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1186/IPR.2020.5.3.073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nalytical Psychology  

Lee, Chuck-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OSEO University)
Noh, Jae-Chul (HOSEO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v.5, no.3, 2020 , pp. 73-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General Support for Living Alone Elderl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8. Results, First,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meets the most basic daily life needs, and a specific plan and a support system to link services should be prepa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Solving proble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preceded by social interest in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network. Third, it proposes legislation and amendm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ome revisions of existing laws have limitations, and are resolved through individual laws, such as standards and definitions for various types of elderly jobs, reorganiz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cluding agencies dedicated to elderly jobs, workers-related regulations, and preferential purchase systems for senior products. It is desirable to do. In conclusion, welfare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personalized car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rst, and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should be promoted on the basis of increasing social interest, and laws and revisions must be actively and proactively mad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Keywords
Elderly Living Alone; Welfare for The Elderly; Care Service; Social Interest; Work for The Elderl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행정안전부 홈피(2020). 2018 고령자 통계.
2 보건복지부(2018). 제2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18-'22).
3 노재철.고준기(2013).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점과 법제도적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3 No.1 : 257-268.   DOI
4 권혁철(2019). "빈곤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과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전지형(2019). "독거노인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형기(2019). "독거노인에게 제공되는 돌봄 기본서비스 질과 삶의 만족도간 관계 : 죽음불안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통계청(2019a).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8 통계청(2019b). 장래가구특별추계: 2017-2047.
9 박명숙.남영신(2010). "사회, 문화, 기타 영역: 한국과 일본의 노인복지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라시아연구. 제7권 제1호(통권 제16호) : 301-318.
10 박용근(2012). "독일과 일본의 노인복지법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 통권 제35집 : 163-195.
11 이도희(2019). "한.일 노인복지법의 비교법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Vol.19 No.3 : 429-440.   DOI
12 김정순(2004). "일본의 노인복지법제". 고령사회법제.6.
13 김태환.고준기(2013).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 관련법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과제". 법헉연구. 통권 16권 제1호 : 167-198.
14 조창완(2019). "노인돌봄기본서비스가 독거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증평군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혜림(2020). "독거노인의 일상생활과 생태체계 에 대한 질적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경수(2020). "독거노인들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노재철.고준기(2017). "노인일자리사업의 입법론적 검토". 법학논총Vol.41 No.1 : 465-490.   DOI
18 박종란 외(2020). 노인복지론. 서울: 교학도서.
19 통계청(2019c).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20 안영재(2008).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발전방안에 대한 비교연구: 영국.미국.일본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