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행정안전부 홈피(2020). 2018 고령자 통계.
|
2 |
보건복지부(2018). 제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18-'22).
|
3 |
노재철.고준기(2013).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3 No.1 : 257-268.
DOI
|
4 |
권혁철(2019). "빈곤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과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 |
전지형(2019). "독거노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 |
김형기(2019). "독거노인에게 제공되는 돌봄 기본서비스 질과 삶의 만족도간 관계 : 죽음불안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7 |
통계청(2019a).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
8 |
통계청(2019b). 장래가구특별추계: 2017-2047.
|
9 |
박명숙.남영신(2010). "사회, 문화, 기타 영역: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7권 제1호(통권 제16호) : 301-318.
|
10 |
박용근(2012).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통권 제35집 : 163-195.
|
11 |
이도희(2019). "한.일 노인복지법의 비교법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9 No.3 : 429-440.
DOI
|
12 |
김정순(2004). "일본의 노인복지법제". 고령사회법제.6.
|
13 |
김태환.고준기(2013).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 관련법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과제". 법헉연구. 통권 16권 제1호 : 167-198.
|
14 |
조창완(2019). "노인돌봄기본서비스가 독거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증평군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5 |
안혜림(2020). "독거노인의 일상생활과 생태체계 에 대한 질적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6 |
김경수(2020). "독거노인들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7 |
노재철.고준기(2017). "노인일자리사업의 입법론적 검토". 법학논총Vol.41 No.1 : 465-490.
DOI
|
18 |
박종란 외(2020). 노인복지론. 서울: 교학도서.
|
19 |
통계청(2019c).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
20 |
안영재(2008).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발전방안에 대한 비교연구: 영국.미국.일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