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1}^I$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27초

폐결핵치료전후(肺結核治療前後) 방사성동위원소(放射性同位元素)스캔에 의(依)한 폐기능(肺機能)의 비교(比較) (A Dual Lung Scan for the Evaluation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before and after Treatment)

  • 이종헌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5
    • /
    • 1967
  • In 20 normal cases and 39 pulmonary tuberculosis cases, regional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measurements and lung perfusion scans by $^{131}I$-Macroaggregated albumin, lung inhalation scans by colloidal $^{198}Au$ and spirometries by respirometer were done at the Radiological Research Institute. The measured lung function tests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1.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blood flow was found to be $54.5{\pm}2.82%$ to the right lung and $45.5{\pm}2.39%$ to the left lu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1).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52.5{\pm}5.3%$ to the right lung and $47.5{\pm}1.0%$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in the right lung, and $56.2{\pm}4.4%$ to the right lung and $43.8{\pm}3.1%$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in the left lung. The differenc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between the right and left lung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p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26.9{\pm}13.9%$ to the right lung and $73.1{\pm}13.9%$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right lung, and $79.6{\pm}12.8%$ to the right lung and $20.4{\pm}13.0%$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left lung. These were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p<0.01). When both lungs were evenly involved,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49.5{\pm}8.01%$ to the right lung and $50.5{\pm}8.01%$ to the left lung. In the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18.5{\pm}11.6%$ to the right lung and $81.5{\pm}9.9%$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right lung, and $78.2{\pm}8.9%$ to the right lung and $21.8{\pm}10.5%$ to the left lung when the tuberculous lesion was more severe in the left lung. These were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statistically compared with the normal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p<0.01). When both lungs were evenly involved the average distribution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found to be $56.0{\pm}3.6%$ to the right lung and $44.0{\pm}3.2%$ to the left lung. 2. Lung perfusion scan by $^{131}I$-MAA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as as follows: a) In the pretreat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d area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ut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more extensive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in the apparently heal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b) In the pretreated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was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ut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was more extensive in the treated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as in the treated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c)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in the patients with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both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were almost similar to the chest roentgenogram. Especially the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cavity was usually greater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3. Lung inhalation scan by colloidal $^{198}Au$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was as follows: a)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ecrease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b)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decrease of radioactivity in the diseased area was partl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i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the radioactivity was found to be normally distributed in stead of tuberculous lesion in the chest roentgenogram. c) In the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ecrease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as in the minimal pulmonary tuberculosis. 4. From all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finding in pulmonary tuberculosis was a decrease in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and in general decrease of pulmonary arterial blood flow to the diseased area was more extensive than had been expected from the chest roentgenogram, especially in the treated group. Lung inhalation scan showed almost similar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chest roentgenogram in minimal and far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but there was a variability in the moderately advanced pulmonary tuberculosis.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spirometry were parallel to the tuberculous lesion in chest roentgenogram.

  • PDF

에스트로겐이 생쥐 초기배의 $\textrm{Ca}^{2+}$ 전류에 미치는 영향 (17 beta-Estradiol Increases Peak of $\textrm{Ca}^{2+}$ Current in Mouse Early Embryo)

  • 강다원;신용원;김은심;홍성근;한재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9-89
    • /
    • 2001
  • 배분화과정시 나타나는 $Ca^{2+}$ 변화에 미치는 $E_2$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whole cell voltage clamp 기법, 방사선 등위원소 면역측정법, 그리고 공초점 현미경을 통하여 $E_2$처리 후 나타나는 $Ca^{2+}$ 전류 변화 및 세포내 $Ca^{2+}$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쥐의 미성숙 난자는 난소의 난포를 천자하고, 배란난자는 과배란 처리 후 난관에서 회수하였다. 수정란은 과배란 처리 후 수컷 생쥐와 교미를 유도한 후 각각의 단계에 맞는 수정란을 채란하였다. 혈중 $E_2$의 농도는 심장을 천자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배발달 단계와 호르몬 처리 시간이 일치하는 혈액만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E_2$처리시 미성숙난자의 제 1극체 형성률 (성숙의 지표)은 $E_2$를 처리하지 않은 난자(83% : 83/100)보다 $E_2$를 처리한 난자 (94%, 94/100)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2. $E_2$를 처리하였을 때 $Ca^{2+}$ 내향전류의 변화는 -10 mV에서 -1.23$\pm$0.01 nA (n=15)에서 -1.50$\pm$0.03 nA (n=15)로 122% 상승함으로써 유의한 (P<0.05) 변화를 보였다. 3. $E_2$를 처리하지 않은 난자 및 수정란을 1로 한 후 $E_2$를 처리한 난자 및 수정란의 변화를 상대적인 값으로 표시하였다. $E_2$처리한 난자는 1.22$\pm$0.17 (n=10), $E_2$처리한 전핵배는 1.20$\pm$0.14 (n=10), $E_2$처리한 2세포기배는 1.07$\pm$0.01 (n=10), 4세포기배는 1.05$\pm$0.09 (n=10)를 나타냄으로써 수정란의 단계마다 $E_2$의 반응 결과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4. $E_2$농도 곡선에서 PMSG 처리 후 $E_2$의 혈중농도는 계속적인 상승을 보이다가 배란시기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배란 후 다시 감소하여 8세포기에서는 급격한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다시 상실기를 거쳐 배반포기 임신기간동안 $E_2$의 농도가 상승하였다. 5. $E_2$처리 후 세포내 $Ca^{2+}$ 농도변화의 결과로, $E_2$를 처리하지 않은 난자들의 세포내 $Ca^{2+}$ 농도는 836.4$\pm$131.2 (n=10), $E_2$를 처리한 난자들은 1736.4$\pm$192.0 (n=10)로써 유의한 (P<0.05)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_2$처리에 의한 세포내 $Ca^{2+}$ 농도 상승은 $E_2$$Ca^{2+}$ 통로를 자극함으로써 세포바깥의 $Ca^{2+}$이 세포안으로 이동하여 나타나는 변화로 생각된다.

  • PDF

분화성갑상선암에서 최초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시 혈청 갑상선글로불린 수치 변화의 의의 (Value of the Serum Thyroglobulin Level Alteration at the First High Dose Radioiod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 남현열;김인주;김용기;김성장;전성민;김범수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4호
    • /
    • pp.294-300
    • /
    • 2009
  • 목적: 이 연구에서는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시행 전, 각각 rhTSH 전처치를 시행한 환자군(rHTSH군)과 갑상선 호르몬 투여 중단 시행한 환자군(THW군)에서 방사성요오드 투여 후 단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Tg) 상승 정도가 성공적인 잔여갑상선 제거(RRA)를 예측할 수 있는지, 그리고 두 군 사이에서 동등한 잔여갑상선 제거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분화성갑상선암으로 수술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rhTSH군은 2003년 1월에서 2006년 12월까지 39명, THW군은 2005년 1월에서 2005년 6월까지 4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은 방사성요오드 투여하는 날, 방사성요오드 투여 후 9일째 되는 날 및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시행한 추적 검사에서 갑상선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85명 중 64명에서 성공적 인 RRA를 보였다. rhTSH 군에서는 27명, THW 군에서는 37명에서 RRA 성공을 보였고 이 두 군의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47). rhTSH군 및 THW군에서 TgD9/TgD0은 RRA 성 공군에서 실패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3, p=0.04) TgD0와 TgD9/TgD0의 절단값을 결합하였을 경우, TgD0가 5.28 이하이면서 TgD9/TgD0이 4.37초과인 경우 96.7%(29/30)의 RRA 성공률을 보였고, rhTSH군과 THW군에서도 각각 92.9%(13/14)와 100%(16/16)의 높은 HRA 성공률을 나타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오직 TgD0만 성공적인 RRA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01). 결론: THW군뿐 아니라 rhTSH군에서도 RRA를 위한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치료 도중의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의 변화 양상으로 향후 성공적인 RRA를 예측할 수 있다.

핵의학 영상검사 후 시행된 핵의학 검체검사에서의 영향 (The Effect on The Result, in Case of the In-vitro Test Performance after an Imaging Test)

  • 문기춘;권원현;김정인;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49-152
    • /
    • 2014
  • 핵의학과 영상검사 후에 검체검사를 시행할 경우 결과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T-CT, Gated Myocardial SPECT, DTPA GFR Scan을 시행하기 전 후에 채혈하여 Tumor marker (AFP,CEA,CA19-9), Hormone (TSH,T3,TG,TG Ab)검사를 시행하여 Difference를 구하였다. 대부분의 결과가 10% 이내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Table 7의 sample 2와 Table 8의 sample 1, sample 6, sample 8의 저 농도 값에서 20%를 넘는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그렇지만 cpm값은 Table 7의 sample 2는 984(전), 1057(후) Table 8의 sample 1은 243(전), 301(후) sample 6은 58(전), 64(후) sample 8은 258(전), 203(후)으로 매우 흡사한 값을 나타냈다. 이 같은 값을 바탕으로 볼 때 영상검사를 시행한 후에 검체검사를 시행하더라도 결과값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의료용 Re-186 오염폐기물의 규제해제를 위한 방사능측정 (Measurement of Specific Radioactivity for Clearance of Waste Contaminated with Re-186 for Medical Application)

  • 김창범;이상경;장성주;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633-638
    • /
    • 2017
  • 방사선 진료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료분야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갑상선암 진료 목적의 I-131을 비롯하여 PET/CT 조영제로 사용하는 F-18, 핵의학검사에 폭 넓게 적용하는 Tc-99m 등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사용과정에서 이러한 핵종에 오염된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일정기간 보관한 후에 방사능이 규제해제(Clearance) 수준으로 감쇠하면 소각 등의 방법으로 자체처분하게 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는 $10{\mu}Sv/y$의 개인선량 및 1man-Sv/y의 집단선량과 함께 핵종별 농도에 근거하여 방사성폐기물의 규제해제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IAEA의 핵종별 방사능농도기준에 따른 규제해제 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Tc-99m과 방사화학상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Re-186 관련 방사성폐기물을 수집하여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Re-186은 반감기가 3.8일로 방사성의약품으로는 비교적 길고, 베타선 및 감마선을 방출하여 방사성의약품 치료와 영상에 모두 사용된다. Re-186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염된 일회용장갑(Poly Glove)의 방사능측정을 위하여 다중파고분석기(Multi Channel Analyzer; MCA)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표준물질을 제작하여 MCA를 교정한 이후 감마방사능 측정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측정결과를 근거로 방사능 감쇠 유도식을 산출하여 이론식과 대비하여 고찰하였는바, Re-186 핵종의 유도반감기(3.6일)는 이론적 반감기(3.8일)에 비해 다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정결과에 근거한 유도반감기를 적용한다면, 다소 줄어든 기간 동안 Re-186 핵종 폐기물을 보관하였다가 자체처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에 포함될 예정이다.

핵의학 방사선 작업종사자 피폭 감소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duction of Radiation Exposure by Nuclear Medicine Radiation Workers)

  • 이왕희;안성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1-281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차폐체가 가진 차폐 효율을 확인하고, 인체모형 팬텀을 활용해 깊이에 따른 장기별 선량을 측정한 것이다. 개인방사선량측정기를 이용한 차폐체 차폐효율 측정 결과 다양한 차폐체 중 나노텅스텐으로 구성된 1.1 mm RNS-TX가 가장 높은 차폐 효율을 보였고, 0.2 mm 납 차폐체가 가장 낮은 차폐 효율을 보였다. $^{99m}Tc$ 30 mCi를 120분 동안 팬텀에 노출시킨 뒤 장기가 받은 선량 측정 결과. 방사선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0.25 mm Pb, 0.5 mm Pb 방호복을 착용한 경우, 장기의 평균 선량은 각각 20.53 mSv, 8.75 mSv, 6.03 mSv로 나타났다. $^{131}I$ 2 mCi를 120분 동안 팬텀에 노출시킨 뒤 장기가 받은 선량 측정 결과, 방사선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0.25 mm Pb, 0.5 mm Pb 방호복을 착용한 경우, 장기의 평균 선량은 각각 7.71 mSv, 4.88 mSv, 2.79 mSv로 나타났다. $^{18}F$ 5 mCi를 120분 동안 팬텀에 노출 시킨 뒤 장기가 받은 선량 측정 결과. 방사선 방호복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0.25 mm Pb, 0.5 mm Pb 방호복을 착용한 경우, 장기의 평균 선량은 각각 16.39 mSv, 15.84 mSv, 12.52 mSv로 나타났다. 핵의학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이 한도를 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병원 내 타 직군 종사자와 비교 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피폭선량을 보이므로 가볍고 차폐효율이 좋은 차폐물질로 개발된 방사선방호복 착용, 순환 업무, 업무 분담, 오토분주기와 같은 대체 장비 도입 등을 통해 핵의학 작업종사자의 선량을 줄이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핵의학 영상 검사의 중장기 추세 분석 - 서울 소재 일개 상급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Long-Term Trend Analysis in Nuclear Medicine Examinations)

  • 정우영;심동오;최재민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15-28
    • /
    • 2019
  • 핵의학은 1959년에 국내 도입되어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를 위해 $^{131}I$을 경구 투여한 것으로 시작되었고, 감마카메라는 1969년에 국내 도입되어 핵의학 영상 검사를 시작한 후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서울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17년까지의 핵의학 영상 검사 및 치료 실적에 대해 중장기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해당병원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마, PET, 골밀도, 치료로 구분하여 검사 실적 추세 및 상세 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 핵의학 발전에 대한 예측을 하고, 핵의학 발전 방향 및 발전 계획의 준거 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지난 20년 동안에 Bone scan, MUGA scan, Renal scan(99mTc-DTPA), $^{18}F$-FPCIT PET, 골밀도 검사 등이 상승 추세였고, Myocardium perfusion SPECT, Thyroid scan, Lung scan 등은 하락 추세였으며, Hepatobiliary scan, Renal scan(99mTc-DMSA), $^{18}F$-FDG PET 등은 정체되어 있었다. 그리고 핵의학 치료 실적은 2011년까지 상승 추세였으나 갑상선 과잉진료 논란이후에 급락한 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핵의학 영상 검사와 경쟁 검사 간의 건수를 분석한 결과, 반비례 관계이거나 역치 현상이 있었다. 핵의학 영상 검사 및 치료 실적은 의약 분업 도입과정에서 발생한 의사 파업(2000년), 갑상선 과잉 진료 논란(2011년, 2014년), 무증상 추적 검사를 제한한 PET 요양 급여 개정(2014년), 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2015년), 그리고 수시로 발생하는 요양 급여 삭감 등의 변수에 큰 영향을 받았다. 핵의학 영상 검사는 중장기 상승 추세에 있었으나 2012년 이후로 정체되어 있었다. 핵의학 영상검사 및 치료의 중장기 성장과 발전 방향을 위해서는 시시각각 변하는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은 물론이고, 핵의학 영상 검사 및 치료가 타 경쟁 검사 및 치료에 대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노력, 신규 검사 및 치료의 개발, 임상적인 정량지표의 개발 및 안정적 유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M.I.에 의한 일부대학생(一部大學生)들의 건강상태(健康狀態)에 관(關)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College Students by Cornell Medical Index")

  • 윤병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7
    • /
    • 1989
  • To evaluate the college students' health status, the author distributed C.M.I. to 233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102 males and 131 females who randomly selected from a college in seoul.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1. The mean of CMI scores for the male students was 32.84 and that for the female students was 43.25.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mean of CMI scores for male students and that for female students. 2. For male students, The CMI mean scores for the day students was 29.46 and for evening students was 35.85.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the day students and that for the evening students. 3. For female students, the mean of CMI scores for day students was 42.40 and that for the evening students was 44.64.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CMI scores for the day students and that for the evening students. 4. In both female and male groups, the affirmative response rate of inadequacy, fatigability and eyes and ears are higher than any of the other items. 5. In comparing the CMI items of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cardiovascular system, musculoskeletal system, skin, nervous system, genitourinary system, fatigability, habits, inadequacy, depression and tension. The mean scores for female students, with the exception of habi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male students. 6. In comparing the CMI items of male day students and male evening stud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digestive tract, skin, genitourinary system, inadequacy, and anger : the mean scores of evening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day students. 7.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 CMI mean scores of the evening students in the categories eyes and ears, cardiovascular system, digestive tract, musculoskeletal system, skin, genitourinary system, fatigability, inadequacy, depression, anxiety, and sensitivity were higher scores than those of the day students. However, th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except in the cathgory of habits. 8. The frequency rate of neurotic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by fukamachi's classification, were 12.5% in the day male students, 18.6% in th evening male students, 13.6% in the day female students, and 18.0% in the evening female students.

  • PDF

한국에서의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norovirus and indicator microorganisms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 강지현;심혜미;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3-131
    • /
    • 2017
  • 노로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저감화사업단(NOROTECL)의 1중 2세부과제에서는 농산물의 노로바이러스 오염 원인을 추적조사하여 노로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고 저감화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에 노로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80개 농산물, 80개 토양, 78개 인체분변, 3개 가축분변, 80개 농업용수, 80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Male specific coliphage (MSC), 위생지표세균(Coliform, E. coli) 세 가지 검사를 통해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Semi-nested PCR과 DNA sequencing을 통해 18개의 Genogroup I과 3개의 Genogroup II 노로바이러스가 총 18개의 시료에서 발견되었다. Genogroup이 확정된 노로바이러스에 대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농산물에서 68%와 1%, 토양에서 88%와 7.5%, 인체분변에서 44%와 12.8%, 가축 분변에서 67%와 67%, 농업용수에서 74%와 30%, 하천수에서 96%와 51%의 검출율을 각각 나타냈다. MSC 결과에서는 14개의 시료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한국성인 여성의 단백질 섭취수준과 동.식물성 급원이 칼슘 및 인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s and Sources on Calcium and Phosphorus Metabolism in Young Korean Women)

  • 구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2호
    • /
    • pp.124-131
    • /
    • 1991
  • 식이 단백질 섭취수준 및 동·식물성 단백질 급원이 칼슘 및 인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10명의 한국성인 연성을 대상으로 26일간의 통제 식이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사실험 연구는 6일간의 적응기간과 10일간의 중단백식이(60g 단백질 545mg Ca)와 10일간의 고단백질 식이(90g 단백질 575mg Ca)로 구성되었다 중·고단백 식이기간 동안 동물성 단백질(75%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75% 식물성 단백질) 식이군으로 나누어 같은 식이에서 중단백식이 후 고단백식이를 섭취토록 하였고 실험식이 마지막 4일간은 각 2명에게 300mg 칼슘을 보충시켰다. 칼슘 흡수율은 단백질 섭취량의 증가시 동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칼슘 보충은 급원에 관계없이 칼슘 흡수를 증가시켰다. 중단백 식이기간 동안 동물성과 단백질 식이에서 칼슘흡수율은 약 30% 이었으며 고단백질식이 기간 동안 동물성 단백질에서 46% 식물성 단백질에서 37% 이었다. 칼슘을 보충시켰을 때 중단백 식이기간동안 칼슘 흡수율은 약 46% 이었으며 고단백 식이군에서 53%이었다 뇨중 칼슘배설은 단백질 섭취수준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동물성 단백질 식이에서 식물성 단백질 식이보다 칼슘배설양이 많았다. 칼슘 균형을 단백질 섭취증가와 칼슘 보충으로 호전되었다. 인의 흡수는 단백질 섭취수준에는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인 섭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인 흡수율은 동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 약 77∼81% 로 식물성 단백질 식이군에서의 55∼65%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단백질 섭취수준 60g에서 90g으로의 증가와 칼슘보충은 뇨중 칼슘 배설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며 칼슘 흡수를 증진시켜 칼슘균형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