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3093/FSI.2019.52.2.188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approval of the new technology-based food additives  

Rhee, Jin-Kyu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ood Science and Industry / v.52, no.2, 2019 , pp. 188-20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past, food additives were classified and managed as chemical synthetic and natural additive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purpose or function of food additives.CODEX, an internationalstandard, classifies food additives according to their practical us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on the technical effects of food additives, instead of classifying them as synthetic or natural. Therefore, very recently, the food additive standards in Korea have been completely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se global trends. Currentl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food additives is divided into 31 uses to specify their functions and purposes instead of manufacturing methods. Newer revision of the legislative framework for defining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Act as an enlarged area is required. Competition for preempting new food products based on bio-based technology is very fierce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of domestic people and maximize the economic profit of their own countries. In this age of infinite competition, it is very urgent to revise or supplement the current regulations in order to revitalize the domestic food industry and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food additives using new biotechnology. In this report, current laws on domestic food ingredients, food additives and manufacturing methods, and a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countries' regulations and countermeasures strategies were reviewed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advanced biotechnology-based food additives industry.
Keywords
food additives; approval; new techn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Burdock, GA, 2002. Regulation of flavor ingredients. In: Kotsonis, FA, Mackey, M (Eds.), Nutritional Toxicol., second ed. Taylor and Francis, New York, pp. 316-319.
2 Burdock GA, Carabin IG.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history and description. Toxicol. Letters 150(1):3-18 (2004)   DOI
3 Global market insights, Inc. Food Additives Market Report 2018-2024 - Industry Size, Growth Analysis (2018)
4 국가법령정보센터. 식품위생법,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2018)
5 국가법령정보센터. 식품위생법 (2019)
6 농림축산식품부. 주요 수출대상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조사 (유럽연합편) (2017)
7 농림축산식품부. 글로벌 노블푸드(Novel Food) 정책동향 조사 (2018)
8 문건하. 산업용 LMO 동향. 바이오세이프티. 16(4-64) (2015)
9 백형희. 재미있는 식품첨가물. 수학사 (2016)
10 (사)한국식품안전연구원. EU 식품법의 이해 (2015)
11 식품안전정보원. 국내외 식품 등 기준규격 비교연구 - 국외 기준 규격 정보 제공 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2015)
12 식품안전정보원. 미국 식품첨가물 제도 및 최신 현황 (2016)
13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첨가물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 (2003)
14 Kim S-B. Contained Use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s for Food Ingredients. 경북대학교 (2014)
15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실질적 동등성 개념과 평가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2003)
16 식품의약품안전처. 제외국 신소재식품 인정 제도 및 현황 (2013)
17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원료의 한시적 기준.규격 인정 제도의 이해 (2014)
18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기획관: 식품 등 기준설정 원칙 (2017)
19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첨가물 분류체계, 이렇게 달라집니다 (2018)
20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동향 및 지원방안 연구 (2019)
21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 중 식품첨가물 분석법 (2014)
22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새로운 원료.기술 이용 식품의 안전성 평가방법 개선 연구 (2016)
23 유일재. FDA 인정 식품첨가 안전 물질 (GRAS) Kosen 분석리포트 (2004)
24 통계청. 식품및식품첨가물생산실적 통계정보 보고서 (2017a)
25 이상영. 바이오테크놀로지 이용 바람직 식품 첨가물. 특집: '90년대 식품산업의 발전방향. 食品工業. 103(15): 56-71 (1990)
26 최낙언. 진짜 식품첨가물 이야기. 예문당 (2013)
27 통계청. 식품및식품첨가물생산실적 통계정보 보고서 (2016)
28 통계청.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주요 통계 (2017 b)
29 하승빈. III. 일본, 국내.외 규제동향지 (2016)
30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건강기능식품 제외국 수출가이드 - 유럽 (2011)
31 한국과학기술 한림원, 효소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 정책에 관한 연구 (2010)
3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요수출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조사 - 미국 편, 식품산업통계정보 (2017a)
33 외국법제동향. EU의 식품첨가물에 관한 통합규칙 (2013)
34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요수출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조사 - 중국 편, 식품산업통계정보 (2017 b)
35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요수출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조사 - 유럽연합 편, 식품산업통계정보 (2017 c)
36 한국산업마켓팅연구소. 2017 바이오산업 분야별 시장동향과 유망기술 개발전략 (2017)
37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유전자변형 작물유래 식품의 안전성평가 (2002)
38 한국법제연구원. 신소재 식품 개발 및 안전관리를 위한 글로벌 법제현안 분석연구 (2015)
3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논란 및 안전관리를 위한 정책 제언 (2008)
4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전략 (2015)
4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산공정이용 산업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 평가기준 개발연구 (2017)
4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LMO 안전성평가 및 심사 (2009)
4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LMO 위해성 관련 규제제도 비교. (2010)
4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용 LMO 생산공정이용 안전관리 및 위해성심사 표준매뉴얼 (2014)
4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별 LMO 동향 : 미국 2018. KBCH 동향보고서 (2018a)
4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별 LMO 동향 : 유럽연합(EU) 2018. KBCH 동향보고서 (2018b)
47 한국생명공학회. 산업용 생산공정이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관리지침 개발연구 (2017)
48 財団法人バイオインダストリー協会. 遺伝子組換え生物等の使用等の規制による生物の多様性の確保に関する法律(カルタヘナ法)の解説(第二版). 平成18 年8 月 改訂 (2006)
49 Novel food. Available from https://ec.europa.eu/food/safety/novel_food. Accessed Apr. 25, 2019.
50 遺伝子組換え食品(種子植物)の安全性評価基準 Available from:http://www.fsc.go.jp/senmon/idensi/gm_kijun.pdf. Accessed Apr. 2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