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L

검색결과 1,284건 처리시간 0.032초

천연 갈변저해제로서 황금 추출물의 효소적 갈변 저해 효과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Inhibitors of Food Browning)

  • 박미지;장민선;정문철;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92-799
    • /
    • 2013
  • 천연 갈변저해 소재 발굴을 위해 황금을 열수와 EtOH로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에 사과 슬라이스를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황금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사과의 갈변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열수와 EtOH 추출물을 각각 상법에 따라 분획하여 $CHCl_3$, EtOAc, $H_2O$ 분획물로 총 6가지 분획물을 얻었다. 이 분획물에 대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측정, 금속이온 chelating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와 PPO(polyphenol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EtOH 추출의 분획물이 열수 추출의 분획물보다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뛰어났다. 총 페놀의 경우 EtOAc 분획물에서,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FRAP assay 결과 EtOAc 및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금속이온 chelating 활성은 특이적으로 $H_2O$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 다른 분획물들 또한 ascorbic acid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PPO 저해 활성의 경우 $CHCl_3$ 분획물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다른 항산화 측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ascorbic acid에 비해 우수한 PPO 저해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황금의 EtOAc 및 $CHCl_3$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및 PPO 저해 활성으로 인해 갈변저해제로서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복합레진의 조건등색에 관한 연구 (METAMERISM IN COMPOSITE RESINS UNDER FIVE STANDARD ILLUMINANTS - D65, A, C, FCW AND TL84)

  • 박기정;황윤찬;김선호;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402-408
    • /
    • 2003
  • This study was done to present a criterion in selection of the most proper light sources and materials by measuring metamerism index(MI) of th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with spectrocolorimeter. Metamerism is defined when two objects appear to be the same color in one illuminant but different in another.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different spectral curves that fail to match under the second illuminant. In this study, A1 & A3 shade of five light curing composite resins (Esthet-X, Filteck Z250, Filteck A110. Charisma. Vitalescence) were chosen based on Vita shade. Five samples were made for shade of each product with Teflon mold (diameter: 15mm, thickness: 2mm). Metamerism index of each samples on a Barium sulfate plate($L^{*}=96.54,{\;}a^{*}=0.19,{\;}b^{*}=0.01$) prepared for sample fixation were measured with spectrocolorimeter(Miniscan XE plus. Model 4000s. Hunter Lab. USA) by applying standard light source D^{65}, C. Fcw, TL84 and A. Standardization was done with reference standard(X=80.8, Y=85.7, Z=90.8) and light tra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t resins with same Vita shade showed recognizable color difference (${\delta}E^{*}>2$). 2. All composites had MI below accepted value 0.5 between standard illuminant(D$_{65}$, C, & A) and below 1.5 under fluorescent condition (Fcw & TL84). 3. MI value between $D^{65}$ and A showed higher value than MI value between other source of light(p<0.01). 4. All resins except Z250 showed MI value that A3 is higher than A1 between $D^{65}$ and A(p<0.05).except Z250 showed MI value that A3 is higher than A1 between $D^{65}$ and A(p<0.05).

단마(Dioscorea aimadoimo)의 열풍건조 시 갈변 억제 방안 연구 (Studies on the browning inhibition of yam(Dioscorea aimadoimo) during hot air dehydration)

  • 정용열;정우식;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84-388
    • /
    • 1996
  • 건강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단마의 열풍건조 시의 건조특성과 건조 시 갈변 억제 방법에 관해 조사하였다. 단마의 일반 성분은 수분 81.17%, 조단백질 1.43%, 조섬유 0.29%, 가용성 무질소물이 15.81%었다. 단마를 세척 박피 후 0.5 cm 두께로 세절하여 plastic tray에 박층 및 적층($4{\sim}5$겹)으로 건조온도 $50,\;65,\;80^{\circ}C$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면서 건조 중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각 온도에서 분말화가 가능한 수분함량(18%, 습량기준)까지는 박층의 경우 10, 6, 3시간, 적층의 경우에는 12, 7, 5시간 정도의 건조시간이 요구되었다. 고온 건조 조건($80^{\circ}C$)에서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해 열풍건조 전 blanching, steam 및 가정용 전자랜지를 이용한 microwave 처리를 각각 30초, 60초간 실시한 결과, 30초간 steam 처리한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비교적 갈변도가 적었다. Ascorbic acid, cysteine, citric acid, NaCl 등을 이용하여 각각 1000 ppm, 500 ppm의 농도에서 열풍건조 전 단마를 1분간 dipping하여 건조 분말 제품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cysteine, citric acid, NaCl에서 갈변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틀을 두 가지 씩 조합한 복합 갈변 억제액에 dipping시에는 갈변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itric acid 500 ppm, cysteine 1000 ppm 처리구가 가장 갈변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클래리스로마애신 정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Bioequivalence of Two Clarithromycin Tablets)

  • 김종국;이사원;최하곤;고종호;이미경;김인숙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2호
    • /
    • pp.219-224
    • /
    • 1998
  • The bioequivalence of two clarithromvcin products was evaluated with 16 normal male volunteers (age 23-28 yr, body weight 57.5-75.517g) following single oral dose. Test product was ReYon Clarithromycin tablets (ReYon Pharm. Corp., Korea) and reference product was Klarici $d_{R}$ tablets (Abbott Korea). Both products contain 250 mg of clarithromucin. One tablet of the test or the reference product was administered to the volunteers, respectively, by randomized two period cross-over study (2$\times$2 Latin square method). The determination of clarithromycin was accomplished using a modified agar well diffusion bioassay. As a result of the assay validation, the quantification of clarithromycin in human serum by this technique was possible down to 0.03$\mu$g/ml using 100$\mu$l of seru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as less than 10%. Average drug concentrations at each sampling time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calculat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products P>0.05); the area under the curve to last sampling time (24 hr) (AU $Co_{24hr}$ (8.10$\pm$ 1.26 vs 8.22$\pm$ 1.627g . hr/ml), AUC from time zero to infinite (AU $Co_{\infty}$) (8.61 $\pm$ 1.28 vs 8.84$\pm$ 1.71 $\mu$g . hr/ml),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 $C_{msx}$) (0.87$\pm$0.22 vs 0.88$\pm$0.19 $\mu$g/ml) and time to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 $T_{max}$) (2.69 $\pm$0.48 vs 2.56$\pm$ 0.51 hr). The differences of mean AU $Co_{24h}$, $C_{msx}$ and $T_{msx}$ between the two products (1.44, 1.39, and 4.65%, respectively) were less than 20%. The power (1-$\beta$) and treatment difference ($\Delta$) for AU $Co_{24hr}$, and $C_{max}$ were more than 0.8 and less than 0.2, respectivly. Although the power for $T_{max}$ was under 0.8, $T_{max}$. of the two produ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oavailability of ReYon Clarithromycin tablet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Klarici $d_{R}$ tablets. Therefore, two products are bioequivalent based on the current results. results.sults.sults.s.s.s.s.s.s.s.

  • PDF

Effects of Dry Roasting on the Vitamin E Content and Microstructure of Peanut (Arachis hypogaea)

  • Eitenmiller, Ronald R;Choi, Sung-Gil;Chun, Jiyeo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121-133
    • /
    • 2011
  • Effects of roasting on vitamin E content, color, microstructure and moisture of peanuts, and vitamin E content in peanut oils prepared from the roasted peanuts were investigated. Runner-type peanuts were roasted at 140, 150, and $160^{\circ}C$ for 10-20 min. As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the CIELAB $L^*$ value of peanuts decreased while $a^*$ and $b^*$ values increased, resulting in formation of the golden brown color of roasted peanuts. Moisture ratio (M/Mo) and color $b^*$ value of peanuts roasted at 140 to $160^{\circ}C$ showed a correlation of $b^*=21.61\;(M/Mo)^2-40.62\;(M/Mo)+34.12$ ($R^2=0.9123$). Overall changes in the tocopherol contents of peanuts and peanut oil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p<0.05). Roasting at $140^{\circ}C$ caused a slight increase in the levels of tocopherols of peanuts over roasting time up to 20 min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ocopherol levels of peanuts during roasting at $150^{\circ}C$ for 20 min (p>0.05). At $160^{\circ}C$, the levels of tocopherol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initial 10 min of roasting (p<0.05) while there was no extended loss after 10 min, resulting in about 5, 12, 20, and 10% losses of ${\alpha}$-, ${\beta}$-, ${\gamma}$- and ${\delta}$-T, respectively. After 20 min, total tocopherols decreased by 18%. However, tocopherol contents of pressed peanut oils significantly decreased at all roasting temperatures (p<0.05). After roasting peanuts at $160^{\circ}C$ for 20 min, about 84% of initial ${\alpha}$-T in peanut oils was retained. ${\alpha}$-T was the most stable to roasting while ${\gamma}$-T was the least. Swollen epidermal cells on the inner surface and broken cell walls of parenchyma tissue of peanut cotyledon were observed in peanuts after roasting at $160^{\circ}C$ for 15 min. Severe changes in microstructure of peanut by roasting would contribute to vitamin E stability because of exposure of oil droplets in peanuts to oxygen.

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균의 행동예측 모델 개발 및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 연구 (Predictive model and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and Campylobacter jejuni in milk)

  • 동쟈밍;민경진;서건호;윤기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57-668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우유와 무지방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행동예측모델을 개발하고, 미생물학적 안전관리를 위한 기준의 적절성 평가를 위해 정량적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시중 마트에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일반우유(n=195)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오염실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검출되지 않아 초기 오염도는 각각 -3.94 log CFU/mL로 동일하게 추정되었다. 장출혈성 대장균은 7℃ 이상의 온도에서 성장하였고,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4-25℃ 온도의 우유에서 사멸하였다. 우유에서 1차 모델에서 얻은 parameter를 사용하여 장 출혈성 대장균은 2차 성장모델을 캠필로박터 제주니는 2차 사멸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일반우유의 섭취패턴은 식품의약품안전처(2015) 연구에서 수행한 "50대 주요 축산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패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RISK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하루에 일반우유의 1회 섭취를 통하여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에 의한 식중독 발생 확률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1일 1회 일반우유 섭취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로 인한 평균 식중독 발생 확률은 각각 5.70×10-5, 9.86×10-9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량적 위해평가를 통해 일반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 제주니의 위해수준을 산출한 결과 일반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의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우선관리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우유제조업체에서 교차오염 방지, 살균온도/시간 관리, 유통온도, 가정에서 온도 관리 등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구마가루 첨가가 백설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Sweet Potato Flou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Steamed Rice Cake, Backsulki)

  • 이지현;김병기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35-145
    • /
    • 2010
  • 백설기 원료인 쌀가루에 당 및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고구마가루를 5, 15, 25%(w/w, dry-weight basis) 비율로 첨가하여 원료 및 제품에서 나타나는 이화학적 품질과 제품의 관능특성, 및 저장성을 관찰하였다. 쌀가루에 대한 고구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수분결합력, 팽윤도가 증가하였으며 외관에 있어서 적색도 및 황색도가 증가한 반면 전체적인 외관은 다소 어두워졌다.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한 열적특성의 분석결과 고구마가루의 H는 28.1 J/g으로서 19.1 J/g인 쌀가루에 비해 2배 정도로 높아 호화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DSC thermogram에 나타난 전분의 노화도 경향은 고구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고구마가루 첨가량에 비례한 제품의 노화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제품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 등은 고구마가루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또한 경도증가율이 낮아져 고구마가루의 노화지연 효과가 확인되었다. 백설기 내의 고구마가루 첨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온도에서 제품의 경도증가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제품의 경도변화의 폭은 저장온도 보다 고구마가루 첨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적 특성에 있어서 제품을 실온에서 3일간 저장 시 고구마가루 첨가량에 따라 총 미생물수가 미첨가구에 비해 최고 1/10정도까지 낮게 유지되었다. 제품의 외관과 색을 제외한 전반적 기호특성은 고구마가루 첨가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특히 15% 첨가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계 전기, 전자연합학술회의 및 산학협동 심포지엄 초록

  • 대한전기학회
    • 전기의세계
    • /
    • 제27권5호
    • /
    • pp.33-54
    • /
    • 1978
  • (차례) 1.산학협동심포지업 (1)우리나라에서의 연구개발과 산학협동 (2)산학협동과 산업계의 역할 (3)산학협동의 현황과 진로 2.학술회의A (1)전력게통의 계층구조와 협조원리에 관한 연구 (2)2중층괴상회전자 유도전동기의 이론해석 (3)초고주파가열장치에 사용하는 철공진변압기의 해석적 설계 (4)한국전기기시험연구소 대전력단락 시험설비설계 (5)직류전동기제어를 위한 Thyristor Chopper정류회로에 관한 연구 (6)선로의 개폐정보를 포함하는 전력계통의 상태추정 (7)단일신경세포에 대한 ITEM 신호 특성 3.학술회의B (1)MMM-1 Computer System의 설계 및 제작 (2)Adaptive Delta Modulation System의 성능비교 연구 (3)6GHZ FMD마이크로파 무선전송장치의 개발 (4)적선도에 의한 회로망함수의 결정 (5)동맥혈압의 해석과 그의 전기적 유사모델 (6)피부감각의 정보전달 특성에 관하여 (7)선형직접회로의 공정설계 및 그 특성 조성 (8)DH L.D의 전기적포화현상에 관한 이론적 해석 (9)Potocoupler를 이용한 Isolator 4.학술회의C (1)Al-Al$_{2}$O$_{3}$ -Al박막구조의 전기적 특성 (2)이종금속에 샌드위치된 고분자물질의 단락전조 (3)유전체가 일부체워진 직 6면체의 캐비티의 다중모오드 해석 (4)반도체 가스 검지소자의 제조 및 그의 전기적 특성 (5)실리콘 산화공정에 대한 실험적 고찰 (6)진공증착법에 의한 InSb 박막제도에서 열처리효과 (7)(Ba$_{1}$-xBix) Tio$_{3}$ PTC thermistor의 첨가량의 최적건안 (8)금속박막증착시 두께조절 5.특별강연회 (1)일본에 있어서의 절력계통공학연구 (2)Linear Motor의 최근개발동향량도 높았다. valine과 leucine 및 aspartic acid, glycine과 glutamic acid, leucine과 aspartic acid 간에는 고도의 정상관, glycine과 serine, valine과 phenylalanine, threonine과 proline, phenylalanine과 arginine, methionine과 glutamic acid, histid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 정상관, 그리고 isoleuc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한 부상관이 있었다. 4. lysine 함량은 단백질 함량과 정산곤, isoleucine 함량은 단빅질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alanine, valine, leucine 함량은 지방함량과 각각 유의한 정산관을 보였다. 5. 대두 단백질은 7.5% 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해 품종에 따라 12~16개의 구성분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들중 주구성분들은 상대이동도가 0.06(a), 0.14(b). 0.24(d) 이었고, 구성분 b의 함량이 품종간에 가장 변이가 컸으며, 구성분 b는 그밖의 주요 구성분들의 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구성분 a는 단백질 함량과 정상관이 있었다. 6. 종실단백질 구성분들의 조합 특성 면에서 공시 86품종은 11개 유형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품종은 미국품종에 비해 단백질구성분 조성이 훨씬 다양하였다. 7. 이동도가 매우 빠른 단백질 구성분 o(Rm 0.77) p(Rm 0.81)를 모두 갖고 있는 품종은 3품종, 모두 갖고 있지 않은 품종은 1품종이었고, 나머지 82품종은 o나 p중 한 구성분을 갖고 있었으며 그 분포율은 30 : 65 이었는데 미국계 품종은 우리나라 품종에 비해 구성분 o를 간고 있는 비율이 현저히 적었다. 8. 대두 종실은 개화후 22일까지 완만히, 그 이후 20~30일간 급속히

  • PDF

효소처리 조직대두단백을 이용한 햄버거패티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ies Based on Enzyme Treated Textured Soy Protein)

  • 김신애;유명현;이민경;오종신;김선옥;이숙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4-520
    • /
    • 2008
  • This study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a soy hamburger patty containing enzyme-treated textured soy protein (TSP) as a meat analogue. In order to reduce the beany flavor and enhance the texture, TSP was treated with 0.3% Flavourzyme for 5, 10, 20, or 30 min. The degree of hydrolysis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TSP increased with increasing hydrolysis time. The oil binding capacity of the TSP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hydrolysis time, approaching the maximal value, 175.82%, at 30 min, whereas that of pork scored with the lowest value of 128.67%. The volume of pork was reduced to 81.5% as the result of heat treatment, whereas that of the TSP increased to 140.57%. The values of 'L', 'b', and '${\Delta}E$' differed significantly (p<0.001) with heat treatment, but the 'a' valu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regard to texture, the hardness values were highest in the pork hamburger patty (PHP), and were lowest in the soy hamburger patty (SHP) containing untreated TSP. The hardness of the SHP containing TSP treated for 20 mi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PHP. The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the SHP treated for 20 min were highest, whereas those treated for 10 min were the lowest. The gumminess of the SHP treated for 20 mi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pork. The chewiness of the PHP was the highest, whereas that of the SHP treated for 5 min was the lowest. In our sensory evaluation, PHP evidenced the highest scores, followed by the SHP treated for 30 min, as color, texture, beany flavor, and overall quality all improved as the consequence of increasing enzyme treatment duration. In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SHP has great potential as a substitute for meat, in that the flavor, texture, and beany flavor of SH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of PHP.

흑마늘 가공 중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 신정혜;최덕주;이수정;차지영;김정균;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123-1131
    • /
    • 2008
  • 최근 개발된 마늘 가공품의 일종인 흑마늘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마늘의 제조공정을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흑마늘의 색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L, a 및 b값이 모두 감소하였는데 내부색의 경우 가공 초기에 크게 감소하였다. 수분은 1단계에서 65.54${\pm}$0.24 g/ 100 g였던 것이 4단계 시료에서는 $58.48{\pm}0.41$ g/100 g까지 감소하였고, pH도 점차 산성화되어 4단계 시료에서 4.22${\pm}$ 0.02, 반면에 숙성이 진행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는 1단계시료에 비해 최종단계에서 각각 약 1.9배, 2.6배 증가하였다. Total pyruvate와 thiosulfinate도 비슷한 패턴으로 각각 약 1.6배, 5.8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중 가장 함량이 높은 fructose는 1단계에서는 1,403.03${\pm}$6.24 mg/100 g였던 것이 4단계에서는 2,454.45${\pm}$ 4.20 mg/100 g으로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이당류인 sucrose와 maltose는 흑마늘의 숙성과 더불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다. 흑마늘의 제조 단계별 무기물의 총량은 4단계시료에서 1,009.20${\pm}$6.91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흑마늘 중 무기물은 칼륨, 인, 마그네슘 및 칼슘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흑마늘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proline과 aspartic acid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homocysteine 및 ${\delta}g$-hydroxylysine은 1단계 혹은 2단계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2단계 혹은 3단계 이후 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흑마늘 가공 중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숙성이 진행될수록, 추출물의 첨가 농도를 높일수록 점차 증가하여 4단계시료의 1,000 ${\mu}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45.63${\pm}$0.43%, 물추출물은 67.40${\pm}$0.21%로 시험된 시료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100 및 500 ${\mu}g/ml$ 농도에서 1, 2단계 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물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