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13}C$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8초

Identification of Six Single-Strand Initiation (ssi) Signals for Priming of DNA Replication in Various Plasmids

  • Jeong, Jin-Yong;Seo, Hak-Soo;Kim, Ho-Yeon;Cho, Moo-Je;Bahk, Jeong-Dong
    • BMB Reports
    • /
    • 제28권4호
    • /
    • pp.336-341
    • /
    • 1995
  • Using a mutant M13 phage derivative lacking a great part of the complementary strand synthesis origin, we identified six single-strand initiation (ssi) signals for DNA replication in pACYC184, pLG214, pGKV21, and pDPT270 plasmids, and named them $ssiA_{YC}$, $ssiA_{LG}$, $ssiB_{LG}$, $ssiA_{KV}$, $ssiA_{PT}$, and $ssiB_{PT}$, respectively. Two of them were from pDPT270, one from downstream the on of pACYC184, two from pLG214, one from upstream the plus origin of pGKV21. Introduction of these ssi signals into the deleted $ori_c$ site of a mutant filamentous M13 phage ($M13{\Delta}lac182$) resulted in the restoration of growth activity of this phage. These ssi signals were classified into a number of groups on the basis of sequence similarity. $ssiA_{YC}$ and $ssiA_{LG}$ show extensive sequence homology to the n'-site (primosome assembly sites) of ColE1, whereas $ssiB_{PT}$ is homologous to the n'-site of ${\Phi}X174$. $ssiA_{PT}$ belongs to G4-type ssi signals which require only dnaG primase and SSB protein for the priming of replication. In addition, possible biological roles of these ssi signals are discussed.

  • PDF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비탄성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The Inelastic Behavior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Tall Walls)

  • 윤현도;정학영;최창식;이리형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9-14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압축강도($f_x$)$704kg/cm^2$, 철근 항복강도 ($f_y$) $5,830kg/cm^2$인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에 있어서 휨항복 후 축응력에 따른 비탄성 이력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60층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건축물의 최저층부 3개층을 1/4크기로 축소 모델링한 3층 1스팬의 바벨형(barbell shape)독립 내력벽 실험체 3개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주요변수는 내력벽 경계부재(boundary element)에 작용된 축응력으로 본 실험 연구결과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형상비 1.8인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은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의 높은 축응력하에서도 수직철근의 휨항복이 선행되면서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각 실험체별로 작용된 축응력에 따라 상이한 파괴양상 및 이력특성을 나타냈다. 각 실험체는 연성비(${\delta}/{\delta}_y$)13에서 15사이에 휨압축부 경계부재 및 벽체 콘크리트의 압괴와 주근 파단 등에 의해서 최종 파괴되었다. 그러나, 모든 실험체는 실험종료시까지 축력이 충분히 지지되는 휨항복형의 안정된 비탄성 이력거동을 보였다.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이내인 경우, 축응력은 내력벽의 횡하중 지지능력, 초기 할선강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 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휭항복 후 경계부재에 작용된 축응력에 따른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성, 에너지, 일 및 강성 등의 개념을 도입한 손상지표(damage index) 로써 각 실험체의 내진성능을 평가한 결과, 경계부재에 작용된 측응력이 본 연구범위인 0.21$f_x$이내에서 축응력이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고층형 내력벽의 내진성능은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분해수 처리에 의한 딸기의 살균 효과 및 저장 중 품질변화 (Disinfection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on Strawberry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 정진웅;김종훈;권기현;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6-321
    • /
    • 2006
  • 전해 방식에 따라 제조된 전기분해수로 세정처리한 딸기의 살균효과 및 저장중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전기분해수에 의한 딸기의 미생물학적 살균효과는 침지수량은 중량 대비 10배수, 침지시간은 20분 처리시 초기균수에 대하여 2 log cycle 정도 감소하며 저장중 균증식 속도도 다소 느리게 나타났다. 폐기율은 $5^{\circ}C$ 저장시 EW-2 처리구에서 저장 5일째까지 10%수준을 보여 무처리 및 염소수 처리에 비해 낮은 폐기율을 보여주었고, 조직감도 $5^{\circ}C$ 저장 전기분해수 처리구에서는 저장 3일까지는 조직감 변화가 거의 없다가 그 이후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딸기의 표면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 수록 무처리구와 CW 처리구는 전반적으로 L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전기분해수 처리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고, 저장기간별 색차(${\Delta}E$)값은 저장 3일까지는 무처리구가 가장 적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기분해수 처리에 의한 초기 잔류염소량은 $0.04{\sim}0.06ppm$수준이며 저장 1-3일 경과 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0.02{\sim}0.03ppm$ 수준으로 잔류염소량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저장중 관능적 특성은 전기분해수 처리구(EW-1 및 EW-2)가 무처리 및 CW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기름골 변성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ified Chufa (Cyperus esculentus L., var sativus Boeck) Starch)

  • 한상하;이현유;금준석;박종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4-412
    • /
    • 2006
  • 기름골 변성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분을 분리한 후 마이크로파(700W)에 의해 60초, 120초 180초 동안 각각 직접 가열한 물리적 변성전분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을 1.5%, 3%, 6%로 각각 반응시킨 화학적 변성전분인 산화전분을 제조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 blue value,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경우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화전분의 경우에도 $Cl_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물 결합능력은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경우에는 가열시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처리량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의 팽윤력 및 용해도는 생전분에 비해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60^{\circ}\C$ 이하에서는 높았으나 $60^{\circ}\C$ 이상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량을 6%로 증가시켰을 경우 용해도와 팽윤력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전분의 입자형태는 두가지 변성전분 모두 표면에 약간의 변형이 일어났으나 비교적 원래의 입자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변성전분의 호화양상 결과 시차주사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한 경우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과 산화전분 모두 호화온도가 감소하였으며 호화엔탈피(${\Delta}H$)는 증가하였다. 신속점도측정계(RVA)에 의한 측정에서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변성전분은 생전분(385 RVU)에 비해 최고점도가 $416{\sim}488$ RVU로 매우 높았으며, 산화전분의 경우에는 최고점도가 $129{\sim}180$ RVU로 생전분에 비해 낮았고 setback 및 breakdown도 현저하게 낮았다.

어유와 대두유로부터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Docosahexaenoic Acid - Enriched Fish oil and Soybean oil)

  • 김유미;전미선;이정희;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7-4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DHA-enriched fish oil 과 대두유를 비율(w/w)을 달리하여 반응시키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어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trilinolein(LLL)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피크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어유 : 대두유 = 5 : 5, w/w, $55^{\circ}C$, 240, 180 rpm)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대두유에서 볼 수 없었던 DHA가 약 13% 증가한 반면, linoleic acid는 24.17% 감소하였으며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약 23%,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약 77%이었다. 위치별 지방산 함량으로 sn-2 position은 약 linoleic acid 28%, oleic acid 22%, DHA 18% 그리고 palmitic acid 17% 이었다 재구성 지질의 tocopherol 분석 결과 $\alpha$, $\gamma$, and $\delta$-tocopherol 함량은 각각 23.58 mg/100 g, 32.28 mg/100 g, 17.94 mg/100 g이었다. 대두유와 비교하여 재구성 지질의 $\alpha$-tocopherol은 2.1배 증가하였으며, $\gamma$-tocopherol은 1.6배 감소하였다. 유지의 산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도기간(induction period)을 측정한 결과 기질로 사용한 어유 보다는 대두유와 어유를 반응시킨 재구성 지질의 유도기간이 길었으며, 재구성 지질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군 간의 유도기간은 단일 항산화제를 첨가한 군이 최대 2.1배 길었다. 그리고 항산화제 첨가에 따른 향기 패턴을 알아본 결과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과 항산화제를 첨가한 그룹간에 향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아산 명암리 피장자의 식생활 복원 (Stable Isotopic Reconstructions of Diets in Joseon Dynasty Using Human Remains from Myeongam-ri Site, Asan)

  • 강소영;김윤지;조은민;김수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38-51
    • /
    • 2016
  • 본 연구는 아산 명암리 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전기 인골에 대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당시의 식생활 양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21기의 회곽묘에서 출토된 25개체 인골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탄소 안정동위원소 값은 평균 $-19.7{\pm}0.5$‰(n=23),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은 평균 $9.6{\pm}1.1$‰(n=23)로 나타났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을 통해 아산 명암리 피장자들은 주로 $C_3$ 식물을 주식으로 섭취하였으며 육상동물에 의한 단백질 섭취 수준을 확인하였다. 선행 연구된 조선시대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와 함께 조선시대 식생활 양상을 비교했을 때 지역이나 무덤양식에 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합장묘에서 출토된 인골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 비교를 통해 동일한 생활환경 피장자의 성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 조미젓갈의 품질유지기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lf-life of Seasoned and Fermented Squid)

  • 김동수;김영명;구재근;이영철;도정룡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20
    • /
    • 1993
  • 오징어 양념젓갈의 저장조건에 따른 적정 저장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도가 양호한 오징어를 원료로 하여 상법에 따라 양념젓갈을 제조하고 이를 $10^{\circ}C,\;20^{\circ}C$$30^{\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pH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VBN, TMA 및 $NH_3-N$의 변화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컸다. 저장중의 외관, 냄새, 맛 등의 관능검사와 몇가지 이화학적 검사를 토대로 하여 적정유통기한을 조사한 바 $10^{\circ}C$는 25일, $20^{\circ}C$는 7일 그리고 $30^{\circ}C$는 3일 정도였으며, 관능검사결과와 몇가지 성분의 상호회귀방정식과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pH와 VBN, 냄새와 VBN, 맛과 $NH_3-N$ 등은 상관계수가 0.8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계산된 오징어 양념젓갈의 저장온도별에 따른 시간당 품질변화율은 $30^{\circ}C$는 0.0138, $20^{\circ}C$는 0.00595 그리고 $10^{\circ}C$는 0.00166으로 나타나 유통조건에 따른 품질의 변화수준을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Proposal for a gingival shade guide based on in vivo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 Polo, Cristina Gomez;Montero, Javier;Casado, Ana Maria Mart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5호
    • /
    • pp.239-24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ssess a shade guide for pink gingival aesthetics using a Spanish population sample. MATERIALS AND METHODS. The $L^*$, $C^*$, h, $a^*$ and $b^*$ coordinates of 259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in 3 standardized points along the attached gingiva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as applied to obtain separate solutions regarding the number of shade tabs. For each of the solutions obtained, color differences (${\Delta}E^*$) were calculated using the CIELab and CIEDE2000 formulas, and the proposed shade guide was selected considering (1)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abs and (2) the coverage error of each of the solutions. RESULTS. The proposed shade guide consisted of 8 gingival shade tabs and achieved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of less than the respective 50:50% acceptability thresholds (${\Delta}E^*=4.6$ units and ${\Delta}E_{00}=4.1$). The coordinates for the various gingival shade tabs were as follows: Tab 1: $L^*43.3$, $a^*21.9$, $b^*12.3$ (1.6); Tab 2: $L^*42.9$, $a^*34.1$, $b^*19.1$; Tab 3: $L^*46.5$, $a^*25.8$, $b^*10.9$; Tab 4: $L^*46.5$, $a^*27.3$, $b^*15.1$; Tab 5: $L^*49.6$, $a^*23.5$, $b^*16.8$; Tab 6: $L^*51.5$, $a^*19.7$, $b^*13.6$; Tab 7: $L^*55.9$, $a^*22.0$, $b^*15.0$; and Tab 8: $L^*56.0$, $a^*19.9$, $b^*18.8$. CONCLUSION. The CIELab and CIEDE2000 coverage errors for the 8 shade tabs of the proposed gingival shade guid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ther guides. Therefor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proposed guide is more appropriate for matching gingival shade in the Spanish general population.

C형 간염바이러스의 core 단백질에 의해 암화된 쥐의 섬유아세포에서 phospholipase D 효소활성의 증가 (Phospholipase D Activity is Elevated in Hepatitis C Virus Core Protein-Transformed NIH 3T3 Mouse Fibroblast Cells)

  • Kim, Joonmo;Jung, Eun-Young;Jang, Kyung-Lib;Min, Do-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51-558
    • /
    • 2003
  • C형 간염바이러스는 간암을 야기하는 심각한 바이러스이다. C형 간염바이러스의 core 단백질의 과발현은 섬유아세포를 암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hospholipase D (PLD)의 효소활성이 세포증식 신호전달에 의해 활성화되어 있으며, 사람의 암조직에서 과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re 단백질에 의해 암화된 세포에서 PLD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PMA에 의해 유도되는 PLD효소활성은, 암화된 세포에서 더 증가하였으며, control 세포와 core 단백질에 의해 암화된 세포에서 PLD와 PKC 단백질의 발현은 서로 유사하였다. PKC 특이적인 억제제와 PKC의 세포막으로의 이동에 관한 실험을 통해서, PKC-d가 암화된 세포에서 PMA에 의해 유도되는 PLD활성의 증가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PLD가 core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의 암화과정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효정도가 다른 동치미 국물을 첨가한 냉면 육수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engmyon Broth added with nongchimi of different fermentation)

  • 김형렬;김용식;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8-606
    • /
    • 2004
  • The application of Dongchimi liquid to Naengmyon broth to improve its eating quality was scientifically explored by review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properties. Primarily,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Dongchimi from which the liquid portion was extracted were pursued and the optimum mixing ratio sought on the basis of the produc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liquid portions, periodically extracted from Dongchimi at intervals of two or five days,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were added to Naengmyon broth.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at three levels namely, basic broth only ('A') and with ratios of Dongchimi liquid to basic broth of 3:7 (v/v, 'B') and 5:5 (vfv, 'C'). As a typical phenomenon of kimchi fermentation, a gradual decrease in the pH with increasing total acidity was observed as the fermentation of the Dongchimi progressed. At $10^{\circ}C$, the optimum ripening was obtained from day 8, and continued until day 15, when the pH was maintained at about 3.8 to 4.0. The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until the 13th-day of fermentation, but then decreased thereafter. The turbidity and solid content of the Dongchimi liquid increased with progression of the fermenta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values, the lightness (L)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redness (a), yellowness (b) and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during fermentation. Most of these observed phenomena for the Naengmyon broth substituted with $30\%$ (Treatment 'A') and $50\%$ (Treatment 'B') Dongchimi liquid, with different storage periods, confirmed the previous fermentation patterns of Dongchimi. A decrease in the pH with increasing total acidity, as well as gradual increases in the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glucose and fructose) up to the 13th-day of fermentation were accompanied by subsequent declining patterns. The turbidity and solid content of the mixed broth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ongchimi liquid fermentation period. With respect to the color of the mixed broth, the lightness was decreased, while the redness, yellowness and total color dif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Dongchimi liquid fermentation period. It was also proven that the addition of slightly over-ripened Dongchimi liquid to the Naengmyon broth was more pref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