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ot}OH$ radical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5초

약용식물의 Peroxynitrite와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Peroxynitrit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 민오진;김민석;곽병희;류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4-259
    • /
    • 2008
  • 약용식물 9종의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in vitro 조건에서 강력한 산화력과 독성을 갖는 $ONOO^-$${\cdot}$OH radical의 소거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잎, 구기자, 꾸지뽕나무, 담쟁이덩굴, 마디풀, 비파나무, 으름덩굴, 참취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ONOO^$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ONOO^-$ 소거효과는 양성 대조물인 penicillamine(94.08${\pm}$3.04)에 비해 낮았지만 비파나무 물 추출물(89.87${\pm}$4.57)이 다른 시료에 비해 가장 강력한 $ONOO^-$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가는잎쐐기풀과 감잎 물 추출물은 1mg/ml 농도에서 양성대조물인 thiourea 보다 효과적인${\cdot}$OH radical 억제효 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9종의 약용식물은 $ONOO^-$${\cdot}$OH radical과 연관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와 조직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 밝혀졌다.

고비의 항산화활성 증가를 위한 효율적인 추출조건 탐색 (Screening of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s for Increasing Antioxidant Activities from Fronds of Osmunda japonic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4-180
    • /
    • 2011
  • 본 연구는 고비의 성엽으로부터 항산화 물질 추출과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정 추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동결건조 한 다음 분쇄한 고비 성엽 1 g을 메탄올, 80% 에탄올, 물 등 3종류의 용매와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침지, $60^{\circ}C$의 항온 수조에서 가열, 200 rpm에서 교반하여 6시간동안 추출하거나 42 kHz의 초음파 수조에서 15, 30, 45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다음 최종 볼륨을 50 mL로 정량하여 가용성고형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의 함량을 구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0.15 mM의 DPPH와 7.4 mM의 ABTS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고비 성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메탄올과 8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수조에서 15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45.15 $mg{\cdot}g^{-1}$ db)과 DPPH radical 소거활성($RC_{50}$=0.35 $mg{\cdot}mL^{-1}$)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메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38.10~38.10 $mg{\cdot}g^{-1}$ db),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RC_{50}$=0.21~0.22 $mg{\cdot}mL^{-1}$). 연구의 결과, 초음파 수조를 이용한 추출은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고비의 성엽은 메탄올을 용매로 15~30분 동안 초음파 수조에서 추출하는 것이 추출물의 다양한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 및 곡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rice and grains)

  • 조은주;최미진;신선화;김현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11-514
    • /
    • 2012
  •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antioxidative effect of the methanol (MeOH) extracts from grains were investigated in vitro radical scavenging system. Ten grains (black rice, rice, barley, wheat, millet, sorghum, glutinous millet, buckwheat, phellines linteus rice and brown rice) were extracted with MeOH. Among the MeOH extracts of grains, sorghum and black rice showed effective scavenging activiti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The $IC_{50}$ values of sorghum and black rice were $47.4{\mu}g/mL$ and $50.6{\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black rice also exerted the strongest activities on hydroxyl radical (${\cdot}OH$) scavenging activity. Furthermore, the MeOH extracts of black rice showed effective and dose dependant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radical and ${\cdot}O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lack rice showed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suggested that black rice could be a promising natural antioxidant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damage.

Nitrofurantion이 폐장 미크로솜 지질과산화와 반응성 산소 라디칼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furantoin on Lipid Peroxidation and Reactive Oxygen Radical Generation in Porcine Lung Microsome)

  • 백재승;김시황;김혜원;정명희;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48
    • /
    • 1985
  • 항균제 nitrofurantion에 의한 폐독작용의 생화학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일환으로 in vitro에서 폐장 microsome 지질의 과산화 및 반응성 산소 radical $(O^{-}_{2}{\cdot},\;H_2O_2,\;OH{\cdot},\;^1O_2)$의 생성에 대한 nitrofurantion의 영향과 양자 간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Nitrofurantion은 호기성 반응 조건에서 돼지 폐장 microsome의 NADPH 의존성 지질 과산화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킬 뿐 아니라 $O^{-}_{2}{\cdot},\;H_2O_2$ 및 두 radical의 상호 작용으로 2차적으로 형성되는 $OH{\cdot}$의 생성 또한 촉진하였으며 $^1O_2$생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폐장 microsome지질 과산화 증가는 SOD 및 catalase에 의하여 억제될 뿐만 아니라 $OH{\cdot}$ 제거 물질인 mannitol, thiourea에 의하여도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1O_2$ 제거 물질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던 한편 염기성 반응 조건에서는 nitrofurantoin에 의한 지질 과산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nitrofurantoin은 폐장 microsome의 NADPH 의존적이 반응성산소 radical $(O^{-}_{2}{\cdot},\;H_2O_2$$OH{\cdot})$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이들 중 특히 $OH{\cdot}$ 에 의한 microsome막 지질 과산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결론지었고, 이와 같은 in vivo 현상은 nitrofurantion의 in vitro 폐독작용의 기전을 설명하는 일부가 될 것으로 사료하였다.

  • PDF

Enhancing Effect of Organic Substances on Hydroxyl Radical Generation During Ozonation of Water: Stopped-Flow ESR Technique

  • Han, Sang-Ku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12호
    • /
    • pp.1907-1910
    • /
    • 2004
  • Generation of hydroxyl radical, one of their major active species in ozonation of water was directly observed with spin-trapping/electron spin resonance (ESR) technique using 5,5-dimethyl-pyrrolidine-1-oxyl (DMPO) as a spin-trapping reagent. Hydroxyl radical was trapped with DMPO as a stable radical, DMPO-OH. 80 mM of ozone produced $1.08{\times}10^{-6}$M of DMPO-OH, indicating that 1.4% of ${\cdot}$OH is trapped with DMPO if ${\cdot}$OH is produced stoichiometrically from ozone. Humic acid suppressed DMPO-OH gener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Generation rate of DMPO-OH was determined with ESR/stopped-flow measurement. Phenol derivatives increased the amount and generation rate of DMPO-OH, indicating that phenol derivatives enhance·OH generation during ozonation of water.

Determination of Hydroperoxyl/superoxide Anion Radical (HO2·/O2·-) Concentration in the Decomposition of Ozone Using a Kinetic Method

  • Kwon, Bum-Gun;Lee, Jai 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1호
    • /
    • pp.1785-1790
    • /
    • 2006
  • A novel kinet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HO_2{^{\cdot}}/O_2{^{{\cdot}-}}$ in ozone decomposition in water is described. In this study, potential interferences of $O_3$ and the hydroxyl radicals, $^{\cdot}OH_{(O3)}$, are suppressed by $HSO_3{^-}/SO_3{^{2-}}$. $HO_2{^{\cdot}}/O_2{^{{\cdot}-}}$ formed in ozone decomposition reduces $Fe^{3+}$-EDTA into $Fe^{2+}$-EDTA and subsequently the well-known Fenton-like (FL) reaction of $H_2O_2$ and $Fe^{2+}$-EDTA produces the hydroxyl radicals, $^{\cdot}OH_{(FL)}$. Benzoic acid (BA) scavenges $^{\cdot}OH_{(FL)}$ to produce OHBA, which are analyzed by fluorescence detection (${\lambda}_{ex}=320nm$ and ${\lambda}_{ex}=400nm$). The concentration of $HO_2{^{\cdot}}/O_2{^{{\cdot}-}}$ in ozone decomposition has been determined by the novel kinetic method using the experimentally determined half-life ($t_{1/2}$). The steady-state concentration of $HO_2{^{\cdot}}/O_2{^{{\cdot}-}}$ is proportional to the $O_3$ concentration at a given pH. However, the steady-state concentration of $HO_2{^{\cdot}}/O_2{^{{\cdot}-}}$ in ozone decomposi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pH values. This pH dependence is due to significant loss of $O_2{^{{\cdot}-}}$ by $O_3$ at higher pH conditions. The steady-state concentrations of $HO_2{^{\cdot}}/O_2{^{{\cdot}-}}$ are in the range of $2.49({\pm}0.10){\times}10^{-9}M(pH=4.17){\sim}3.01({\pm}0.07){\times}10^{-10}M(pH=7.59)$ at $[O_3]_o=60{\mu}M$.

유기용매에서 Anthraquinone의 광반응에서 생성하는 짧은 수명의 반응중간체에 관한 시간분해 ESR 연구 (Time Resolved ESR Studies on Short-Lived Reaction Intermediates Produced by Laser Photolysis of Anthraquinone in Organic Solvents)

  • 홍대일;윤영현;손무정;김경찬;쿠와타 케이지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3
    • /
    • 1995
  • Anthraquinone이 유기용매에서 광반으에 의하여 반응 중간체로 생성하는 짧은 수명의 중성 세미퀴논 라디칼과 음이온 라디칼을 시간분해 ESR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2-2-propanol (PrOH)과 triethylamine (TEA) 10:1 혼합 용매에서 광반응에 의하여 생성하는 중성 anthrasemiquinone 라디칼(AQH${\cdot}$)과 음이온 라디칼 (AQH${\cdot}$)의 CIDEP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생성한 AQH${\cdot}$은 반감기가 0.8 ${\mu}sec$로 수명이 아주 짧았으며, AQ${\cdot}$-은 안정하여 cwESR의 측정이 가능하였다. 스핀분극된 음이온 라디칼(AQ${\cdot}$-*)의 분극소멸 속도 상수는 $2.6{\times}10^5\; sec^{-1}$이고, 음이온 라디칼의 소멸은 1차 반응으로 속도상수가 $3.0{\times}10^2\; sec^{-1}$이다. 혼합용매에 TEA가 2% 미만일 때 CIDEP가 일어나지 않았다. 벤젠과 TEA 혼합용매에서는 반감기 3.0 ${\mu}sec$의 중성 anthrasemiquinone 라디칼의 CIDEP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cwESR은 측정되지 않았다. PrOH, TEA 또는 벤젠만의 용매로서는 CIDEP와 ESR을 측정할 수 없었다.

  • PDF

쑥부쟁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 김민정;김지현;이상현;조은주;김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02-4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그리고 superoxide radical ($O_2{^-}$) 소거능 실험을 통해 쑥부쟁이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한 뒤,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그리고 n-butanol (n-BuOH)로 분획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쑥부쟁이는 $50{\mu}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cdot}O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다. 특히 EtOAc 분획물은 $0.03{\mu}g/mL$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강한 $^{\cdot}O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은 $O_2{^-}$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가장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쑥부쟁이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 류동영;김민석;민오진;김동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9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O_2}^-,{\cdot}OH$ radical, NO, $ONOO^-$ 자유라디칼을 유발시키는 in vitro assay system과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에 의한 단백질 손상에 대한 진흙버섯속에 속하는 상황버섯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황버섯 물 추출물의 ${O_2}^-,{\cdot}OH$ radical, NO, $ONOO^-$ 자유라디칼 억제효과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양성 대조물 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나 모든 실험계에서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상황버섯 물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단백질 손상 억제효과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명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상황버섯의 항산화 효과는 상황버섯의 약리학적 효능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라고 사료된다.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tanol Fraction from the Fruit of Citrus junos

  • Cho, Eun-Ju;Li, Li;Piao, Xiang-Lan;Lee, Sang-Hyun;Kim, Hy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86-89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and superoxide anion (${O_2}^-$)] scavenging activity of MeOH extract and 3 fractions of Citrus junos. Of the tested fractions, the Bu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DPPH scavenging activity, showing the $IC_{50}$ values of 63.4 mg/mL. Therefore, we continuously carried out DPPH, ${\cdot}OH$ and ${O_2}^-$ scavenging activity tests of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The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inhibited DPPH radical to 97.5% at a concentration of 1000 mg/mL and the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creased concentration-dependently. In addition, BuOH fraction from Citrus junos also scavenged ${\cdot}OH$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from 5 to 1000 mg/mL. Furthermore, BuOH fraction showed about 56% ${O_2}^-$-scavengimg activity at 25 mg/mL concentration but, the scavenging activities were not enhanc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BuOH fraction of Citrus junos would have the protective potential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free rad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