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04/LHIJ.2022.13.3.1

South Korean Demand for Tourism in North Korea and the Impact of their Expenses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Kim, Misuk (LH 토지주택연구원 지역균형연구)
Seong, Taeyoung (LH 토지주택연구원 지역균형연구)
Choi, Eunhee (LH 토지주택연구원 주거복지연구)
Choi, Daesik (LH 토지주택연구원 지역균형연구)
Publication Information
Land and Housing Review / v.13, no.3, 2022 , pp. 1-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how much Korean visits to North Korea have an impact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It estimates the demand for North Korean tourism via the borders of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and South Korean expenses to be spent in North Korea. When asked if they are willing to visit North Korea within the next five years in case the pre-conditions of the visit to North Korea are satisfied, approximately 64.1% of the survey respondents indicated 'yes'. To estimate the demand, this research employed the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popular in marketing, based on their willingness to visit. The annual demand for tourism was 4,136,361 persons. The average estimated expense per person is KRW 1,532,000 and the total annual expense is KRW 6,336.9 billion. Assuming that airfare is excluded from the total expense and the expense is made evenly in each tourist destination, the estimated amount to be spent in North Korea is KRW 2,838.7 billion per annum. The backward linkage effect of this expense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is KRW 7,972.1 billion in total production inducement, KRW 2,619.4 billion in value-added inducement, and approximately 2,890,443 persons in employment inducement.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7.6% of the North Korean nominal GDP in 2020. South Korean tourism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s the demand for North Korean tourism is likely to increase steadily due to the expected increase in overseas travel demand by Koreans, inter-Korean coopera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tourism infrastructure if conditions improve.
Keywords
North Korea-China or North Korea-China-Russia Border Regions; South Korean Tourism Demand for North Korea; Tourism Expens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North Korea; Tour of Mt. Baekdu;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남은경.이승곤(2021), "북한관광의 위험지각에 따른 행동의도 연구: 북한관광의 중요성 인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6): 55~70.
2 신용석.최경은(2019), 「신남북관광협력의 정책방향과 과제」,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 장동석.고계성(2014), "북한관광 재개 및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조사 연구", 「관광연구저널」, 28(7): 75~86.
4 통계청, "개성, 금강산 관광객 수", 2022.7.1. 읽음.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3&tblId=TX_10301_A002&conn_path=%I2.
5 최지영(2012), "시장확산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KDI 북한경제리뷰」, 14(4): 61~76.
6 통계청, "e-나라지표 국민 해외여행객수", 2022.2.16. 읽음.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55.
7 통계청, "인구", 2022.1.24. 읽음.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
8 통일부(2020), "2020년 통일부 주요업무 추진계획", 서울.
9 Choi, J. Y. (2015), "A Study on Estimation of the Input-Output Table for the North Korean Economy", KIEP Seminar of North Korea Research Association. (in Korean)
10 Juster, F. T. (1966), "Consumer Buying Intentions and Purchase Probablility : An Experiment in Survey Design",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1: 689; 박흥수 외(2005)에서 재인용.   DOI
11 Shin, D. C., H. Lee and Y. K. Kim (2014), "The Construction of the Input-Output Table of North Korea and the Linkage Effects of North Korean Industries", Korean Unification Studies, 18(2): 37~65. (in Korean)   DOI
12 문유진(2018), "남북관광의 현황분석과 가능성-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집」, 485~499.
13 김영봉.이승복.김은정.김갑성(2009), "동해연안 남북접경지역에서의 교류협력사업 선정 및 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25(4): 65~82.
14 김흥식(2002), 「육로관광을 통한 남북한 관광협력 활성화방안 : 협력기반의 단계적 구축방안 및 파급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수원: 경기개발연구원.
15 노희경(2021), "북한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33(2): 45~62.
16 문화관광정책연구원(2006), 「관광수요예측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서울: 문화관광정책연구원.
17 박근수(2018), "북한관광의 현황과 남북한 문화관광 협력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과문화」, 94: 231~249.
18 신정화(2010), "북한의 개혁.개방정책의 변화: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4(2): 133~158.
19 배준호.이재형(2018), "한반도관광 활성화를 위한 북한관광 상품 분석: 한국국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10): 459~475.
20 신동천.이혁.김용균(2014), "북한의 산업연관표와 북한산업의 전.후방연관효과", 「통일연구」, 18(2): 37~65.   DOI
21 이해정.강성현(2020), "문헌으로 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 「국가전략」, 26(3): 151~178.
22 채종훈(2015), "남북한금강산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지역연구」, 19(1): 153~174.
23 최지영(2015), "북한 산업연관표의 추정과 활용", KIEP 북한연구회 세미나.
24 통계청, "북한통계 주요지표", 2022.2.16. 읽음. https://kosis.kr/bukhan/nkStats/nkStatsIdctChart.do?menuId=M_01_02&listNm=%EA%B5%AD%EB%AF%BC%EA%B3%84%EC%A0%95.
25 Morrison, D. G. (1979),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43(2) (Spring): 72; 박흥수 외(2005)에서 재인용.   DOI
26 박흥수.하영원.우정(2005), 「신상품마케팅」, 서울: 박영사.
27 남성욱.박현선.이영희.정순원.노병춘.최지영.허지연.신예정(2004), 「개성공단 개발 대비 체계적 개성관광 육성 방안」, 서울: 한국관광공사.
28 한국은행(1999), "금강산관광사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 서울.
29 김형태.채정민.조영아(2016), "북한 천연가스사업과 석탄산업 투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에너지공학」, 25(3): 1~8.   DOI
30 박근영.김근종.송주완(2019), "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통일의식과 북한관광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5(1): 181~192.   DOI
31 송운강.이혜진(2018), "제주도 관광수요 특성과 예측", 「Tourism Research」, 43(4): 111~124.   DOI
32 신금선 (2020.12.11), "北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개장 목표일 8개월 지나도록 '감감'". SPN 서울평양뉴스.
33 신석하.김영준(2018), "남북경협의 직접적 경제효과 분석: 개성공단의 경우", 「사회과학연구」, 44(3): 43~66.   DOI
34 안현영.김미경(2018), "남북한 관광 협력을 위한 관광 ODA 효과에 대한 인식 연구: 관광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관광경영연구」, 22(5): 383~402.
35 윤인주(2015), "김정은 시대 북한의 관광산업 평가 및 전망", 「북한연구학회보」, 19(1): 93~123.
36 장동석(2018), "통일의식과 북한관광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132(9): 111~122.
37 최대식(2019), "삼지연군 건설사업리뷰", 「북한토지주택리뷰」, 3(1): 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