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bergamoten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가시오갈피나무의 정유성분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 임순성;이정민;박희승;조선행;신국현;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33
    • /
    • 2007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stems, and roo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growing wild in Mt. Deok-Yu was determined by GC and GC/MS spectrometric analysis with the aid of NBS, Wiley Library and RI indice searches. The major constituents identified were ${\delta}-elemene\;(23.14%),\;{\beta}-elemene\;(5.59%),\;{\gamma}-cadinene\;(5.43%),\;and\;{\alpha}-bergamotene\;(28.54%)$ in the leaves, ${\alpha}-pinene\;(11.50%),\;{\delta}-elemene\;(17.62%),\;{\alpha}-bergamotene\;(27.21%)$, and bicycloheptane derivative (6.38%) in the stems, and ${\alpha}-pinene\;(21.90%)$, and (+)-aromadendrene (3.77%) in the roots.

기능성 지표물질 확인을 위한 동양란 심비디움(Cymbidium) 향기 성분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Functional Fragrant Components of Cymbidium (Oriental Orchid) Species)

  • 김성민;장유진;홍종원;송성호;박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31-341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지표물질 확인을 위한 동양란 심비디움(Cymbidium) 향기 성분 비교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GC/MS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춘란(Cymbidium goerigii L.), 중국춘란(C. forrestii R.)과 일경구화(C. faberi R.)의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한국춘란으로 '민춘란', '주금화', 중국춘란으로 '취개', '송매', '용자', 일경구화로 '최매', '남양매', '화자'등을 사용하였다. GC/MS 방법을 통해 검출된 성분들을 peak area(%)값 분석을 사용하여 3%이상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분류하였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 한국춘란에서는 유방암, 자궁경부암, 교모세포종암에 세포독성 기능성을 가진 ${\alpha}$-bergamotene과, 인체 간암 세포(HepG2)의 사멸과 성장 억제, 항진균제 및 바베스열원충, 충치균에 대한 억제 기능성을 가진 nerolidol이 가장 많았다. 중국 춘란에서는 nerolidol과 악성 흑색종 세포(B16-F10), 인체 간암 세포와 백혈병 세포(HL-60, K562)의 사멸과 억제 등의 기능성을 가진 ${\beta}$-bisabolene이 가장 많았다. 일경구화에서는 교모세포종(SF-767)의 억제와 간암세포주(BEL-7402)에 소염작용 억제 효과를 가진 ${\alpha}$-pinene, 위장 보호 효과 기능을 가진 1,8-cineole과 페로몬의 기능을 가진 1,3,7-octatriene이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동양란의 주요 향기 성분으로 밝혀진 물질들은 인간에게 유익한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시오갈피와 좀가시오갈피 접목시 정유성분 변화 (Changes in Essential Oil Cont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Grafted on 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Harms)

  • 신국현;조선행;임순성;이상현;류나마;주화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4-120
    • /
    • 1998
  • 가시 오갈피의 지상부 수확량과 유용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육이 양호한 품종을 대목으로 접목재배를 하였다. 접목재배한 가시오갈피의 유용성분의 변화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정유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 잎의 고유 성분 중에서 접목재배로 인하여 함량이 증가한 것은 calarene, ${\alpha}-beramotene$, spathulenol 등이고, 감소한 것은 cis-caryophyllene, epizomarene, M204 $(t_R=2.07)$이었으며, ${\beta}-pinene$, ${\beta}-myrcene$, 2,5,5,-trimethyl- 1,3,6-heptatriene, ${\beta}-elemene$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줄기의 고유 성분은 접목재배와 일반재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접목 1년생보다 3년생에서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함유한 성분은 ${\alpha}-bergamotene$으로 27% 정도이었다. 3. 뿌리에서는 좀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ethylbenzene, 2-furancarboxaldehyde, M134 $(t_R=2.11)$, M205 $(t_R=3.16)$ 등이 측정되지 않았고, 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6,6-dimethyl-3-methylenbicycloheptane, M166 $(t_R=1.82)$, (+) -aromadendrene, ${\beta}-bisabolene$, M204 $(t_R=3.01)$ 등이 대목에 새롭게 생성 축적되었다.

  • PDF

한국산 바질(Ocimum basilicum L.)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Basil(Ocimum basilicum L.) cultivated in Korea)

  • 안대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3-517
    • /
    • 1999
  • Theessential oils of anise darkopal lettuce and sweet basils cultivated in Korea were extracted by simulat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method and were analyzed by GC/MSD. Total 41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including 11 alcohols, 6 carbonyls 19 hydrocarbons and 5 esters compon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1,8-cineole linalool $\alpha$-bergamotene $\beta$-elemene methyl chavicol, $\beta$-cubebene methyl cinnamate and eugenol. Darkopal lettuce and sweet basils were rich in linalool(30.1-36.5%) methyl chavicol(8.1-25.5%) and relatively poor in methyl cinnamate(0-2.71%) Anise basil was rich in linalool(28.5%) and methyl cinnamate(23.1%) However methyl chavicol which was known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bisil was not detected.

  • PDF

수리취와 참취 엽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Aroma Compounds between Synurus deltoides and Aster scaber Leaves)

  • 이경철;사주영;왕명현;한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62
    • /
    • 201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volatile aroma compounds of Synurus deltoides and Aster scaber. The volatile aroma compounds from Synurus deltoides and Aster scaber were extracted by soild-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s. S. deltoides had 97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including 5-acetyl-1,2-dihydro acenaphtylene (14.63%), ${\beta}$-cubebene (9.31%), caryophyllene (8.97%), ${\beta}$-chamigrene (7.14%), ${\beta}$-selinene (2.71), ${\alpha}$-farnesene (2.47%), ${\alpha}$-bergamotene (2.26%), ${\beta}$-elemene (1.94%), etc. A. scaber had 84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10.38%), terpinolen (10.09%), caryophyllene (6.04%), 8-isopropenyl-1,5-dimethyl-1,5-cyclodeca diene (5.42%), ${\alpha}$-himachalene (5.04%), ${\beta}$-thujene (4.37%), ${\beta}$-pinene (4.28%), ${\beta}$-cubebene (3.99%), etc. Conclusively, the main common volatile aroma compounds in S. deltoides and A. scaber leaves were 19 volatile aroma compounds such as caryophyllene, terpinolen, ${\beta}$-cubebene. But the composition and amount of volatile aroma compounds were very different between the two species.

건조 조건이 오미자의 휘발성 terpene류 및 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ing Conditions on the Profile of Volatile Terpenoid and Colour of Schizandra Fruit(Schizandra Chinensis fructus))

  • 김윤제;이영근;최영환;김용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66-1071
    • /
    • 2008
  • 오미자의 건조공정에 의한 휘발성 terpene류와 색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건조조건을 $50^{\circ}C$$70^{\circ}C$의 열풍건조, $-70^{\circ}C$의 진공동결건조의 3종 건조방법으로 건조한 후 SDE 연속추출장치로 terpene류를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고, 각 건조된 오미자를 마쇄한 분말의 색도를 Hunter colorimeter로 측정하였다. 생오미자의 GC/MS 분석 결과, 15종의 monoterpene류, 28종의 sesquiterpene류 및 7종의 terpene alcohol류가 확인되었으며, 또한 myrcene (56.97 ${\mu}g/g$)과 ${\gamma}-terpinene$ (58.49 ${\mu}g/g$)이 monoterpene류, ${\beta}-elemene$ (120.16 ${\mu}g/g$), ${\alpha}$-bergamotene ($103.45{\mu}g/g$), ${\gamma}$-selinene (75.97 ${\mu}g/g$), ${\beta}$-cubebene (66.69 ${\mu}g/g$), aristolene (51.25 ${\mu}g/g$) 및 ${\alpha}$-ylangene (28.06 ${\mu}g/g$) 등이 sesquiterpene류, 그리고 T-muurolol (96.45 ${\mu}g/g$)과 terpinen-4-ol (46.02 ${\mu}g/g$)이 terpene alcohol류의 주성분이었다. 건조과정의 초기에 생오미자 terpene류의 절반 이상이 감소되었으며, 이후 건조기간의 경과에 따른 추가적 감소는 아주 적었다. 또한 총 terpene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sesquiterpene류의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는 소량 증가하다 6일 이후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그리고 terpene alcohol류는 진공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그 함량이 비교적 많이 남았으나, 고온인 $70^{\circ}C$에서 열풍건조한 시료에서는 가장 적게 남아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L값은 동결건조, $50^{\circ}C$ 열풍건조, $70^{\circ}C$ 열풍건조 순서로 높았으며, a값 및 b값도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았으며 $70^{\circ}C$ 열풍건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