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813/kieae.2013.13.2.131

A Study on the Planning Indicator for Carbon Neutral Green City  

Kim, You-Min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Lee, Joo Hyung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KIEAE Journal / v.13, no.2, 2013 , pp. 131-13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establishing internal indicator list for achieving policy goal of Carbon Neutrality Green City. First of all, it started to construct the basic system of planning indicator based on through comprehension of current studies such as advanced researches, government guidelines an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And then it was set up final indicator list through inspect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Verification of suitability, and Analysis of importanc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lanning indicator divided three steps and there were classified four fields in the top-level; Green Land and Ecology, Green Energy, Green Resource and Transportation, Green Living and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data, it deducted four items (ratio of green land, site plan, heat island and management of climate, base of nature ecology) and twelve index in the field of green land and ecology, three item(energy conservation and self-supporting, energy efficiency, new regeneration energy) and twelve index in the field of green energy and regeneration, five items(water resources utilize and circulation, other resource reduction and circulation, public transportation, green transportation plan) and fifteen index. Totally, Planning Indicators of forty nine were deducted. Therefore, there was the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that the indicators of plan and maintain management as the side of space for carbon neutrality were more appreciated than carbon reduction of individual building.
Keywords
Carbon Neutral; Green City; Planning Indicator; Focus Group Interview(FGI);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상준, 김아현(2009),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 공간구성 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 국토해양부(2012),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 계획 수립지침(훈령)
3 국토연구원(2009), 기후변화에 대비한 도시계획적 대응방안 연구.
4 김소진(2008), 환경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의 설정과 평가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녹색건축인증(2013), 친환경건축물인증(2012)
6 박상헌, 강원발전연구원(2010),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방향, 지방행정, 59권678호, pp.66-69.
7 박천보(2011), 구주지역 에너지 절약형 주거단지의 유형별 특성 고찰, 대한건축학회지, 27권4호, pp.213-221.
8 반영운 외 5인(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 개발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지 318호, pp.3-17.
9 변병설(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신도시 해외사례 및 조성 전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신도시 조성을 위한 세미나(2009-09), pp.3-33.
10 이강식, 이명식,(2009), 탄소중립단지의 계획요소기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이경기(2010), 탄소저감형 신도시 토지이용계획 모델 구축방안, 충북개발연구원.
12 이상문(2012), 탄소중립도시, 조경.
13 이재준, 최석환(200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4권4호, pp.119-131.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오용준(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의 정책과제 및 추진전략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5 지승운(2010), 저탄소 녹색주거단지 설계요소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광섭, 원제무(2009), 지속가능녹색도시 평가지표 및 모형개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광섭, 구자훈, 김상원, 원제무(2009), 부동산개발사업의 투자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62권, pp.85-105.
18 한국토지공사(2009), 저탄소에너지절약형 신도시 조성방안 - 동탄2, 검단신도시를 중심으로
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2), 탄소배출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녹색도시 모델 구상 및 CDM사업 추진방안.
20 한국토지공사(2009),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시범도시 구상.
21 행정안전부(2011), 지역 녹색경쟁력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