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52}Cf$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3초

Advanced Technology Trends in Development of Land-Mine Detection Systems

  • Hwang, Sun-Tae;Park, Kil-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
    • /
    • pp.349-354
    • /
    • 2001
  • While the United Nations UN) agencies work to restrict the manufacture, sale, and use of land-mines worldwide, a massive clean-up effort is needed to find and destroy the estimated 100 million land-mines still buried around the world. Land-mines left behind from wars worldwide are one of the past century's main unsolved problems of war and remain the focus of humanitarian land-mine detection and removal primarily in Europe, Africa, Asi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For example, approximately 1 million anti-personnel mines and other various kinds which have been buried in the 249.4 km (155 miles) demilitarized zone (DMZ) of the Korean peninsular should be completely removed in historical process of the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is regard, the current trends of technologies linked to land-mine detection systems are surveyed.

  • PDF

CHARACTERISTICS OF THE KAERI NEUTRON REFERENCE FIELDS FOR THE CALIBRATION OF NEUTRON MONITORING INSTRUMENTS

  • Kim, Bong-Hwan;Kim, Jang-Lyul;Chang, Si-Young;Cho, Gyu-Seo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43-248
    • /
    • 2001
  • Neutron reference fields of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for calibrating neutron measuring devices to be used in radiation workplace monitoring consist of two kinds of neutron spectra, the direct and the scattered neutron fields, which are produced by using radionuclide neutron sources, 252Cf and 241AmBe sources. Necessary parameters for calibration such as the anisotropy factor of each neutron source and the room-scattered fraction of some neutron surveymeters in the KAERI calibration facility were determined by calculation or measurement. Spectral measurement of scattered neutron fields were performed at each reference calibration point using a Bonner Multi-sphere Spectrometer (BMS) and the dosimetric quantities for calibration also estimated from the neutron energy spectra which were unfolded using the BUNKI code.

  • PDF

미임계 증배 집합체를 이용한 BNCT용 열외중성자빔의 설계

  • 한치영;김도헌;김종경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46-751
    • /
    • 1998
  • 붕소 중성자 포획 요법(BNCT,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용 열외중성자빔의 개발을 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인 Cf-252를 중성자 선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중성자속을 높이기 위하여 미임계 증배 집합체를 이용하였다. 이전에 계시된 미임계 증배 집합체는 높은 핵연료 농축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몇 가지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중성자빔 설계를 위하여 몬테칼로 방법을 이용한 전산코드인 MCNP를 이용, 타원형두뇌 팬텀 내에서 AD, AR ADDR및 각각의 선량성분 등을 계산함으로써 설계된 중성자빔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새롭게 개선되어 제시된 중성자빔의 설계는 상대적으로 낮은 핵연료 농측도를 보이면서 기존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두뇌 팬텀 내에서의 선량률은 기존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보임으로써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뇌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이 점이 있다.

  • PDF

Neutron Count Rate Measurement of $UO_2$ powder by Neutron Source

  • Kang Hee-Young;Koo Gil-Mo;Ha Jang-Ho;Kim Ho-Dong;Yang Myung-Seung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344-349
    • /
    • 2005
  • Neutron count rate measurements to assay fissile content of uranium powder have been carried out in a neutron counter. The induced fission neutrons by Cf-252 neutron source are counted as the variation of fissile material in fuel material. The measured counts are compared with equivalent results obtained from calculation. It shows that the measured neutron counts versus quantity of $UO_2$ powder enrichment agreed reasonably well with the calculated values.

  • PDF

Neutron and gamma-ray energy reconstruction for characterization of special nuclear material

  • Clarke, Shaun D.;Hamel, Michael C.;Di fulvio, Angela;Pozzi, Sara 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1354-1357
    • /
    • 2017
  • Characterization of special nuclear material may be performed using energy spectroscopy of either the neutron or gamma-ray emissions from the sample. Gamma-ray spectroscopy can be performed relatively easily using high-resolution semiconductors such as high-purity germanium. Neutron spectroscopy, by contrast, is a complex inverse problem. Here, results are presented for $^{252}Cf$ and PuBe energy spectra unfolded using a single EJ309 organic scintillator; excellent agreement is observed with the reference spectra. Neutron energy spectroscopy is also possible using a two-plane detector array, whereby time-of-flight kinematics can be used. With this system, energy spectra can also be obtained as a function of position. Spatial-dependent energy spectra are presented for neutron and gamma-ray sources that are in excellent agreement with expectations.

Cf-252를 이용한 함수량측정 계기개발

  • 전태훈;이석근;황주호;권정광;전홍배;양세학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55-662
    • /
    • 1996
  • 기술적으로는 다짐장비의 개선으로 성토다짐의 시공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현장다짐 밀도 및 수분함량 측정 방법(KS F 2311 KS F 2306)$^{(1)}$ 은 신속한 측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개발 현재 활발히 적용되고있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함수량측정기개발의 시작단계로 기본설계 결정을 목적으로 한다. 함수량 측정 RI계기의 원리를 먼저 살펴본 후 실험실 내에서 자연건조된 성토용 흙으로 다짐을 하여 공시체를 제작한 뒤, 실험실용 함수량측정 RI계기를 공시체위에 놓고 폴리에틸렌과 중성자 검출기의 개수를 변화시켜가며 일정시간동안 측정개수를 측정한 값을 분석한 결과 목표측정 시간을 1분으로 하였을 때 신뢰측정개수인 10,000개이상을 계측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최소인 중성자검출기의 개수는 2개, 폴리에틸렌의 두께는 7cm로 결정되었다.

  • PDF

Diamond-based neutron scatter camera

  • Alghamdi, Ahmed;Lukosi, Eric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1406-1413
    • /
    • 2022
  • In this study, a diamond-based neutron scatter camera (DNSC) was developed for neutron spectroscopy in high flux environments. The DNSC was evaluated experimentally and through simulations. It was simulated using several Monte Carlo codes in a two-array layout. The two-array model included two diamond detectors. The simulation reconstructed the spectra of 252Cf and 239Pu-Be neutron sources with high accuracy (~93%). The two-diamond array system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demonstrating the neutron spectroscopy capabilities of the DNSC. The reconstructed spectrum of the 239Pu-Be source manifested the characteristic peaks of the source. The advantage of a DNSC over a NSC is its ability to define any neutron double-scattering events without the need to absorb incident neutrons in the second detector, and atomic recoil energy information is not needed to determine the incident neutron energy.

아미노산 비료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wo Amino Acid Fertilizers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nd Nitrogen Uptake)

  •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이규승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46-252
    • /
    • 2014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아미노산 비료를 엽면시비하여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아미노산 비료 정량 처리구(ALF)와 배량 처리구(2ALF), 아미노산-사포닌 비료 정량 처리구(ASLF) 및 배량 처리구(2ASLF)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 밀도, 뿌리 길이 및 잔디의 양분 함유량 등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잔디의 품질을 나타내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 잔디 밀도 및 잔디 뿌리 길이는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다. 잔디의 생육을 나타내는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 함량, 질소 흡수량 및 이용율은 2ALF와 2ASLF구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미노산 비료(AaLF)와 아미노산-사포닌 비료(AaSLF)의 시비가 잔디의 질소 흡수 및 이용율이 증가하여 잔디 잔디생육과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지관리용 복합비료(14-10-12-3-0.2)의 비효시험 II. 총건물수량, 수량구성요소 및 목초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Magnesium-and Boron-Enriched Complex Fertilizer(14-10-12-3-0.2) on the Pas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II. Changes in the forage yields, yield compone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in a mixed grass-clover and a pure grass swards)

  • 정연규;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2-257
    • /
    • 1991
  • 초지관리용 2종 복합비료를 개발토자 시제품(N-P$_2$O$_{5}$-K$_2$O-MgO-B$_2$O$_3$: 14-10-12-3-0.2)을 일반단비와 공시하여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대상초지로는 새로 조성된 겉뿌림 혼파초지(orchardgras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 및 기존의 겉뿌림 단파초지(orchardgrass 우점초지)를 공시장소로하여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1보에서는 토양화학성 및 무기염기의 상호균형, II보(본보)에서는 수량성 및 목초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이에 얻어진 주요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년평균 건물수량은 혼파 및 단파초지 모두 동일시용수준에서 복비구가 단비구보다 월등히 높았다. 복비구의 수량증수효과를 초종별로 보면, 혼파초지에서 총수량은 소비수준에서 10.8% 보비수준에서 14.5% 증수되었다. 그러고 구성초종중 화본과목초의 수량은 소.보비수준 공히 11% 내외 증수되었고, 두과목초의 수량은 소비수준에서 21.5%, 보비수준에서 31.0% 증수되었다. 그러나 잡초수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화본과 단파초지의 수량은 소비수준에서 7.0%, 보비수준에서 21.8% 증수되었다. 2. 복비구가 단비구 보다 뚜렷한 증수효과를 보였으나, 시용수준과 혼.단파 및 구성초종의 특성들에 따라서 수량 증수율에 차리를 보였고, 소비보다 보비수준에서 그리고 화본과목초보다 두과목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증수효과를 보였다. 3. 일반성분의 함량차이를 보면, 조섬유, 조지방 및 NFE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혼.단파 초지에서 공히 보비수준의 복비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무기양분의 함량처리를 보면 단.복비구간 처리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g가 첨가된 복비시용에서도 초지토양 및 목초중 Mg함량이 적정수준에 미흡하였다.다.

  • PDF

중성자 핵반응을 이용한 원소 검출기술 -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한 검출기술 - (Elemental Analysis by Neutron Induced Nuclear Reaction - Prompt Gamma Neutron Activation Analysis for Chemical Measurement -)

  • 송병철;박용준;지광용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1041-1051
    • /
    • 2003
  • 즉발감마선 중성자방사화법 (PGAA)은 시료내 미량 및 주원소를 빠르게 비파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주로 광물, 금속, 석탄, 시멘트, 석유, 코팅, 제지 등 다양한 산업체에서 실시간 분석법으로 매우 유용하다. 이 방법은 제약과 관련된 산업체 또는 연구업무에도 활용되며, 마약 또는 폭발물과 같은 위험물질의 탐지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총설은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법의 현재의 기술현황과 앞으로 연구추진 경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PGAA 시스템은 중성자 선원, 증성자 핵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즉발감마선을 측정하기위한 다중채널분석기와 A/D 변환기 등의 전자모듈과 고분해능 HPGe 검출기로 구성된다. 속중성자의 콤프턴 산란에 의한 높은 바탕값은 감마-감마 동시계수장치의 도입으로 개선될 수 있다. 현재 $^{252}Cf$를 사용한 즉발감마선 중성자 방사화 장치는 수용액중에 존재하는 원소들의 실시간분석을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중에 있다. 이 장치는 다양한 마약 및 폭발물 또는 화학무기의 탐지에도 응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