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cusing on Busan Area  

Ju, Dong-Be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23, no.2, 2011 , pp. 277-28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establish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is ther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s there any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276 fifth graders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in Busan were administrated self-control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es were separately performed on total and subscale scores.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elf-control, self-efficacy including two subscales,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cluding five subscales. Second,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life adjustment and five subscales. Finally,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cluding five subscales. And discussions on the results were presented.
Keywords
Self-control; Self-efficacy; School life adjustment; Elementary school stud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순(2009). 초등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조절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두성. 민수홍(1996). 개인의 자기통제력이 범죄 억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 김병찬(1995).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5 김아영.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6 김용래.유효현(2002).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인문과학지, 10권.
7 김의철.박영신(1999). 한국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8 김의철.박영신.곽금주(1998).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 79-101.
9 김현숙(1998).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 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김효기(2002). 스트레스, 대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귀국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류태자(2001). 자기관리훈련이 시험 불안감소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목점선(2004).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애착.학교생활 적응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문진희(2007). 초.중학생의 학교중도 탈락의도에 대한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 부적응의 인과적 관련성,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민수홍(2005). 낮은 자기통제력의 결과로서의 청소년 비행과 학교에서의 징계 경험, 청소년학연구, 12(2), 1-25.
15 박현영.강승의(201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 학교생활적응 행동,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구조.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43-55.
16 백혜정(2007). 자아통제, 자기신뢰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357-373.
17 윤성민(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화.정혜영(2007).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통제소재와 학교적응의 구조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8-18.
19 이장희(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기대감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지민(2009).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구조,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5), 1021-1033.
21 이희영.하경선(2010).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및 부모의 애착이 중학생의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05-217.
22 임동난(1998).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장성순(2006).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미숙(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아동간의 의사소통수준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정혜연(2009).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체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주현정(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차유미(2009).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하창순.김지현.최희철.유현실(2006).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7(1), 181-200.
2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0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s: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1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6), 1173-1182.
32 Gottfredson, M. R., & Hirschi, T.(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Grasmick, H. G., Tittle, C. R., Bursik, R. J., & Arneklev B. J.(1993). Testing the core.
34 Kagan, J.(1984). The nature of the child, NY: Basic Books.
35 Patterson, C. J., & Mischel, W.(1975). Plans to resist dist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6 Kendall, P., & Wilcox, L.(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1020-1029.
37 Lazarus, R. S.(1969). Patterns of adjustment and human effectiveness, NY: MacGraw Hill.
38 Normandeau, S., & Guay, F.(1998). Preschool behavior and first grade school achievement: The mediational role of cognitive self-contr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0(1), 111-121.
39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