로 사용하고있는 $NO_3-N$의 영향에 관해 검토하였다. 토마토(TVR-2)는 파종후 24일에 정식하고 정식후 126일에 재배를 종료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시(園試)표준액을 기본조성(基本組成)으로하여 $NO_3-N$농도 8, 16, 24, 32cmol/l 처리구를 설정하고, 정식후 33일에 양액탱크용량 150l, 베드크기 $90{\times}90{\times}5cm$에 8주를 정식하여 재배하고, 재배종료기의 식물체를 화방별(花房別) 기관별(器官別)로 분획채취(分劃採取)하여 건물중을 평량한 후 무기성분(無機成分)을 분석 검토 하였다. 엽신(葉身)과 엽병(葉柄)의 건물중은 $NO_3-N$농도가 높을수록 증가 하였으나, 과실의 건물중은 $NO_3-N$농도 16cmol/l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생식기관(生殖器官)에 대한 영양기관(營養器官)의 건물중비율(乾物重比率)은 $NO_3-N$농도 16cmol/l 처리구가 가장 낮았고, $NO_3-N$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과실수량은 $NO_3-N$농도 16cmol/l 처리구가 가장 많았다. $NO_3-N$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엽신(葉身)과 엽병중(葉柄中)의 전질소, $NO_3-N$, Ca 및 Na농도가 증가하였으며, $NO_3-N$ 농도 24 및 32cmol/l 처리구에서 K, P, S 및 Cl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수경재배토마토에 있어서 $NO_3-N$의 적정농도는 생육시기에따라 다르며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에는 8cmol/l가,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는 16cmol/l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의 무기음(無機陰)이온흡수에 미치는 양액중의 $NO_3-N$의 영향은 그 농도에 따라 다르며, $NO_3-N$농도가 낮을때는 주로 $Cl^-$과 그리고 $NO_3-N$농도가 높을때는 $SO_4{^{2-}}$$H_2PO_4{^-}$과 흡수길항관계(吸收拮抗關係)가 있었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Growth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Zosteraceae) in Gamak Bay, Yeosu

  • Kim, Do-Hoon;Park, Jin-Hyung;Shin, Jong-Ahm
    • ALGAE
    • /
    • 제19권1호
    • /
    • pp.49-5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ecology of Zostcra marina and to promote efficient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which has been decline in Gamak Bay, Yeosu, Korea. Whater column characteristics and eelgrass morphology at Anpori, Jangsuri and Wonpori were investigated every month from December 1999 to November 2000.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pH at the three sites were 10.0-27.0${\circ}C$,29.4-34.7% and 8.1-8.5,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at Anpori tend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at at the other locations; the salinity at Wonpori from July to November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locations. The concentrations of $NO_2$-N, $NO_3$_N, $NH_4$-N, $PO_4$-P and $Si(OH)_4$-Si at the three sites were 0.9-1.3, 2.0-6.2, 7.8-9.0, 3.0-3.6 and 22.2-30.2 uM,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NO_3$-N at Wonpori from June to November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at the other locations; that of NH4-N at Jansuri was somewhat lower than the others. The mean shoot height and leaf width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populations were 80.6 cm and 0.9 mm, 90.0 cm and 1.0 mm, and 95.3 cm and 1.0 mm, respectively. The mean total shoot weight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ones was 24.5,31.0 and 29.7 & respectively. The mean leaf and branch numbers of the Anpori, Jangsuri and Wonpori populations were 16.5 and 2.6, 16.1 and 2.4 and 15.4 and 2.6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hoot height and water temperature, leaf width and total shoot weight, leaf number and branch number, and $Si(OH)_4$-Si and $NO_3$-N were 0.726, 0.692, 0.862, and 0.693, respectively. The coefficients between shoot height and $NO_3$-N, total shoot weight and NO_3$-N, water temperature and $Si(OH)_4$-Si,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water temperature and $NO_3$-N were -0.716, -0.536, -0.775, -0.685 and -0.685, respectively.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explain 71.1% of the total sample variance. For axis 1, shoot height and water temperature tended to correlate with the population of Jansuri, followed by the Wonpori population, and $Si(OH)_4$-Si and $NO_3$-N tended to correlated strongly with the Anpori population. For axis 2, total weight, leaf width, leaf number and branch number showed a tendency to correlate with the Anpori and Jangsuri populations. For axis 3, the Anpori population tended to be influenced by $NO_2$-N and $PO_4$-P. For axis 4, the Wonpori and Jangsuri populations tended to be affected by salinity. The tendency, however, differed according to season.

각종 수소공여체의 첨가에 의한 $NO_3^--N$ 함유 폐수의 탈질 (Denitrification of the wastewater containing nitrate by various hydrogen donor addition)

  • 김형석;은종극;박승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7-77
    • /
    • 199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ith denitrific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nitrate using upflow sludge blanket process.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NO3--N removal efficiency by various hydrogen donor addition, determination of optimum COD/$NO_3^--N$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granular sludge.

국내산 무연탄과 NO, $N_2$O 기체의 고유반응 특성 (Intrinsic Reactivity of NO and $N_2$O gas with Korean Anthracites)

  • 박영철
    • 에너지공학
    • /
    • 제8권2호
    • /
    • pp.279-284
    • /
    • 1999
  • 국내 무연탄의 질소 산화물과의 반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기에서 등온 반응 실험을 행하였다. 사용 무연탄은 도계무연탄이며, 순수한 탄소인 SP-1 흑연이 비교 시료로 선택되었다. 탄소-NO 및 탄소-$N_2$O 반응은 55$0^{\circ}C$~90$0^{\circ}C$범위의 등온 조건과 기체 분압 5kPa~20 kPa조건에서 온도와 기체 분압의 영향을 실험하였다. NO 반응에서는 NO 분압에 대한 차수는 0.45~0.96 범위이었고, 활성화에너지는 39 kJ/mol~112 kJ/mol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N_2$O 반응에서는 $N_2$O 분압에 대한 차수는 0.62~0.87 범위이고, 활성화에너지는 190 kJ/mol~215.3 kJ/mol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다. 무연탄 연소반응과 비교하면 $700^{\circ}C$ 이하에서는 $O_2$>NO>$N_2$O 순으로 반응속도가 변화하였고, $700^{\circ}C$ 이상에서는 $O_2$>$N_2$O>NO 순으로 반응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 PDF

NO2 - N2O4 사이의 평형에서 압력의 영향에 관한 실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 about the Effect of Pressure on the Equilibrium of the NO2 - N2O4 System)

  • 강응규;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3-291
    • /
    • 2003
  • 이 연구에서는$2NO_2\;{\rightleftarrow}\;N_2O_4$계의 평형에 미치는 압력의 영향을 색깔 변화를 통해 관찰하는 실험과 관련하여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와 일반화학교재에 나타난 내용을 분석하고,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 방법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2NO_2\;{\rightleftarrow}\;N_2O_4$계를 압축시킬 때 부피 감소에 따른 $NO_2$ 농도 증가 요인을 무시하고 적갈색이 엷어지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고, 압축 시 일어나는 현상들의 원인을 해석하는 데 오류가 있었다. 따라서 이론적인 연구를 토대로 $2NO_2\;{\rightleftarrow}\;N_2O_4$계를 압축할 때 일어나는 색깔 변화와 온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올바른 해석을 제시하였다. 또한,$2NO_2\;{\rightleftarrow}\;N_2O_4$계의 압축 시, 부피 감소에 따른 $NO_2$ 농도 증가 효과를 배제하고 순수한 평형 이동에 따른 색깔 변화만을 관찰할 수 있는 개선된 실험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소모성 Anode(산화전극)을 이용한 질소 제거 최적화 (Optimization for Removal of Nitrogen Using Non-consumable Anode Electrodes)

  • 김현상;김영희
    • 청정기술
    • /
    • 제28권4호
    • /
    • pp.309-315
    • /
    • 2022
  • 폐수 중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화학적 방법 중 전극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용해성 전극인 DSA 전극을 anode(산화전극)로 사용하면서, 최적 cathode(환원전극) 도출 및 운전조건 최적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전극을 cathode(환원전극)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용액 중 Cl 존재시 질산성 질소(NO3-N)의 제거율이 가장 높으면서 부산물인 암모니아성 질소(NH3-N)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Brass(황동)가 최적 전극으로 선정되었다. 전류밀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을 때, 초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50 mg L-1의 조건에서, 최적 전류밀도는 15 mA cm-2이었고, 그 이상의 전류밀도는 제거율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전해물질(Na2SO4와 NaCl) 및 반응시간에 따른 질산성 질소(NO3-N) 제거 및 암모니아성 질소(NH3-N) 잔류량을 조사하였을 때, 질산성 질소(NO3-N)의 초기 농도 50 mg L-1, 전류밀도 15 mA cm-2의 조건에서 90분 반응 시 Na2SO4과 NaCl을 각각 1.0 g L-1, 0.5 g L-1 혼합하였을 때, 질산성 질소의 제거율은 약 48%였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잔류하지 않았다. 전해물질로 NaCl만 1.5 g L-1를 사용하였을 때, 질산성 질소(NO3-N)의 제거율은 약 55%로 가장 높았고, 암모니아 질소도 잔류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