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52/Ksce.2012.32.3D.239

Analysis of Construction Management Market Using System Thinking  

Kim, Yoon-Woo (한국전력공사,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Park, Hee-Sung (국립한밭대학교 토목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v.32, no.3D, 2012 , pp. 239-24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as a construction project is getting larger, more complex and specialized. Thus, the CM market has steadily expanded since 1996 in Korea. Despite the external expanding of the CM market, experts claim that domestic CM regulations and infrastructures should be revised. Therefore, this paper developed a causal map which consists of elements vitalizing CM market. Then, the simulation model using NUMBER (Normalized Unit Modeling by Elementary Relationships) to predict the size of the CM market is establish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more regulation related CM, the quantity of CM projects could not reach of construction supervision until 2020. This paper can be used as a baseline providing a prospection of the change of CM market according to causal 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as well as the base of revitalization research of CM market based on non-institutional factors change.
Keywords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dynamics; construction regula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오선교(2008) 건설산업의 미래와 건설감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한국건축시공학회, 제8권 제4호, pp. 5-6.
2 유병기, 정찬영, 김재준(2006) CM대가 산정방식의 문제점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6호, pp. 132-140.
3 이택운, 이용진, 김완수, 한충희, 김선국(2002) 국내 건설사업관리 (CM)전문교육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호, pp. 95-104.
4 장기창(2002) 공공사업의 CM제도 개선 및 정책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07-212.
5 전세기(2007) 건설사업관리가 걸어온 10년, (주)한국교통저널.
6 정원민, 김한수(2007) CM기업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위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7호, pp. 169-176.
7 조문영(2001) 공공건설 사업을 대상으로 한 CM정책 추진 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 CM포럼 자료집, pp. 1-25.
8 최석인, 장현승, 이복남(2006) 국내 건설산업의 CM/PM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3호, pp. 155-16.
9 통계청(2009a) 건설투자동향.
10 통계청(2009b) 감리수행물량.
11 권순석, 박용호, 유정호, 김창덕(2006)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326-331.
12 기준호, 김창덕, 김예상(2000)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출모델의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권 제4호, pp. 91-97.
13 김동환(2000) 인과지도의 시뮬레이션 방법론, 한국시스템 다이내믹스학회 학술저널,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제1권 제2호, pp. 91-111.
14 김윤우(2010) 제도적 규제가 건설사업관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15 김장영, 손기영, 국동훈, 김선국(2007)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교육시설 BLT사업의 투자가치 평가 모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3권 제1호, pp. 147-154.
16 김지현, 김한수(2001) CM방식의 국내 건설사업 활용에 따른 저해요인 기초연구 : 공급자 측면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춘계 학술논문발표대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1권 제1호, pp. 533-536.
17 대한건설협회(2007) 완성공사원가구성분석, 대한건설협회.
18 박영준(2007) 사업관리(CM)의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9 변동우, 김경래(2000) 공공사업의 건설관리 발주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6권 제8호, pp. 85-94.
20 안은진, 유병기, 이윤선, 김재준(2008) 건설사업 참여주체(발주자, CMr, 설계자, 시공자) 관점에서 건설사업관리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9권 제3호, pp. 194-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