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rrentor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in the comrrercial sports centerz  

Lee, Jin-Suk (Dankook Univ.)
Choi, Jong-Jin (Dankook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v.47, no.3, 2008 , pp. 227-2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nn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1-18   DOI
2 Bagozzi, R. B., & Dholakia, U. M. (2002). Intentional socal action in virtual communiti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6(2), 2-21
3 Dreher, G. F., & Ash, R. A. (1990). A comparative study of mentoring among men and women in managerial, professional, and technical posi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 539-46   DOI
4 Eby, L., Freeman, D., Rush, M., & Lance, C. (1999). Motivational bases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nnitment: A partial test of an integrative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2, 463-468   DOI
5 Jamal, M. (1990).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type -A behavior to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somatic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motivation. Human Relations, 43, 727-738   DOI
6 Kang. J. (2002). A structural model of image-based and utilitarian decision-making processes for participant sport consumptio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6(3), 173-189   DOI
7 Kram, D. E., & Hall, D. T. (1989). Mentoring as an antidote to stress during corporate trauma. Human Resource Management, 24, 493-510
8 Kram, K. E. (1983). Phase of the mentoring relations 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608-25   DOI   ScienceOn
9 Mobley, W. H. (1977).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2), 237-240   DOI
10 Mowday, R. T., Porter, R. W., & Steers, R. M. (1982). Employee Organization Linkag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1 Nunnally, J. (1978). Psychometric methods (3th eds.). NY: McGraw-Hill Book
12 Scandura, T. A., & Viator, R. E. (1994), Mentoring in public accounting firms: An analysis of mentor-protege relationships, mentorship functions and protege turnover intention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19, 717-734   DOI   ScienceOn
13 Waterman, R. H., Waterman, J. A., & Collard, B. A. (1994). Toward a career-resilient workforce. Harvard Business Review, July-August, 87-95
14 Wilson, J. A., & Elman. S. (1990). Organizational benefits of mentoring.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4(4), 88-94
15 권혁수(2002).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 실적과 성과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16 김민선(2004). 멘토링이 멘터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대 패션전문대학원
17 김민선(2004). 멘토링이 멘터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덕여대 패션전문대학원
18 김정묵, 정동균(2006). 스포츠 조직구성원의 직업의식과 조직동일시 및 조직역량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5(2), 101-112
19 김태근(2002). 스포츠조직체의 조직풍토 및 조직내 역할지각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 박진경(2001). 스포츠센터 구성원의 지식지수와 조직유효성의 관계. 스포츠사회학회지, 15(1), 1-14
21 송원규(1999). 조직사회화 전략으로서 멘토제도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2 이기훈(2002). 멘티-멘티간 관계 다양성과 멘토링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3 이도조(2004).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사기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4 이병관(2005). 스포츠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이 이직의도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3), 585-594
25 이순묵(1990). 공변량구조분석. 서울: 성원사
26 이종근(2002). 골프지도자의 직업몰입 결정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7 최민우(2006). 멘토링과 조직몰입 관계에 있어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8 최창현(1991). 조직구조, 권위주의에 대한 태도, 직무 만족도와 조직몰입도와의 관계에 대한 경로. 분석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25(2), 515-532
29 Adams, J. S.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in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30 Decker, P. J., & Nathan, B. R. (1975). Behavior Modeling Training. New York: Praeger
31 Manning. M. R., Jackson, C. N., Fusilier, M. R. (1996). Occupational stress and health care us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100-109   DOI   ScienceOn
32 윤종갑(2000). 멘토 관계 형생이 공무원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33 Bateman, J. S., & Strasser, S. (1984).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nteced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 95-112   DOI   ScienceOn
34 곽용수(2007). 지동차보상직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35 서균석, 박동진, 김태형, 김부희(2003). 개인과 조직의 경력관리가 경력만족, 경력전망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2(6), 1715-1739
36 유병남, 김태근(2002). 지식경영시대의 전략적 인적관리. 경영경제연구, 7, 46-72
37 Hoppock, R. (1953).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and Pow
38 한영섭, 이성순(2007). 멘토의 경력개발기능과 프로티제의 직무만족 및 경력만족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변인으로서 역할모델링의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13(1), 221-241
39 한진수(2005). 호텔 기업의 내부마케팅활동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14(3), 191-213
40 Scandura, T. A. (1992), Mentorship and career mobil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3, 169-174   DOI   ScienceOn
41 Motoxidlo, S. J., Packard, J. S., & Manning. M R. (1986). Occupational stress: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618-629   DOI
42 Burke, R. (1984), Mentors in organizations. Group and Organization Studies, 9, 353-372   DOI
4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4 이현정(2006). 멘토링과 핵심인재의 직무몰입 및 조직몰업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45 정미향(2004). 호텔조직에 있어서 멘토링 관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46 Blau, G. (1989). Testing the generality of a concept a career commitment measure and its impact on employee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 53-57
47 Porter, L. W. & Steers, R. M. (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 151-176   DOI
48 윤경원(2003). 산업체 상담원의 역할갈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마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49 Ginzberg. M. J., & Baroudi, J. J. (1988). Mis career: A theoretical perspective. communications. ACM, 31(5), 586-594   DOI   ScienceOn
50 Greenhaus, J. H , Parasuraman, S., Wormley, E. M. (1990).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 job performance evaluation and career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1), 478-493   DOI   ScienceOn
51 Gould, S. B. (1975).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mmitment in two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Lansing
52 이상익(2005). 조직문화 차이가 멘토링 효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53 정윤길(2002).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성과에 대한 역할스트레스와 멘토링의 역할. 한국지방자치학회, 14(3), 85-103
54 Davis, R. C. (1951). The Fundamentals of Top Mansgemen. New York Harper and Pow
55 Mathieu, J. E., & Zajac, D. M. (1990).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correlates,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08
56 김세웅, 장경로(2006). 대학스포츠 선수들의 멘토링 경험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391-400
57 박영진(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58 Noe, R. A. (1988). Woman and montoring: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1), 65-78   DOI
59 White, B. (1995). The career development of successful women. Women in Management Review, 10(3), 4-15
60 Forest, M E (1994), Thingking of a plant in mexico? Academy Management Executive, 8(1), 33-40
61 Williams, L. J., & Hazer, J. T. (1986).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and commitment in turnover models: A reanalysis using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219-231   DOI
62 이준희, 조현민(2006). 스포츠시설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5(1), 485-494
63 김경민(2003). 기업내 구조화된 멘토령이 신업사원의 조직사회화 및 학습조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64 이상호, 이만기(2006). 멘토역량과 멘토링기능에 관한 모델연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9(1), 229-264
65 윤병학(2002). 멘토제도가 병사의 군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66 이병관, 조병섭(2005). 스포츠시설 경영의 인적관리시스템에 대한 조직공정성 차원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5, 117-187
67 김우식(2005). 지방정부조직에서 멘터의 멘토관계 구조 및 경험과 멘토링 효과. 한국행정학회지, 15(4), 75-96
68 나상균(2002). 멘토관계가 서비스운영 방법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69 Meyer, J. P., Pauroren S., Cellaty, I., Goffin, R., & Jackson, D. (1989).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
70 Morrison, K. (1997). How franchise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affect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franchiser relations, and intention to remai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5, 36-67
71 Wright, P. M., & McMahan, G. C. (1992). Theoretical perspective for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18(2), 295-320   DOI
72 Harrison, J., & Hubbard, R. (1998). Anteceden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Mexican employees off a US firm in mexico.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8, 609-623   DOI   ScienceOn
73 Lankayu, M. J., & Chung. B. G. (1998). Mentoring for line-level employees.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14-19
74 Truss, C, & Gratton, L. (1994). resource management: A conceptual approach.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5, 663-686   DOI   ScienceOn
75 김경식(2006). 공공스포츠시설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5(6), 145-155
76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77   DOI
77 박태수(2007) 스포츠조직의 멘토링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78 김기원, 김승아(1996). 징애인근로자와 정상인근로자의 이직요인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9, 42-67
79 황영호(2006). 공공부문 조직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정보연구, 9(2), 95-118
80 강영욱(2007). 호텔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 간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21(1), 339-357
81 전태준(2006). 사회체육지도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유효성에 마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82 조성종(2003). 서비스와 인간 행동론. 두님출판사: 서울
83 최해수(2005). 개인과 조직의 경력관리가 호텔직원의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84 Challagalla, G. N., & Shervani, T. A. (1996). Dimensions and types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1), 89-105   DOI   ScienceOn
85 박성계(2000). 스포츠센터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1), 716-726
86 박진경(1995). 스포츠 조직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행동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7 김용수(2006). 멘토링과 조직적응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88 김용호(2006). 스포츠조직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89 김현국(2002).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90 Wentling. R. M. (1996). A study of the career development and aspiration of women in middle manage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7(1), 253-270   DOI   ScienceOn
91 Locke, E., & Latham, G. (1990).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unnel. Psychological Science, 1(4), 240-246   DOI
92 Summers, T., & Hendrix, W. (1991). Modeling the role of pay equity perception: A field study.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4, 145-157   DOI
93 전호문, 하지원(2002). 상업스포츠센터의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별 스포츠마케팅믹스 전략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1(3), 301-315
94 김명언, 이현정(1992). 조직공정성: 평가기준과 지각된 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 봉급 만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6(2), 11-28
95 김상범(2004). 호텔종사원의 임금만족도가 조직후원 인식과 임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96 김호주(2004). 멘토링을 통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능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 교육대학원
97 김계수(2001). AMOS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고려정보산업
98 이병관(2003). 스포츠시설 종사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 및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99 박영진(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00 송경수, 최만기, 박봉규(1999).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매개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7(2), 139-189
101 김태진, 박영준(2003). 아동복지시설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24, 57-90
102 Hunt, D., & Michael, C. (1983). Mentorship: A career training and development too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 475-485   DOI
103 March, J. G., & Simon, H. A. (1958). Organiz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04 Mathieu, J. E., & Hamel, K. A. (1989). A causal model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4, 299-317   DOI
105 Dirsmith, M. W., & Covaleski, M A. (1985). Informal communications, nonformal communications and mentoring in public accounting firms. Accounting. Organizations and Society, 10(2), 149-169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