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n Viewpoint and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 Based on the Site of View Management in woomyeon Mountain -  

Song, Byeong-Hwa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Yang, Byoung-E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Lee, Gyeong-Jin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IEAE Journal / v.7, no.5, 2007 , pp. 107-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review the alternative criteria for preserving urban scenic view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methods by selecting preliminary viewpoints to preserve the views of woomyeon mountai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representative urban scenic view by analyzing its viewpoints and landscape preference. For this study, seventeen preliminary viewpoints were selected, the ratio of visual structure was calculated by types of landscapes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landscape preferen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o draw results. Conclusively, various side studies through statistical method for characteristic analysis with preference elements about viewpoint and visual structure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nagement on objective point of view in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landscape planning.
Keywords
Preliminary Viewpoint; Urban Scenic View; Visual Structure; Woomyeon Mountain; Urban landscape Plan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대현, 김대수(1999)도시 소하천 경관의 시각적 선호 이미지와 영향요인.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4) : 9-15
2 박경자.이관규.양병이(2001) 안압지 호안 건물지의 조망 경관구조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9(2) : 14-21
3 부산시(1999) 부산광역시 도시경관 보전계획
4 서울시(1998) 조망가로조성 사업계획
5 임승빈(1995)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6 Department of Planning and Permitting City and County of Honolulu(1999) Land use Ordinance(LUO). Ordinance No.99-12
7 김기호(1996) 게쉬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산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 : 43-57
8 김학범.장동수.김정태(2000) 지방도로 주변 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2) : 89-103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서울시 경관관리방안 연구(I)
10 Corporation of London(2000) City of London Unitary Development Plan Review 2000. supplement guidance
11 임승빈, 오규식, 윤인규, 박창석(1993) 도시 스카이라인 보존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1). 한국조경학회지 21(3) : 77-88
12 김성근, 조우현, 임승빈(1999)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을 통한 농촌 소하천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5(1) : 34-44
13 김세천, 노재현, 박재철, 허준(1996). 마이산도립공원의 조망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 : 74-85
14 고화정, 송병화, 양병이(2006) 조망경관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관악산 whakdeokd으로 한 난곡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6(4) : 3-10
15 김대현(1994) 도시가로 보행자공간의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3) : 29-40
16 양병이(1990) 경관선호도의 인지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7(3), 9-12
17 임승빈.박창석.김성준(1994) 도시스카이라인 보존.관리기법에 관한 연구(2). 한국조경학지, 22(3) : 5-20
18 김포시(1999) 김포시 도시경관 관리방안
19 경기개발연구원(1994), 도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 Stephen R.J. Sheppard(1989) Visual Simulation, Van Nostrsnd Reinhold. New York
21 서울시(2000) 서울의 주요 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22 김용수, 김수봉, 박수미(2000) 경주시 자전거전용도로의 경관만족도 요인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7(5) : 1-11
23 Henry Dreyfuss(1959) The Measure of Meri Human factors in Design. whithner publication, New York
24 서울시(2001) 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25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서울시 경관관리방안 연구(II)
26 채서일(2002)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7 김동식.김태영(1997) 주요조망지점에서 바라본 청주 우암산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학술발표자료집
28 Higuchi, Tadahik(1983) The Visual and Spatial structure of Landscapes. The MIT Press
29 Smardon, R. C., Palmer, J. F., and Felleman, J .P.,(1986) Foundations for Visual Project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