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s  

GIM, Chae-Chun (Yeungnam University)
PARK, So-Yo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v.16, no.1, 2004 , pp. 69-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seems to take more important status than that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of the high school increased from 60 different subjects for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o 79 different subjects fo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students can make their own courses and have a right to choose the subjects. In order to ascertain how elective subjects are being implemented and whether students can choose the subjects they wish to learn, this study conducted a nationa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Despite the emphasi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elective subjects in academic high schools,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lective subjects seems to be unacceptable. In most schools, only two typical courses such as humanities/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courses are being offered for students as elective courses, and the scope of elective subjects students can choose appears very narrow. That's why we need to do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elective subjects.
Keywords
elective curriculu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high school curricul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공주고등학교,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에 관한 연구, 1998
2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총론-(1954-1997),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3 김인식・최병옥 외,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개발, 경상남도 교육청 정책연구과제, 2000
4 소경희,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생 선택권'의 의미와 구현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0(4), pp.87-106, 2002
5 홍후조.박순경.김성숙.소경희.김진숙,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6 김삼곤․주수동․김성재, 제 7차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구성 방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0권 2호, pp.115-128, 1998
7 교육인적자원부,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Ⅳ), 2002a
8 부산부흥고등학교, 부산부흥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시범 운영 모형, 2000
9 홍후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상의 이해와 오해-학교간 교육 프로그램의 역할 분담과 학생의 전략적 배치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19(1), pp.197-229, 2001
10 김재춘․박소영․김병주,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Ⅱ), 2003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위탁 교육과정 후속지원 연구과제 답신보고, 2003
11 강원도계고등학교, 강원도계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2000
12 류방란․박상철, 제7차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분석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연구본부 기본과제 심의본, 2003
13 허경철・박순경・이화진・소경희・유승연,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2-1
14 강화여자종합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생 교과목 선택제 이수모형 연구, 2000
15 양재고등학교,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실험 연구, 1997
16 주문진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시행을 위한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2000
17 김재춘․박소영․이상신․이상승・길만철,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적용방안 연구, 2001년도 교육과정 후속지원 연구과제 답신보고, 2001
18 장유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연구, 2003
19 강영석,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5(1), pp.1-19, 2002
20 양운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2002
21 김삼곤,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각론 개정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2권 1호, pp. 83-97, 2000
22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 적용실태 조사결과, 2002b
23 김수천 외, 강원도 일반계 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방안,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2001
24 연수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 방안, 2001
25 강현석, 제7차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균형적인 학습기회체제 설계모형 개발, 교육학연구, 41(1), pp.195-224, 2003
26 황희숙, 정보화 사화의 교육 패러다임으로서의 구성주의(본질과 교육적 적용), 수산해양교육연구 제10권 1회, pp.110-125,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