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linolenic aci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2초

The Influence of Saturated Fats, ${\alpha}-linolenic$ Acid, EPA and DHA on the Lipid Hydroperoxide Level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Microsomes and in Plasma Lipid of Rabbits

  • Nam, Hyun-Keu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5-61
    • /
    • 1990
  •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aturated fats, ${\alpha}-linolenic$ acid, EPA and DHA on the lipid hydroperoxide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microsomes and in plasma lipid of rabbits, the animals were fed on the perilla oil rich ${\alpha}-linolenic$ acid or sardine oil rich EPA and DHA diet for four weeks Were examin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was an accumulation of arachidonic acid(AA) 20:4 n-6,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n-3, and docosahexaenoic acid(DHA) 22:6 n-3,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of rabbits fed on the sardine oil was an accumulation of ${\alpha}-linolenic$ acid(LNA) 18:3 n-3, and arachidonic acid(AA) 20:4. The p/s ratio of rabbits fed on the perilla oil diet changed from 7.4 to 2.27 for plasma lipid and 2.47 for liver microsomes. The concentration of lipid hydroperoxide was 3.48 nmol MDA/ml and 4.35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mes, respectively, in perilla oil diet. The lipid hydroperoxide liver was 4.22 nmol MDA/ml and 67 nmol MDA/ml for plasma lipid and liver microsornes in sardine oil diet.

Delta 15 desaturase 유전자 억제에 의해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낮은 들깨 육성 (Development of Perilla frutescens with Low Levels of Alpha-Linolenic Acid by Inhibition of a delta 15 desaturase Gene)

  • 김경환;이경렬;김정봉;이명희;이은경;김년희;이홍석;김송림;백정호;최인찬;지현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3-471
    • /
    • 2018
  • 들깨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어온 대표적인 유지작물로 지질의 함량 중 알파리놀렌산의 함량이 60% 전후로 불포화도가 높아서 산패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알파리놀렌산은 소포체 유래의 ${\Delta}15$ desaturase (FAD3)와 엽록체 유래의 ${\Delta}15$ desaturase (FAD7)에 의해서 합성된다. 엽록체 유래의 FAD7 유전자 발현의 손상없이 종자의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낮추기 위해 소포체 유래 FAD3 유전자를 RNAi기법을 이용하여 발현을 억제하였다. 재배종인 엽실들깨의 배축을 이용하여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법으로 제초제(바스타) 저항성을 가진 형질전환체 17개체를 획득하였다. 형질전환체는 0.3% (v/v) 바스타제초제를 이용하여 선발하였으며 Northern blot으로 FAD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실에서 수확한 12개체 종자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10-20% 2개체, 30-40% 7개체, 대조구와 비슷한 60%대 3개체를 획득하였다. 형질전환체의 $T_2$ 종자의 분리비와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동형접합체 계통에서 6-10%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보였으며 이형접합계통은 20-26%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나타내어 동형으로 고정시 FAD3 유전자 발현이 상당히 강력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들기름의 지방산 중 알파리놀렌산 함량의 감소는 들깨의 산패를 방지하고 감마리놀렌산 등의 고가의 건강기능성 지방산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lpha$-Linolenic Acid가 농축된 들깨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참깨 Lignan 물질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Lignans on $\alpha$-Linolenic Acid-Concentrated Perilla Fatty Acid Esters)

  • 정보영;류수노;허한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33-1038
    • /
    • 1997
  • Antioxidant effect of several antioxidative components on the high purity $\alpha$-linolenic acid(HALA; ALA, 78.1%) ethyl ester concentrated from perilla oi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weight-gains and peroxide value(POV) during storage at 5$0^{\circ}C$, 23$^{\circ}C$ and 4$^{\circ}C$. Amounts of antioxidant components were 0.2g/kg HALA ethyl ester for sesamin, sesangolin and butylated hydroxytolune(BHT), and 0.1g/kg for sesamol and 100g/kg for ether extracts from perilla se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HALA ethyl ester was particularly increased by adding sesamol, ether extracts and BHT, but sesamin and sesangolin scarcely showed an antioxidant effect. POV on the HALA ethyl ester added sesamol and ether extract was less than 15.0meq/kg by 9 weeks of storage at 23$^{\circ}C$. However, in the case of low temperature storage at 4$^{\circ}C$, all the samples estimated showed less than 7.0meq/kg in POV by 5 months. Consequently, sesamol and ether extracts were recognized as available antioxidant components on the HALA ethyl ester from perilla oil.

  • PDF

미역의 부위별 중성 및 극성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Nutural Lipids and Polar Lipids in the Parts of Miyeok (Undaria pinnatifida))

  • 최선남;최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53-557
    • /
    • 2000
  • 미역 (Undaria pinnatifida)의 엽상부, 줄기 및 포자엽 부위별 지방산을 분석하여 n-3 폴리엔산, n-6 폴리엔산. ${\gamma}$-linolenic acid (18:3, n-6) 및 $\alpha$-linolenic acid (18:3, n-3)의 영양학적 의의를 규명코자 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엽상부 3.37%, 포자엽 4.59% 및 줄기 2.50%였으나, 지방산 조성을 볼 때 엽상부는 총 폴리엔산 44.18% 중 $\alpha$-linolenic acid (18:3, n-3), stearidonic acid(18:4, n-3), eicosapentaenoic acid (20:5, n-3) 및 docosahexaenoic acid (22:6, n-3)와 같은 n-3계열의 폴리엔산은 29.69%였으나 ${\gamma}$-linol enic acid (18:3, n-6) 0.90%로 매우 낮았다. 총 폴리엔산과n-3계열의 폴리엔산 조성비율을 볼 때 엽상부는 44.18% 및 29.69%였으나. 포자엽은 23.63% 및 5.58%였고 줄기는 26.66% 및 7.37%였다. 한편 중성 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n-3 폴리엔산의 함량을 볼 때 엽상부는 22.40%, 35.82% 및 3.53%로 현저하게 높았으나 줄기는 5.26%, 9.51% 및 2.37%였고 포자엽은 4.49%, 8.01% 및 2.1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미역 엽상부의 총 폴리에산과 n-3 폴리엔산은 기능성 식품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

대마 유전자원의 지방산 조성과 감마리놀렌산 함량변이 (Variation on Fatty Acid Profile Including ${\gamma}-Linolenic$ acid among Hemp (Cannabis sativa L.) Accessions)

  • 문윤호;송연상;정병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0-193
    • /
    • 2005
  •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sim}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sim}122\;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sim}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sim}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sim}44$일로 짧았다.

아마인과 아마인유의 영양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 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6-525
    • /
    • 2010
  • 아마인의 유용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열과정을 통한 성분변화 및 다른 종유작물과 유지의 물리화학적 성분과 비교, 평가하였다. 조지방은 37~43%, 탄수화물은 30~35%, 조단백질은 18~23%, 조회분은 3~4% 그리고 수분 함량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생아마인보다 가열 처리한 볶음 아마인에서 SDF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IDF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TDF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28~31%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아마인의 주요 유용성분을 살펴본 결과, 비타민은 ${\gamma}$-tocopherol(E), 아미노산은 ag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은 생아마인보다 볶음 아마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인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물리화학적인 특징으로 요오드가, 비누화가, 산가를 분석하였으며, 브라운 아마인유는 각각 204.1 g/100 g, 193.6 mg/g, 1.59 mg/g을 나타내었으며, 골드 아마인유는 각각 203.0 g/100 g, 189.9 mg/g, 2.35 mg/g으로 조사되었다. 아마인유의 지방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구성 비율을 볼 때 ${\alpha}$-linolenic acid(ALA, C18:3n-3)가 약 55.5~56.1% 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브라운보다는 골드 아마인유의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이 약간 높았다. 높은 ${\alpha}$-linolenic acid 함량은 아마인유가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 개발에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71%로 함유되어 있으며, ${\alpha}$-linolenic acid 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며, 양질의 식용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쥐에서 n3계 불포화지방산 식이의 혈장지질 저하효과와 과산화물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Lowering Effect and Peroxidation Level In Rats)

  • Choi, Joo S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6호
    • /
    • pp.408-417
    • /
    • 1990
  • Sprague Dawley 종 수컷쥐(체중 약 450kg) 48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종류가 다른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실험식이를 6주간 투여하였다. 이때 지방을 15%(W/W)로, 불포화지방산인 n6 linoleic acid의 급원으로는 옥수수기름, n3 $\alpha$-linolenic acid의 급원으로는 들기름, n3 EPA와 DHA의 급원으로는 생선유를 투여하되, 포화지방산과 monoenoic acid의 총량을 거의 같게 공급하여 불포화지방산의 영향만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유를 투여한 군의 cholesterol과 HDL-chol양은 옥수수기름과 들기름을 투여한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의 혈장 cholesterol을 저하시키는 능력은 n3 EPA+n3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어유와 들기름군이 n6계 불포화지방산군인 옥수수기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더 컸다. Lipoprotein의 상대적인 함량은 식이 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장과 적혈구 및 간의 토로페롤 수준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과산화산물 활성은 지방산의 불포화도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며 SOD활성의 증가로 인해 간조직의 과산화물의 수준이 감소되었다.

  • PDF

Effects of Essential Fatty Acids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Hormone Synthesis and Embryonic Developmental Potential

  • Kim, Kang-Sig;Park, Hum-Dai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5-85
    • /
    • 2019
  • Omega-3 α-linolenic acid and omega-6 linoleic acid are essential fatty acids for health maintenance of human and animals because they are not synthesized in viv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al potential of porcine oocytes. Various concentration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added into in vitro maturation medium, and we evaluated the degree of cumulus expansion, oocyte nuclear-maturation rate, blastocyst rate, blastocyst quality, and levels of prostaglandin E2,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in the spent medium. High doses (100 μM)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hibited cumulus expansion and oocyte nuclear maturation, and prostaglandin E2 synthesi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other groups (p < 0.05). Supplementation of 50 μM α-linolenic acid and 10 μM linoleic acid showed higher quality blastocysts in terms of high cell numbers and low apoptosis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p < 0.05), and synthesis ratio of 17β-estradiol / progesteron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59 ± 0.22 vs. 2.97 ± 0.22, 3.4 ± 0.28 vs. 2.81 ± 0.19, respectively; p < 0.05). Our results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appropriate level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beneficially affects the change of hormone synthesis (in particular, an appropriate increase in the 17β-estradiol / progesterone synthesis ratio) for controlling oocyte maturation, leading to improved embryo quality. However, high doses of α-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treatment results in detrimental effects.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김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4
    • /
    • 1989
  • In the present study,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EPO)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i.e., dark, cool, fluorescent light and daylight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gamma-linolenic acid (GLA) of EPO and that of alpha-linolenic acid of soybean oil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More rapid autoxidative reations of EPO than that of SOY in vairous conditions increased in order of daylight, fluorescent light, cool and dark. Espectially, autoxidative rates of EPO increased rapidly on exposure to daylight and fluorescent light. This probably was due to chlorophyll functioned as a photosensitizer resulting in rapid oxidation of the EPO during irrdadiation of ligh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al content of GLA in EPO and alpha-linolenic acid in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Therefore, theripid oxidative rate of EPO could be due to the catalytic effect of the chlorophyll on the photoxidation and the free radical reaction of PUFA.

  • PDF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Fed Flaxseed Meal

  • Mridula, D.;Kaur, Daljeet;Nagra, S.S.;Barnwal, P.;Gurumayum, Sushma;Singh, K.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729-1735
    • /
    • 2011
  • The effect of flaxseed meal on broiler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lpha-linolenic acid cont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hicken meat was studied during a 42 day experiment.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tted to 4 experimental groups and fed iso-energetic and iso-nitrogenous diets containing flaxseed meal at 0, 5, 10 and 15%. Flaxseed meal did not affect the weekly body weight of broiler chicks during the first two weeks but thereafter weekly body weight reduced among flaxseed meal groups. At the end of $6^{th}$ week, birds fed on 15% flaxseed meal showed a reduction of 8% in body wei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tro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weight gain with slightly higher feed consumption an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FCR),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and energy efficiency ratio (EER) than the flaxseed meal groups. Among the treatments, birds of 5 and 10% flaxseed meal groups had significantly better FCR, PER and EER compared to those of the 15% flaxseed meal group. The carcass characteristics data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viscerated weight and breast yield at 15% flaxseed meal in the diet as compared to other dietary groups. However, the alpha-linolenic acid content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was higher with an increasing level of flaxseed meal in the diets without affecting the sensory acceptability of meat. Based on the present study, up to 10% of flaxseed meal may be used in broiler diet to enhance the alpha-linolenic acid content in the broiler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