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ausal Map Analysis on the Accelerating Policies for Universities to Adopt NCS-based Educational Programs  

Juhn, Jaeho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v.17, no.3, 2016 , pp. 5-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struct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rapidly since the year 2013. Also, it has pushed 2-year colleges to adopt NCS-based educational programs and public institutions to hire new employees by using NCS. It expects that NCS will deplete the mismatch between the requirements of employers and the abilities of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orrect accelerating policies for universities to adopt NCS-based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primarily the government policies for NCS were analyzed by using causal map. And then, three accelerat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universities to adopt NCS were drawn by using the results of causal map analysis. The thre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NCS should be kept highly. Secondly, the NCS-based hiring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also be standardized. Finally, the authorities of universities should be guaranted whenever they make educational programs.
Keyword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Education; NCS-based Hir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성민.문상호.이숙종. (2016). "청년취업 결정요인에서 본 청년 취업대책 개선책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6권 제2호, pp.187-212.
2 허영주. (2016). "NCS 직업기초능력의 교양교육과정 도입 전략 탐색",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425-462.
3 현대경제연구원. (2016). 청년 고용보조지표의 현황과 개선방안
4 홍성기.고봉연.이정연. (2015). "전문대학 응급구조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83-97.
5 경향신문. (2012). "취업스펙 비용 4269만원 든다". 5월 29일자.
6 경향신문. (2016). "NCS 교육과정 밀어붙이기 '울화통' 터지는 전문대 교수들". 3월 5일자.
7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활용 동향 201608_119호. http://www.ncs.go.kr/ncs/page.do?sk=P3A6_PG37_002>.
8 주간동아. (2016). "또 하나의 스펙이 된 NCS". 1037호. pp.48-49.
9 파이낸셜뉴스. (2016a). "취업불황에 4년제 대학도 NCS교육". 1월 8일자.
10 파이낸셜뉴스. (2016b). "공기업마다 제각각...취준생 울리는 NCS". 7월 28일자. NCS 연혁. .
11 Kis, V. and E. Park. (2012). A Skills beyond School Review of Korea, OECD Review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ECD Publishing.
12 Richardson, G.P. and A.L. Pugh III. (1981). Introduction to System Dynamics Modeling. Portland: Productivity Press.
13 이종찬.박지현. (2015). "대학생 취업에 관한 이론적 접근과 NCS기반 채용의 활용가능성 탐색". 취업진로연구. 제5권 제4호, pp.139-160.
14 전재호. (2016). "NCS 확산정책 인과지도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6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1-15.
15 고용노동부. (2014). 함께 일하는 나라, 행복한 국민 - 2014년도 고용노동부 4대 정책목표.
16 고용노동부. (2015a). 함께 일하는 나라, 행복한 국민을 위한 새로운 고용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시장 구조개선.
17 고용노동부. (2015b). NCS기반 능력중심채용 추진방향과 현황.
18 고용노동부. (2016). 노동시장 개혁과 청년일자리 창출.
19 교육부. (2014). 전문대학 특성화 및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 설명회.
20 교육부. (2016). 2016년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SCK) 기본계획 확정 공고.
21 교육부.고용노동부.대통령직속청년위원회. (2016). 능력중심채용 실천선언 대국민 선포식 보도자료.
22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5). NCS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 개발, 운영 및 평가, 질 관리.
23 권오영.장경식.민준기.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컴퓨터공학 교과과정 개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7권 제1호, pp.67-76.   DOI
24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서울: 대영문화사.
25 김동연.김진수. (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13권 제3호, pp.22-46.
26 김동환. (2001). "정책 평론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2권 제2호, pp.5-23.
27 김동환. (2004). 시스템 사고. 서울: 선학사.
28 김진실. (2014). "호주의 직업교육훈련(VET)체계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직업과 자격연구. 제3권 제1호, pp.105-124.
29 김진실.정형철.김연식.조양래. (2015). "NCS를 활용한 채용시스템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2015년 상반기 공공기관 NCS 채용 성과를 중심으로". 직업과 자격연구. 제4권 제1호, pp.65-84.
30 김창욱.김선빈.김동환.안남성.최남희. (2008). "시스템사고에 입각한 정책설계방안 - 정책 부작용의 예방을 중심으로". 삼성경제연구소.
31 문용호.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전문대학 회계학 교육과정 개편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31-47.
32 박두진.김현덕. (2012).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항만물류분야 재직자의 교육과정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2호, pp.61-74.
33 박용운.김경미.유태완. (2016). "과정이수형 자격제도 운영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 전문대학 사회복지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652-665.
34 박은경.홍성화.오상훈. (2015).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30권 제4호, pp.29-52.
35 백종면.박양근. (2012).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취업진로연구. 제2권 제2호, pp.1-19.
36 손배원.김진실.이기우.김준태. (2010). "영국의 교육훈련 및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기본연구 2010-16.
37 양진연.고계성. (2015). "4년제 대학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관광 산업체 산학협력 담당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40권 제2호, pp.155-178.
38 오은주. (2016). "NCS기반 교육과정 적용 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제6권 제2호, pp.315-324.   DOI
39 고경임.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3권 제8호, pp.69-82.
40 고용노동부. (2013). 함께 일하는 나라, 행복한 국민 - 2013년 고용노동부 국정운영보고.
41 이기성. (2004). "호주의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훈련의 개혁과 시사점: TAFE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연구 2004-9.
42 정향진.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따른 실행과제 및 추진전략". The HRD Review. 제16권 제3호, pp.8-24.
43 이순구.박경연.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전문대학 호텔경영전공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호, pp.97-113.
44 이승.정동열.곽미선. (2013). "NCS 기반 직업교육․훈련모델 운영 모니터링 연구". 직업과 자격 연구. 제2권 제1호, pp.43-66.
45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 주요사업 -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체계. .
46 정동열.김연정.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의 교육과정 개편연구 - S대 비서전공을 중심으로". 직업과 자격 연구. 제3권 제2호, pp.19-42.
47 정재승. (2014). "수출입관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5권 제4호, pp.237-255.
48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13).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제안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49 통계청. (2016). 2016년 7월 고용동향.
50 한국경영자총협회. (2013). 2013년 신입사원 교육․훈련 및 수습사원 관리 현황 조사 결과.
51 한국경영자총협회. (2016).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결과.
5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2016년도 NCS 학습모듈 신규 개발 및 보완 사업기관 공개 모집 공고. 직능원 공고 제2016-0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