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04/LHIJ.2022.13.2.65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Tenants  

Kwon, Jeongpyo (동의대학교 금융보험.재무부동산학과)
Kang, Jeonggyu (동의대학교 금융보험.재무부동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Land and Housing Review / v.13, no.2, 2022 , pp. 65-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housing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characteristics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households. Using the survey data, we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based on the SPSS Statistics 25.0. Our empirical results show several key features. Firs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Secon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marry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increase household members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show tha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were over 3.4,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Je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re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Firs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 households is important. Second, providing customized housing for young single households could enhanc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Finally, housing pro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suitable space for the lifestyle of young single households.
Keywords
Youth; Sing-Person Households; Tenants; Youth Housing Values; Housing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Decision Tre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윤신영.강순주(2018),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주거가치관 비교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0(2): 449~452.
2 강영환(2021), "청년인구 변화에 미치는 도시어메니티의 영향 연구: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3 국무조정실(2022.5.5.), "청년기본법" 제3조1항.
4 김상호(2015), "수도권 도시특성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5 김진현(2019), "1인가구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6 김진현.김동환(2019), "1인가구 특성이 주거 선호속성과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거정책을 통한 집단의 매개된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7(4): 194~200.
7 민충근(2021), "청년 1인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이민정(2020), "한국 1인가구의 행복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자의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9 임준홍(2021),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주거환경」, 19(1): 21~24.
10 임혜리.김재준.김경훈(2012), "가족생활주기별 주거가치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1): 167~175.
11 정연택(2015), "소형주택 임차인의 주거만족도 및 계속거주의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12 정지은(2015), "수도권 1인가구의 주거이동과 주거입지선택 분석 및 예측",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3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 "임차인", 2022.2.18 읽음.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14 김현우(2020),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수도권 재집 중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삶의 자기결정권 선호와 불안정 속의 안정 선택",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5 반승주(2019), "중고령 1인가구의 주거특성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16 한경원(2006),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Brick, S. and K. A. Johnston (1979), "Housing Satisfaction - The Concept and Evidence from Home Purchase Behavior",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7(6): 338~345.   DOI
18 공영석.강정규(2018), "주택임대관리서비스가 임차인의 만족도 및 재계약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거환경」, 16(4): 344~346.
19 권세연(2013), "1인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 및 주거입지특성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 오수철(2016),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1 이소영(2018), "청년층 임차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2 정병호(2016), "주거특성이 주거의 만족도와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3 통계청(2021),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대전.
24 Weidemann, Sue and J. R. Anderson (1982), "Resident's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Safety: A Basis for Change in Multifamily Housing", Environment and Behavior, 14: 695~72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