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Assessing the Maintenance Categories  

Kim, Chang-Sung (협성대학교 건축공학과)
Kim, Kyung-Ah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Information
KIEAE Journal / v.11, no.5, 2011 , pp. 129-1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any countries have carried out various policies about sustainable building to protect the earth against the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Korea government has also execute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n order to keep the performances of certificated buildings sustainable, the effective building maintenance is quite necessary. Meanwhile, the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have considered the building maintenanc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s to keep the building performance effective. Howeve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GBCC) of Korea has not had the sufficient criteria for the maintenance of green buil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categories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this aim, GBCC was compared with the foreign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LEED, BREEAM and CASBEE.
Keywords
Green Build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Maintenance; LEED; BREEAM; CASBE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동환, LEED 2009와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서의 건물에너지 효율평가 기준에 따른 에너지 절감율과 연간소비량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5
2 국토해양부, 환경부,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 기준, 2010, 5
3 국토해양부, 2011년 1분기 친환경 건축물 인증현황, 2011 Online Available: www.mltm.go.kr
4 김동희 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용도별 인증결과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1
5 김명운 외, 기존건축물의 친환경 인증 기준에 관한 비교 연구- 국내외 건물의 유지관리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9, 11
6 김병선, 건축물 성능 인증제도 현황 및 추진방향, 한국설비기술협회, 설비/공조․냉동․공조, 2010, 7
7 김삼열 외, BREEAM과 LEED를 통해서 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12
8 김상진, LEED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빌딩에너지 절감방안의 구현, 한국설비기술협회지, 2010. 7
9 김창성 외, 국내 친환경 인증 건축물의 사후관리 및 재인증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8. 8
10 박근수, 건축물의 총생애주기 관리 기법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12
11 배시화 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실태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12
12 송승영 외,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심사항목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개선필요 항목 도출, 한국태양에너지학학회논문집, Vol. 28, No. 4, 2008
13 서정규 외, 기존 건물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친환경 인증 기준 분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10
14 이승민 외,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 기준을 이용한 사례 건물의 평가 결과 비교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5, 10
15 이준희 외, 국내 기존 건축물을 위한 친환경 인증제도 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10
16 이현우 외, 해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Vol 1, No 2, 2007
17 정지나 외, 업무용 친환경 건축물 인증 개정 전․후 기준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2
18 최동호 외, LEED 인증을 위한 빌딩 커미셔닝의 역할, 한국 설비기술협회, 설비/공조․냉동․위생, 2010. 7
19 최유진 외, 생애주기를 감안한 저비용 공동주택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 10
20 BREEAM, BRE Environmental & Sustainability Standard, 2008, Online Available: www.breeam.org
21 IBEC, CASBEE Technical Manual, 2008, Online Available: www.ibec.or.jp/CASBEE/english Renovation, 2009, Online Available: www.usgb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