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천정웅, 전경숙 등(2017). 청소년의 문제와 보호 적극적 관점, 서울: 양성원.
|
2 |
강한철, 오종철(2014). 컨택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자기효능감, 이직의도간의 관계 연구: 슈퍼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연구, Vol. 21. No. 6.
|
3 |
교육부 보도자료(2021.9.7). 2021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결과 발표. <검색일자 2022. 5. 25>. https://www.moe.go.kr/boardcnts/
|
4 |
Freud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DOI
|
5 |
윤아랑, 정남운(2011). 상담자 소진: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31-256.
|
6 |
국민안전처(행정자치부) 긴급.비긴급전화통합. 110민원 콜서비스 <검색일자 2020. 2. 15> https://www.mois.go.kr/srch.jsp?query=%EA%B5%AD%EB%AF%BC%EC%95%88%EC%.A0%84%EC%B2%98&x=0&y=0
|
7 |
남유신(2014). 고객의 언어폭력이 컨택센타 상담사의 분노, 소진,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Vol. 39. No. 2.
|
8 |
차은미(2014).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상담자의 소진 체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9 |
이자영, 정경은, 하정희(2018). 청소년 문제와 보호, 서울: 학지사.
|
10 |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99-113.
DOI
|
11 |
이아람(2019). 상담사-내담자 계약관계에서 상담사의 정보제공의무. 고려대 대학교육개발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1). 303-324.
DOI
|
12 |
경찰청(2018). 청소년업무 통합 매뉴얼. <검색일자 2019. 2. 15>. 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29&q_bbscttSn=1B000003295840000
|
13 |
교육부 보도자료(2019.8.27).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결과 발표. <검색일자 2022. 5. 22>. https://www.moe.go.kr/boardcnts/
|
14 |
이호찬(2019). 중고차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15 |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6 |
김원순(2017).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구 조모형.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7 |
Miller, Zook & Ellis(1989). Ocupational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on Stress and Burnout in the workplace,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
18 |
Cordes & Dougherty(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19 |
Edelwich, J. & Broadsky, A. (1980).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
20 |
미국 대국민 여론조사, 아시아 경제, '헷갈리는 신고센터 2~3개로 통합된다(2014. 12. 10). <검색일자 2020. 2. 15> https://www.asiae.co.kr/article/
|
21 |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48-71.
|
22 |
홍선영(2020). 고객상담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교육학회, Vol. 40. No. 1.
|
23 |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Burnout prevention and self 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New York, Routledge,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