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_2SO_4$ and $NH_4NO_3$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33초

항균성 Monascus 균주의 Screening 및 영양원과 배양조건이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Screening of Monascus Strains f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Effect of Change of Nutrients and Incubation Conditions on Antimicrobial Activity)

  • 마재형;황한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80-1086
    • /
    • 1996
  • 흥국으로부터 분리된 Monascus 균주로부터 항균활성이 우수한 2균주, 분리주 No.116및 No.481을 선정하여 영양원 및 배양조건의 변화에 따른 항균활성에 대한 검토한 결과 분리주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분리주 No.116의 경우 탄소원으로서는 sucrose 8%, 질소원으로 $(NH_4)_2SO_40.8%,$ 인산염으로 $KH_2PO_40.5%$ 그리고 금속성분으로 $MgSO_40.5%$ 첨가시 뚜렷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분리주 No.481의 경우에는 각각 sucrose 8%, $(NH_4)_2SO_41.6~2%,$ $K_2HPO_40.1%,$ $MgSO_40.5%$ 그리고 $FeSO_40.5%$ 첨가시 항균활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두 균주 모두 배양 초기의 pH는 5.3, 배양온도는 $32.5^{\circ}C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물질을 생성할 수 있었다. 상기 배양 최적조건에서 분리주 No.116과 No.481 모두Bacillus subtilis, Staphyl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및 Enterococcus faecium에 대해 51시간 이상 뚜렷한 생육저해를 나타냈다.

  • PDF

강설이 겨울철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Snow Influence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Precipitation)

  • 강공언;김남송;오경재;신대윤;유두철;김상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3-125
    • /
    • 2007
  • 강설과 강우에서의 이온성분 차이와 강설이 겨울철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지역에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강우와 강설의 포집이 가능한 매 $11\sim12$월과 $1\sim2$월 동안에 자동강수채취장치를 사용하여 강수를 포집한 후 pH와 전기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이온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겨울철 강수의 평균 pH는 4.72이었으며, 강수의 침적형태에 따라서는 강설(5.05)보다 강우(4.67)에서 높은 산성도를 나타내었다. pH 5.0 이하의 저 pH 발생빈도는 강우의 경우 약 73%이었으며, 강설은 30%이었다. 이온성분의 경우 강설은 강우에 비해 해염에서 기원하고 있는 이온성분들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Cl^-$, $Na^+$, $Mg^{2+}$ 의 경우 3배 이상의 농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해염기원 성분을 제외할 경우 강우와 강설 모두 음이온에서는 $nss-SO_4^{2-}$$NO_3^-$가 그리고 양이온에서는 $NH_4^+$$nss-Ca^{2+}$가 주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nss-SO_4^{2-}$는 강우에서 1.3배 높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nss-Ca^{2+}$$NO_3^-$의 경우 강설에서 각각 1.5배와 1.3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겨울철 강수 중 $nSS-SO_4^{2-}/NO_3^-$의 당량농도비는 2.4이었는데 이것은 강수의 산성도에 대한 $H_2SO_4$의 기여율이 71%이고 그 나머지가 $HNO_3$에 의한 것임을 의미한다. 강우와 강설에서는 각각 2.7과 1.5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입자상의 $SO_4^{2-}$$NO_3^-$보다 가스상의 $HNO_3$가 강설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으로 국외의 다른 실측 연구결과와도 일치하고 있으며, 대기에어로졸의 세정이론과도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산지역의 겨울철 강우와 강설 모두 $nss-SO_4^{2-}$$NO_3^-$가 국내 외 비오염지역에 비해 고농도로 검출되었지만, 이에 대응하는 알칼리성의 $NH_4^+$, $nss-Ca^{2+}$, $nss-K^+$ 등이 존재함으로써 중화작용이 이 지역 강수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우와 강설에서의 이온성분의 차이 그리고 산성원인물질에 대한 이들 알칼리성 물질의 중화능 차이에 의해 강우에 비해 강설의 산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강설은 겨울철 강수의 산성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익산지역 강수성분의 연차적 변이 (Yearly Changes of Precipitation Component in the Iksan Area)

  • 이경보;이덕배;이상복;김재덕;박찬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06
  • 본 연구는 산성비의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코자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 동안 산성강우 현상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강수의 연차적 산성비 강하비율은 1997년 70.0%, 1998년 56.3%, 2003년 36.4%를 나타냈으나, 강우량이 적은 1999년부터 2002년의 산성비 강하비율은 $6.9{\sim}19.2%$를 보였다. 산성우에 대한 영향 평가시 단기간에 의한 것보다 장기적인 영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산성강하물의 농도뿐만 아니라 침착량의 해석이 필요하다. 강수중 주요 이온성분의 연평균 습성침착량은 각 이온성분의 당량농도에 강수량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각 이온 성분의 침착량을 살펴보면 음이온은 ${SO_4}^{2-}>Cl^->{NO_3}^-$순이었으며, 양이온의 경우는 ${NH_4}^+>Ca^{2+}>Na^+>Mg^{2+}>K^+$순으로 많았다. 강수 중 주요성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pH와 강수 이온 성분중 $Ca^{2+}$$Na^+$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에서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그 외 각 성분간의 상관은 정의 상관을 나타냈다. pH와 ${SO_4}^{2-}$간의 상관계수는 -0.508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SO_4}^{2-}$성분이 강수중 산성도를 증가시키는 주요원인 물질중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SO_4}^{2-}$${NO_3}^-$ 이온은 $Ca^{2+},\;Mg^{2+},\;K^+,\;{NH_4}^+\;and\;Na^+$ 등 양이온과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다.

청정 강우의 분석:1997-1998년 한라산 1100 고지와 제주시 강우의 특성 (Analysis of Rainwater in Clean Air Area :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at 1100 Site of Mt. Halla and Cheju City in 1997-1998)

  • 강창희;김원형;홍상범;이기호;홍민선;심상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55-566
    • /
    • 1999
  • The rain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1100 Site of Mt. Halla and Cheju city during the period of March in 1997 to August in 1998, and the major soluble ions were analyzed. The confidence of analytical data was confirmed by using the comparison methods such as ino-balance, electric conductivity and acid fraction, all of whic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bove 0.94. The ionic strengths lower than $10^{-4}$ M, the basis for the pure rainwater, were found in 47% and 38% at 1100 Site and Cheju city, respectively. The precipitations in Cheju city were more influenced by the oceanic effect than those in 1100 Site. The acidity contribution was mainly by $SO_4^{2-}$ and $NO_3^-$ in both areas, and the organic acids have contributed to the acidity with only 5~7%. The neutralization factors by $NH_3$ were about 46% at both 1100 site and Cheju city, whereas those by $CaCO_3$ were 11% and 15% at 1100 site and Cheju city respectively, and the free acidity were both about 35% in average. From the MSA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ir in Cheju island has been influenced by the pollution from the other areas. The sources of the rainwater components in 1100 Site and Cheju city were also studied with a factor analyzing way, and the most probable factors were found to be anthropotgenic, oceanic, and soil-sourc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shown that $SO_4^{2-}$ was dissolved mostly in the form of $H_2SO_4, CaSO_4 and (NH_4)_2SO_4$, and $NO_3^-$ was in the form of $HNO_3, Ca(NO_3)_2 and NH_4NO_3$.

  • PDF

서로 다른 형태의 질소공급에 의한 알팔파(Medicago sative L.)의 생산성과 재생활력에 미치는 영향

  • 차준영;조준현;김병호;김태환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90-91
    • /
    • 1999
  • 알팔파(Medicago sative L.)의 질소공급형태에 따른 저장질소의 함량과 재생기간 중 저장 질소의 이용 및 재생활력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하에서(NH$_4$)$_2$SO$_4$, KNO$_3$, Urea, Organic-N 및 NH$_4$NO$_3$를 1mM/week로 4주간 공급후 예취하여 건물생산량을 보았으며, 다시 4mM로 40일 동안 각각의 질소 형태로 공급하여 흡수 및 잔여기관내 축적된 질소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저장된 질소에 의한 재생활력을 보기 위해 0.2mM NH$_4$NO$_3$의 형태로 동일하게 공급하였다.(중략)

  • PDF

서로 다른 형태의 질소 공급에 의한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Lolium perenne L.)의 생산성과 재생활력에 미치는 영향

  • 조준현;차준영;김병호;김태환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89-90
    • /
    • 1999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Lolium perenne L.)의 질소공급형태에 따른 저장질소의 함량과 재생기간 중 저장질소의 이용 및 재생활력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 하였다. (NH$_4$)$_2$SO$_4$, KNO$_3$, Urea, Organic-N 및 NH$_4$NO$_3$의 서로 다른 질소형태로 각각 1mM/week을 4주간 공급하여 건물생산량을 보았고, 예취 후 각각의 질소 형태로 4mM/40days동안 공급하여 흡수된 질소의 함량 및 잔여기관내 축적된 질소의 함량을 관찰하였으며, 예취 후 저장된 질소에 의한 재생활력을 보기 위해 0.2mM NH$_4$NO$_3$의 형태로 동일하게 공급하였다.(중략)

  • PDF

선박 배가스 내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선택적촉매환원법(SCR) 기술동향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Technology Trend for the Removal of Nitrogen Oxide from Ship Flue Gas)

  • 원종민;홍성창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5호
    • /
    • pp.25-40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규제를 강화시키며 특히 다양한 대기오염 물질 중 최근 큰 이슈인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전구물질로 알려진 질소산화물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처리기술 중에 기술적·경제적인 이점을 갖춘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기술을 통하여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해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반응에 참여시켜 인체에 무해한 H2O, N2로 전환하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질소산화물이 배출되고 있으며, 점오염원뿐만이 아니라 비점오염원(mobile sources)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디젤엔진이 장착된 선박 배가스 처리장치 내 SCR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NH3-SCR에 사용되는 촉매는 주로 VOx/TiO2, VOx/W/TiO2 촉매가 대표적이다. 한편 선박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연소배가스 특성이 다르다. 이러한 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SO2, SO3가 발생되고 환원제인 NH3와 결합하여 황산암모늄염((NH4)2SO4), ABS (ammonium bisulfate, NH4HSO4)과 같은 염을 형성시켜 탈질촉매의 비활성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비활성화 물질이 침적된 탈질촉매를 재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열 산화를 통해 재생시키고 있다. 이처럼 선박용 SCR 촉매는 강화되는 배출규제 및 엔진기술의 발달로 저감되는 운전 온도에 대비하여 저온 활성 재생이 가능한 고활성, 고내구성 촉매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호흡량에 기준한 강둑여과지 주변 표층토의 무기질소 변환 (Biotransforamtion of inorganic nitrogens in soil of near bank filtration sites using respirometer)

  • 공인철;배진희;최은영;김승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5-43
    • /
    • 1999
  • 강둑여과의 적지로 판단되는 지역의 배후 농경지 표층토에 대한 무기질소 변환 활동도를 호흡량 측정기에서 소비한 산소량에 기준하여 조사하였다. 초기 표층토 pH(약 4.8~5.7)를 변화시키지 않고 수분함량을 약 20%로 조정한 상태에서 무기질소의 변환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의 뚜렷한 호흡량 및 무기질소변환은 관찰할 수 없었고 조사한 실험조건에서 수분 25%, pH 8 정도에서 가장 활발한 미생물 활동도가 관찰되었다. 또한 초기 ${NH_4}_2$$SO_4$400 mg $NH_4$-N의 농도에서 98%정도의 질산화가 조사되었으나 탈질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 PDF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가 Polyacrylamide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uble Salts and Their Concentrations on Water Absorption of Polyacrylamide Hydrogel)

  • 왕현진;최종명;이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6-202
    • /
    • 2005
  •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cdot}g^{-1}$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_2PO_4,\;KNO_3$ 또는 $(NH_4)_2SO_4$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_3)_2{\cdot}4H_2O$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q{\cdot}L^{-1}Ca(NO_3)_2{\cdot}4H_2O$ 용액에서 약 25 $mL{\cdot}g^{-1}$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_3)_2{\cdot}6H_2O$$MgSO_4{\cdot}7H_2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NH_4^+-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_3^--N,\;H_2PO_4^-$$SO_4^{-2}$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mg{\cdot}L^{-1}$ 농도로 분석되었다.

제주시 도로변에서의 에어로졸의 입경별 분포 특성 (Roadside Aerosols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Jeju City)

  • 이기호;김수미;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727-739
    • /
    • 2021
  • Measurements on mass size distribution of roadside aerosols were obtained in downtown Jeju City from July 2018 to May 2020 using an 8-stage cascade impactor sampler and the compositions of aerosols were analyzed. The mass size distribution of total aerosols was bimodal with aerosols existing in both the fine and coarse modes. The mass size distributions of Na+, Mg2+, Ca2+, Cl-, NH4+ and SO42- were unimodal, whereas that of K+ was bimodal. For NO3-, the size distribution in winter and spring was bimodal with the peaks in both fine and coarse modes, whereas for summer and autumn the distribution was unimodal with a peak in the coarse mode. NH4+ was found to co-exist with SO42- in the fine mode with an average molar ratio of [NH4+]/[SO42-] equal to 2.05. Good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NO3- and NH4+ in the fine mode particles in spring and winter. Based on the value of the marine enrichment factor for Cl-, Mg2+, K+, Ca2+ and SO42-, it may be inferred that a major part of the roadside aerosols in downtown Jeju City was largely contributed by terrigenous sources, although the influence of sea salt was normally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