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수민 외 (201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 27(4), 236-266.
|
2 |
김경희, 윤행란 (2015).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과정에 나타난 놀이주제 분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4(2), 5-22.
|
3 |
김미영 (2009). 경증 지적장애 시설아동의 자기주장 기술 향상을 위한 치료놀이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4 |
김세영 (2017). 적대적 반항장애를 통반한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 단계에서의 놀이주제 변화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8(4), 103-115.
DOI
|
5 |
충동성과 공격성으로 인해 또래관계가 어려운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9(3), 1245-1266.
DOI
|
6 |
박윤정 (2017).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ADHD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5(1), 65-116.
|
7 |
성나겸, 박성옥 (2021). ADHD로 진단된 자녀를 둔 부모의 ADHD 성향과 부모, 자녀의 심리적 특성.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14(1), 31-53.
|
8 |
이형민 (2017). 어머니의 누적적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의 관계에서 온정적 양육방식과 일상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2), 149-164.
DOI
|
9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 Washington: APA Publishing.
|
10 |
Wu, Y. Y., Chiu, Y. N., & Soong, W. T. (1995). Play therapy for a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disorder. Chinese Counselling, 18 (2), 194-200.
|
11 |
Landreth, G. L.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relationship(3rd ed). New York: Routledge.
|
12 |
윤진영 (2018). 분노조절 문제를 동반한 ADHD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발달지원연구, 7(2), 39-56.
DOI
|
13 |
정옥분 (2015).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
14 |
조현승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수정 프로그램의 효과. 놀이치료연구, 8(1), 95-116.
|
15 |
Kazdin, A. E., Siegel, T. C., & Bass, D. (1990). Drawing on clinical practice to inform research on child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Survey of practitioner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1(3), 189-198.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