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10}Po$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도 근해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멸치-고등어 영양단계에서 210Pb과 210Po의 생물농축 (Bio-accumulation of 210Pb and 210Po within the Trophic Level of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Mackerel in the Coastal Water of the Jeju Island, Korea)

  • 조보은;김석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139-148
    • /
    • 2016
  •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o$ and $^{210}Pb$ within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mackerel in the coastal water of the Jeju Island were determined to understand their distribution and bio-accumulation along the trophic level. In the surface water, the total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o$ and $^{210}Pb$ were $0.83{\pm}0.004mBq\;kg^{-1}$ and $1.27{\pm}0.03mBq\;kg^{-1}$. And the dissolved activity concentration of $^{210}Po$ and $^{210}Pb$ were $0.75{\pm}0.06mBq\;kg^{-1}$ and $1.22{\pm}0.09mBq\;kg^{-1}$ respectively. In the phytoplankton, the concentration factor (CF) of $^{210}Po$ and $^{210}Pb$ were $1.5{\times}10^5$ and $2.6{\times}10^4$ shows $^{210}Po$ is 5 times higher compared to $^{210}Pb$. The similar CF factor in the zooplankton of $^{210}Po$ was derived as $1.4{\times}10^5$. The CF of $^{210}Po$ in anchovy was increased twice compared to that in plankton. This is the evidence that there is $^{210}Po$ bio-magnification in the trophic level of plankton-anchovy. However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in the muscle tissue of mackerel was one-hundred times lower than that in anchovy. This reflects that in the trophic level of anchovy-mackerel, the bio-accumulation of $^{210}Po$ is decreased.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o$ in the internal organs of anchovy and mackerel were 8 to 38 times higher than those in muscle tissues. In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 the CF of $^{210}Pb$ was decreased five times along the trophic level in order. In anchovy-mackerel it was decreased by 30-70%.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Sea Food Origin (Oysters and Mussels) in Korea

  • Cho, Boeun;Hong, Gi-Hoon;Kim, Suk Hyun;Lee, Hyunm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45-252
    • /
    • 2016
  • Background: Ingestion of $^{210}Po$ laden seafood accounts for a substantial amount of the effective dose of $^{210}Po$. Among seafood items, mollusks, especially domestically produced oysters and mussels, are highly enriched in $^{210}Po$ and are consumed in large quantitie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Oysters and mussels around the Korean coasts were collected from major farm areas in November 2013. Samples were spiked with an aliquot of $^{209}Po$ as a yield tracer, and they were digested with $6mol{\cdot}L^{-1}$ $HNO_3$ and $H_2O_2$. The $^{210}Po$ and $^{209}Po$ were spontaneously deposited onto a silver disc in an acidic solution of $0.5mol{\cdot}L^{-1}$ HCl and measured using an alpha spectrometer.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b$ and $^{210}Po$ were decay corrected to the sampling date, accounting for the possible in-growth and decay of $^{210}Po$. Results and Discussion: $^{210}Po$ activity concentrations in oysters were in a range from 41.3 to $206Bq{\cdot}(kg-ww)^{-1}$ and mussels in a range from 42.9 to $46.7Bq{\cdot}(kg-ww)^{-1}$.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of oysters in the turbid Western coast was higher than the Southern coast.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of the oyst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R^2=0.89$) with those of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surface water. The calculated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oysters and mussels consumed by the Korean population was 21-104 and $5.01-5.46{\mu}Sv{\cdot}y^{-1}$. The combined effective dose due to the consumption of oysters and mussels appears to account for about $35{\pm}19%$ of that arising from seafood consump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Conclusion: The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for oysters in the Korean popula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countries. The total annual effective dose of $^{210}Po$ due to consumption of oysters and mussels consumed in Korea was found to be $76{\pm}42{\mu}Sv{\cdot}y^{-1}$, accounting for $28{\pm}16%$ of the total effective dose of $^{210}Po$ from food in Korea.

대기 에어로졸의 체류시간과 화학조성 II. 부산지역 에어로졸의 체류시간 (Residence Tim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Atmospheric Aerosols II. Residence Times of Aerosols in Pusan)

  • 양한섭;전은주;김영일;옥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1-176
    • /
    • 1999
  • To estimate the residence times of aerosols in air, the activities of $^{210}Pb$ and $^{210}Po$ in aerosols were measured at 4 sites in Pusan. All aerosol samples were collected by a high volume air sampler from January to October 1996. The activities $^{210}Pb$ and $^{210}Po$ in Pusan were varied from 11.77 to 67.57 dpm/1000$m^3$ and from 2.63 to 15.91 dpm/1000$m^3$, respectively. The mean activities were 34.62 dpm/1000$m^3$ for $^{210}Pb$ and 8.24 dpm/1000$m^3$ for $^{210}Po$. The highest values of the activities of $^{210}Pb$ and $^{210}Po$ were appeared at P3 site and the lowest values at P4 site. During the sampling period, the trends of the activities of $^{210}Po$ and $^{210}Pb$ were similar to total suspended particulate matter(TSP) concentrations. The mean residence times of atmospheric aerosols calculated from $^{210}Po$/$^{210}Pb$ activity ratio was about 60~80 days in Pusan. The longest residence time of atmospheric aerosols was in January because of the lack of rainout and washout, but the shortest residence time was in August, largely due to scavenging effect by frequent rains. The activities of $^{210}Po$ and $^{210}Pb$ in atmospheric aerosols were different in time and space, which seems that the distribution of $^{210}Po$ and $^{210}Pb$ activities and scavenging processes in air may be controlled by the loca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 PDF

춘계 한국 동해남부 연안해역에서 해수중 $^{210}Po$$^{234}Th$의 제거 (Removal of $^{210}Po$ and $^{234}Th$ from Seawater at the East-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in Spring)

  • 이행필;양한섭;김기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44
    • /
    • 1996
  • 본 연구는 대마난류의 주류역인 동해 남부해역의 포항 연안의 6개 정점에서 1994년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수층별로 채수하고, 이 해역에서 $^{210}Po$$^{234}Th$의 제거속도 혹은 체류시간과 제거과정을 알아보았다. $^{210}Po$는 대체적으로 연안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낮고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 다소 높지만, 바깥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10}Pb$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표면 혼합층에서는 대체적으로 $^{210}Po$가 어미핵종보다 부족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어미핵종과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이거나 약간의 과잉량을 보였다. $^{210}Pb$는 표면혼합층에서는 어미핵종인 $^{226}Ra$보다 과잉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약간 부족량을 보이거나 혹은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인다. $^{234}Th$는 표면혼합층과 수온약층이 그 하부층보다 현저히 낮다. $^{210}Po$의 체류시간은 $1\~4$년의 범위로 비교적 연안쪽의 정점들 (E3, E4, E5)이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들(E6, E7)보다 짧았다. 그러나 정점 E8에서는 약 10년으로 매우 길었으며, 이는 다른 정점들에 비해 표면혼합층이 두꺼운 관계로 하부 표면혼합층에서 재순환된 $^{210}Po$가 수직혼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234}Th$의 체류시간은 $52\~74$일의 범위로 정점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210}Po$의 체류시간에 비해서 훨씬 짧았다. 표면혼합층 내에서 해수중 $^{234}Th$는 용존태의 수층별 제거속도상수가 총부유물질과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비생물기원의 무기입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있는 반면에, $^{210}Po$는 용존태의 제거 속도상수가 클로로필 $^{210}Po$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생물체 (주로 동${\cdot}$식물플랑크톤)에 흡수되어 제거되고 입자물질 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 PDF

봄철 동해에서 해수중 $^{210}Po$$^{210}Pb$의 농도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210}Po$ and $^{210}Pb$ in the Seawater from the Korean East Sea in Spring)

  • 양한섭;김성수;이재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8-245
    • /
    • 1996
  • 1993년 3월에 동해 중부해역에 위치한 6개 정점의 100m 상부층에서 $^{210}Po$$^{210}Pb$의 수직농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두 핵종의 거동이 수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1992년 5월과 1994 년 4월에 동해에서 측정한 자료들을 이용하여 봄철에 동해의 상부층에서 $^{210}Po$$^{210}Pb$의 거동을 지배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210}Pb$의 농도는 정점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표층에서 가장 높고,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210}Po$의 농도는 층별 차이가 매우 작으나, 클로로필 a의 농도가 가장 높은 정점 E3에서는 30m 상부층이 하부층에 비해 비교적 낮다. 또한, $^{210}Po$은 모든 정점의 30m 상부층에서 어미핵종보다 부족량을 보이나, 그 하부층에서는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이거나 혹은 다소 과잉량을 보인다. 특히, 상부층에서 $^{210}Po$의 부족량은 클로로필 a의 농도가 가장 높은 정점 E3과 강한 수온약층이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는 정점 E6에서 가장 크다. 그러나, $^{210}Pb$은 전 정점의 모든 수층에서 어미핵종인 $^{226}Ra$보다 과잉량을 보인다. $^{226}Po$의 체류시간은 $1.0\~7.8$년의 범위로 클로로필 a의 농도가 높은 정점 E3와 비교적 강한 수온약층이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는 정점 E6에서 가장 짧다. 또한,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봄철에 동해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50m 상부층에 대한 $^{210}Po$의 제거속도상수와 클로로필 a의 현존량과 사이에는 좋은 역의 상관성을 보인다. 이는 봄철에 동해에서 해수중 $^{210}Po$의 제거가 주로 생물생산력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과잉량 $^{210}Pb$의 현존량은 해수의 수직안정도와 역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동해의 상층부에서$^{210}Pb$의 농도는 생물생산력 보다는 주로 해수의 수직안정도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해저 하구의 지하수 중 콜로이드 상 210Pb과 210Po의 중요성 (Importance of Colloidal 210Pb and 210Po in Groundwater of Subterranean Estuary)

  • 김태훈;김인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2호
    • /
    • pp.125-130
    • /
    • 2014
  • 해저 하구의 자하수 중 콜로이드 상 $^{210}Pb$ (반감기: 22.2년)과 $^{210}Po$ (반감기: 138일)의 분포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서, 용존 상(<10 kDa)과 콜로이드 상($10kDa-0.45{\mu}m$)의 $^{210}Pb$$^{210}Po$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함평만(2010년 7월)과 제주도(2011년 1월)의 연안 지하수 중 용존 상 $^{210}Pb$의 농도는 $0.21-2.52mBqL^{-1}$ 범위를 보였고, 콜로이드 상에서는 $0.10-1.71mBqL^{-1}$ 범위를 보였다. 용존 상 $^{210}Po$의 농도는 $0.12-2.07mBqL^{-1}$ 범위를 보였고, 콜로이드 상에서는 $0.03-0.97mBqL^{-1}$ 범위를 보였다. 총 용존 상에서 콜로이드 상 $^{210}Pb$$^{210}Po$의 비율은 각각 $40{\pm}5%$$28{\pm}5%$를 차지하였다. 이 결과는 해저를 통한 미량 원소의 해양 유출에 콜로이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일만 표영군집내의 $^{210}Po$ 축적 ([ $^{210}Po$ ] Accumulation in the Pelagic Community of Yongil Bay, Korea)

  • 서해립;김성수;고유봉;남기완;윤성규;윤양호;조수근;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6
    • /
    • 1995
  • 1993년 여름 영일만에서 채집한 해수, 플랑크톤, 어류 내의 천연 방사성 핵종 $^{210}Po$ 농도를 조사했다. 해수중의 평균농도는 $1.9mBq/l$이었고, 용존성의 비율은 $46\%$였다.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의 $95\%$이상을 차지한 중심목 규조 Skeletonema costatum의 농축계수는 $7.6\times10^4$이었다. 동물플랑크톤 다섯 종을 조사했는데, 그 가운데 요각류와 곤쟁이류 두 종씩 모두 네 종의 농도범위는 $210-584mBq/g$ (건조중량)이었으나, 요각류 Labidocera bipinnata는 2,070mBq/g으로 예외적으로 매우 높았다. 이 자료에서 L. bipinnata가 육식성 포식자로 나타났다. 어류 유문맹낭의 $^{210}Po$이 농도와 농축계수는 따로따로 2,979-3,810mBq/g과 $3.4-4.3\times10^6$이었다. 생물체내 $^{210}Po$의 농축계수는 식물플랑크톤 < 여과섭식 요각류 < 잡식성 곤쟁이류 < 육식성 요각류 < 부어류 순이었다.

  • PDF

동해 중부해역에서 210Po과 234Th의 순환에 대한 소용돌이의 영향 (Effect of Eddy on the Cycle of 210Po and 234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n East Sea)

  • 양한섭;김성수;이재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79-287
    • /
    • 1995
  • 1992년 5월 21과 22일에 동해 중부해역 3개 정점의 100 m 상부층에서 210Po, 210Pb, 234Th의 농조를 연직적으로 측정하고, 이들 천연방사성핵 종의 분포가 소용돌이의 형성 및 수괴분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용돌이의 남쪽에 위치한 정점 A1에서는 강한 수온약층이 50~100 m 사이의 층에 존재하고 있고, 속초 연안에 위치한 정점 B10에서는 10~50 m 사이의 층에 존재 하고 있다. 특히, 이 정점의 50~220 m 사이의 층에는 수온이 10.1$\pm$0.5$^{\circ}C$범위인 비교 적 균질한 해수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 수괴는 다른 2개 정점의 동일수심에 비해 수온 이 현저히 높고 영양염류의 농도가 매우 낮다. 이는 영양염류가 고갈된 따뜻한 표층수 가 침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210Pb과 210Po의 농도는 3개 정점중 정점 A1 에서 가장 높고, 정점 B1에서 가장 납다. 또한, 210Pb과 상반된 분포 양상을 보 인다. 그리고, 소용돌이가 형성되지 않은 2개 정점의 경우 표층 또는 강한 수온약층 상부에서는 어미핵종인 210Pb 보다 210Po 이 부족하지만, 그 하부층에서 는 210Po 의 과잉량을 보인다. 그러나, 소용돌이 중심에 가까운 정점에서는 50 m 하부층에서도 210Po 의 과잉량을 보이지 않고 거의 방사평형된 값이다. 224Th 의 농도는 정점 A1과 B10의 경우 대체적으로 강한 수온약층 상부층이 그 하부 층보다 낮다.. 그러나, 소용돌이의 중심부에 가까운정점 A1에서는 30 m 상부층의 234Th 농도가 그 하부층 보다 오히려 높은데, 이는 입자 물질의 영향 때문인 것 같 다. Box-model 계산 결과, 정점 A1과 정점 B10의 표연혼합층에서 210Po의 체류 시간은 약 1년정도이고, 소용돌이의 중심에 가까운 정점 A1에서는 0.4년이다. 3개 정 점에서 100 m 상부층의 234Th 체류 시간은 18~30일 범위이다. 또한, 표면혼합 층으로부터 제거된 210Po 이 수온약층내에서의 재순환율은 정점 A에서 39%이고, 정점 B1에서 92%이다. 이처럼, 정점 B1에서 210Po의 대순환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은 수온약층에서 210Po 의 재순환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표면혼합층의 두께 가 훨씬 얇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137Cs, 40K and 210Po in abiotic components of aquatic ecosystems two rivers in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 Ilya G. Sidorov ;Nataliya N. Tereshchenko ;Andrey A. Korotkov;Olga D. Chuzhikova-Proskurnina;Nguyen Trong Hiep ;Aleksandr V. Trapeznikov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265-4271
    • /
    • 2022
  • Determination of 137Cs, 40K and 210Po in water, bottom sediments and suspended matter of river systems of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was carried out. The averag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s of Ca Gau and Long Tau was 0.89 ± 0.14 and 1.08 ± 0.15 Bq m-3 and was comparable to the levels of this radioisotope in waters of the East Sea.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bottom sediments was 2.23 ± 0.81 and 3.63 ± 1.24 Bq kg-1.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 and bottom sediments could be characterized as low. So, the water area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could be attributed to areas with insignificant pollution by technogenic radionuclides.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in bottom sediment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ranged from 9.2 ± 1.2 to 25.5 ± 2.1 Bq kg-1, which is typical for river bottom sediments. Such values indicate the absence of anthropogenic enhancement of the entry of this radionuclide into the Can Gio river systems. The 40K activity concentration varied within 467 ± 42-651 ± 39 Bq kg-1 and represented typical values of potassium content in the bottom sediments of coastal water bodies, subject to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lithogenic component of suspended matter.

은이온을 함유한 Na2O-TiO2-P2O5 glass-ceramic의 항균 특성 (Anti-bacterial effects of the Na2O-TiO2-P2O5 glass-ceramics added Ag+ ion)

  • 박노형;유은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10-213
    • /
    • 2011
  • $P_2O_5$ 함량에 따른 $5Na_2O-36CaO-10TiO_2-xP_2O_5$으로 구성된 glass-ceramic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 1 N HCl 용액 내에서 $Ca_3(PO_4)_2$$NaTi_2(PO_4)_3$ 간의 $Ca_3(PO_4)_2$ 결정을 2일간 추출하여 제거함. 2) Ag($NO_3$) 용액에서 1일간 $Na^+$ 이온을 $Ag^+$ 이온으로 이온 교환시킴. Glass-ceramic의 합성 여부를 SEM 및 XRD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Staphylococus aureus를 이용한 박테리아 실험 결과 3시간 이후에는 완전하게 박테리아가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