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tubulin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에 서식하는 침엽수의 잎과 난초과 식물의 뿌리에서 분리한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Notes on Five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Coniferous Leaves and Orchid Roots in Korea)

  • 박혁;이봉형;배유라;김동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5-3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눈측백의 침엽과 자란의 뿌리에서 식물에 공생하는 내생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를 위해 specific primer인 ITS1F와 ITS4를 이용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영역과 primer LR0R과 LR 16을 이용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을, primer Bt2a과 Bt2b를 이용하여 ${\beta}$-tubulin 영역을, 그리고 EF-1 primer를 이용하여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지역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olletotrichum simmondsii, Fusarium sterilihyphosum, Diatrypella pulvinata, Ochroconis globalis, Sphaeria chrysosperma 등 국내 미기록 균주 5종을 분리하여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동정 결과를 서술하였다.

Genetic Variations of Trichophyton rubrum Clinical Isolates from Korea

  • Yoon, Nam-Sup;Kim, Hyunjung;Park, Sung-Bae;Park, Min;Kim, Sunghyun;Kim, Young-Kw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1-229
    • /
    • 2018
  • Trichophyton rubrum is one of the well-known pathogenic fungi and causes dermatophytosis and cutaneous mycosis in human world widely. However, there are not an available sequence type (ST) classification methods and previous studies for T. rubrum until now. Therefore, currently, molecular biological tools using their DNA sequences are used for genotyp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genetic diversity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 of T. rubrum clinical isolates, five different housekeeping genes, such as actin (ACT), calmodulin (CAL), RNA polymerase II (RPB2), superoxide dismutase 2 (SOD2), and ${\beta}$-tubulin (BT2) were analyzed using by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lso, DNA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quences of Trichophyton strains and the identified genetic variations sequence. As a result, most of the sequences were shown to have highly matched rates in their housekeeping genes. However, genetic variations were found o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beta}$-tubulin gene and were shown to have changed from $C{\rightarrow}G$ (1766), $G{\rightarrow}T$ (1876), and $C{\rightarrow}A$ (1886). To confirm the association with T. rubrum inheritance, a phylogenetic tree analysis was performed. It was classified as four clusters, bu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 Even so, MLST analysis is believed to be helpful for determining the genetic variations of T. rubrum in cases where there is more large-scale data accumul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first MLST analysis of T. rubrum in Korea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MLST could be a useful tool for studying the epidemiology and evolution of T. rubrum through further studies.

Expression of Attacin-like Antibacterial Protein NUECIN in Pleurotus ostreatus

  • Kim, Beom-Gi;Yun, Eun-Young;Yoo, Youngbo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1-95
    • /
    • 2011
  • 느타리버섯은 가장 중요한 식용버섯 중 하나이다. 느타리버섯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 갈변병에 매우 감수성이므로, 저항성 품종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누에에서 분리된 항 세균성 단백질인 누에신을 느타리버섯에서 과발현시키고자 하였다. 누에신 cDNA는 여름 느타리버섯의 ${\beta}$-tubulin 프로모터에 결합되어 pTRura3-2 vector와 함께 우라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 균주에 형질전환되었다. 누에신 cDNA가 형질전환된 느타리버섯을 genomic PCR과 Southern blot을 통하여 분리할 수가 있었으며, 이들 중 3개의 형질전환체가 누에신 유전자를 발현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들 형질전환체들에서 누에신 단백질을 검출할 수 없었으며, 또한 항 세균 효과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들 결과는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한 병 저항성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담수환경에서 발굴된 Didymella속 3종의 국내 최초 보고 (First Report of Three Didymella Species Isolated from Freshwater Ecosystem in Korea)

  • 문혜연;고재덕;오유선;정애란;정남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
    • /
    • 2018
  •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3종의 균류가 담수환경으로 부터 분리되었다. NNIBRFG108은 강원도 삼척의 담수침전식물체에서 분리되었고, NNIBRFG1139와 NNIBRFG1480은 경북 김천과 제주지역의 토양으로부터 분리되었다. 형태적 특징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18S rDNA, 28S rDNA 및 ${\beta}$-tubulin 유전자를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류를 통해 동정한 결과, NNIBRFG108, NNIBRFG1139, NNIBRFG1480 균주는 각각 Didymella segeticola, D. ellipsoidea 및 D. aeria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미기록종으로 본 보고가 국내 최초이다.

일반 PCR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circinans 검출 (Detection of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circinans by Conventional PCR and Real-time PCR)

  • 김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7-477
    • /
    • 2018
  •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circinans는 세계적으로 양파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병원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PCR방법과 real-time PCR방법으로 C. circinan를 정확하면서도 쉽고 빠르게 검출이 가능한 특이 마커를 개발하였다. $tef-1{\alpha}$ 유전자와 ${\beta}-tubulin$ 유전자를 분석하여 C. circinan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cirTef-F/cirTef-R set와 cirTu-F/cirTu-R set를 제작하였다. 일반 PCR 방법으로 cirTef-F/cirTef-Rset는 100pg, cirTu-F/cirTu-Rset는 1ng까지 검출이 가능하였고 real-time PCR 방법으로는 각각 10 pg, 100 pg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 C. circinans에 인공적으로 감염된 양파 종자에서도 cirTef-F/cirTef-Rset를 사용하여 일반 PCR방법과 real-time PCR 방법 모두 C. circinans검출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 circinans 특이 검출마커는 수출입 되는 채소 및 종자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탄저병균인 C. circinans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iplodia seriata에 의한 사과 검은썩음병 발생보고 (First Report of Black Rot Caused by Diplodia seriata on Apple)

  • 김영수;윤윤주;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21-327
    • /
    • 2018
  • 2018년 경북 영천지역 사과과수원에서 미이라화 된 과실, 배꼽이 썩어 들어간 과실과 점무늬를 형성한 과실의 증상을 관찰하였다. 이 증상의 원인균을 증명하기 위해 이병체에서 균사체를 분리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건전한 사과 과실이 급격히 썩으면서 발견 시의 병징과 일치하였다. 곰팡이의 특성은 흰색의 균사로 자라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암회색으로 변하였다. 병자각 안에서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분생포자는 갈색의 타원 형태였으며 격막이 없고 끝이 둥근 형태이다. 분생포자 크기는 $21.7-28.3{\times}9.9-15.3{\mu}m$이다. 병원균의 ITS, ${\beta}$-tubulin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Diplodia seriata로 동정되었다. Diplodia seriata는 국내에서 식물병원균으로 보고된 바 없다. 사과에서 Diplodia seriata에 의한 Black rot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이며 사과 검은썩음병으로 명명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독도 왕호장근 근권 토양에서 분리된 미기록 균류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of Fallopia sachalinensi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성한중;Manh Ha Nguyen;박종명;홍지원;지원재;김보미;김대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57
    • /
    • 2023
  •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인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의 근권 토양에서 다양한 균류를 분리하였다. 분리균들의 형태적 특징과 rDNA-ITS와 LSU 또는 beta-tubulin 영역 분석을 통한 분자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Penicillium striatisporum, Gongronella sichuanensis 종들이 분리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미기록 종들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특징을 본문에 기술하였다.

Transformation of the Edible Basidiomycete, Pleurotus ostreatus to Phleomycin Resistance

  • Kim, Beom-Gi;Joh, Jung-Ho;Yoo, Young-Bok;Magae, Yumi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42-45
    • /
    • 2003
  • For transformation of Pleurotus ostreatus, two novel vectors, pPhKM1 and pPhKM2, were constructed, using the regulatory sequences of the P. sajor-caju $\beta$-tubulin gene(TUB1) and the ble gene encoding phleomycin binding protein. pPhKM1 contains ble fused to the TUB1 promoter and the Schizophyllum commune GPD terminator. pPhKM2 contains ble fused to the promoter and terminator regions of P. sajor-caju TUB1. To confirm phleomycin-resistance activity, each vector was cotrans-formed with pTRura3-2 into the P. ostreatus homokaryotic $ura^-$ strain. The transforming DNA was stably integrated into the genomic DNA. Subsequently, phleomycin resistance was conferred on wild-type dikaryotic P. ostreatus by transformation with pPhKM1 or pPhKM2. This transformation system generated stable phleomycin-resistant transformants.

이등제통탕(二藤除痛湯)이 Taxol 처리 및 좌골신경의 압박 손상 후 유발된 랫드의 말초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ideungJetong-Tang on Peripheral Neuropathy Induced by Taxol and Compression Injury in the Rat Sciatic Nerve)

  • 정호영;김철중;조충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3-146
    • /
    • 2012
  • Background: Most antitumor agents have the side effect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Cancer patients who take antitumor agents suffer from CIPN, but there is no known treatment for it. Unlike the central nerve system, the peripheral nerve can self-repair, and the Schwann cell takes this mechanism. Objectives: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effect of YideungJetong-Tang (YJT) extract on taxol-induced sciatic nerve damage,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Also, we studied the effect of YJT extract on neurite recover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after compression injury of sciatic nerve in vivo. Methods: Vehicle, taxol and taxol+YJT were respectively applied on sciatic nerve cells of rat in vitro, then the cells were cultured. The sciatic nerve cells and Schwann cells were then observed using Neurofilament 200, Hoechst, ${\beta}$ -tubulin, S-$100{\beta}$, caspase-3 and phospho-Erk1/2. CIPN was induced by taxol into the sciatic nerve of rat in vivo, then YJT extract was taken orally. The axons, Schwann cells and neurites of the DRG sensory nerve were then observed using Neurofilament 200, ${\beta}$-tubulin, Hoechst, S-$100{\beta}$, phospho-Erk1/2 and caspase-3. YJT was taken orally after sciatic nerve compression injury, and the changes in axon of the sciatic nerve, Schwann cells and TNF-${\alpha}$ concentration were observed. Results: The taxol and YJT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chwann cell recovery, neurite growth and recovery. In vivo, YJ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howed Schwann cell structural improvement and axons recovering effect after taxol-induced Schwann cell damage. After sciatic nerve compression injury, recovery of distal axon, changes of Schwann cell distribution, and anti-inflammatory response were observed in the YJ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fter taxol-induced neurite damage of sciatic nerve in vivo and in vitro, YJ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iatic nerve growth and Schwann cell structural improvement. In vivo, YJT improved recovery of distal axons and Schwann cells and had an anti-inflammatory effect.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신규 마름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a Bracken Blight Disease Caused by Didymella sp.)

  • 이정은;김기범;박주은;김다운;신유경;윤성환;정영륜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43-148
    • /
    • 2019
  • 최근 4년간 경남 남해군 창선면 일대 고사리 재배 포장에서 마름병 증상을 보이는 새로운 병해가 발생하였고 이 병해로 인하여 해당 지역 고사리 생산량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다. 2018년 5월, 7월, 10월에 이병 시료를 채취하여 그로부터 총 92개의 곰팡이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를 건전한 고사리 잎에 접종하여 총 22개 곰팡이 균주가 포장에서 발생된 병징과 동일한 병징을 일으킴이 확인되었다. 이 중 병원성이 가장 높은 2균주를 선발하여 ribosomal RNA, RNA polymerase ${\beta}$-subunit, ${\beta}$-tubulin 유전자 부위, internal transcribed region을 증폭하였다. 해당 증폭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작성을 통해 병원균 균주는 Didymella속의 clade에 속하며, 기존 균주 중 D. rumicicola 또는 D. acetosellae와 비슷하나 기존 종 수준의 subclade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사리 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결과는 Didymella sp.에 의한 고사리 마름병 발생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