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건축도시공간연구소(2014),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정비 등을 위한 실태조사 방법론 연구.
|
2 |
건축도시공간연구소(2014),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정비를 위한 체계 및 제도 기반 연구.
|
3 |
국토교통부(2016),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등의 정비를 위한 정비기본계획.
|
4 |
국토교통부(2017),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정비사업 효율화 등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
5 |
노동언.윤준선(2019), "방치 건축물의 활용 방안: 국내 사례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 전국 대학생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 62-64.
|
6 |
유광흠(2016), "공사중단 장기 방치 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추진방안", 부동산포커스, 95: 104-112.
|
7 |
한국주택학회(2010), 도시내 장기 공사중단 건축물 정비방안 연구.
|
8 |
이재우.이만형.김광주(2012), "미준공 방치건축물 실태분석 및 제도개선 연구", 주거환경, 21: 189-203.
|
9 |
충남연구원(2019), 충청남도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정비계획.
|
10 |
임유경.임현성(2015), "공사중단 건축물 실태조사 추진 및 제도개선 방안", auribrief, 107: 1-12.
|
11 |
국토교통부(2016), 정비기본계획 수립 및 선도사업의 정비모델 개발.
|
12 |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2018),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실태특성을 고려한 정비 활성화 방안.
|
13 |
Noah J.Durst, Peter Ward (2015), "Lot vacancy and property abandonment: colonias and informal subdivisions in Texas", Housing Policy, 15: 377-399.
DOI
|
14 |
Megan Heckert, Jeremy Mennis (2012), "The economic impact of greening urban vacant land: a spatial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SAGE, 44: 3010-3027.
DOI
|
15 |
Lauren Porter, Alaina De Biasi, susanne Nitchell (2018), "Understanding the criminogenic properties of vacant ho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SAGE, 56: 378-411.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