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기승(2016), 과학명리, 서울: 다산글방.
|
2 |
김기승, 나혁진(2017), 명리학사, 다산글방.
|
3 |
마셔 무어, 마크 더글러스, 유기천 편역,행성궁 점성학, 정신세계사.
|
4 |
박석재(2003), 해와 달과 별이 뜨고지는 원리, 성우.
|
5 |
유기천 편저(2011), 점성학이란 무엇인가, 정신세계사.
|
6 |
알랭 시루, 레일라 아다. 전세철 옮김(2005), 지구와 우주, 베텔스만.
|
7 |
야노미치오, 전용훈 옮김(2010),밀교점성술과 수요 경, 동국대학교출판부.
|
8 |
손영달(2019), 별자리서당, 북드라망.
|
9 |
조만섭(2012), 출생차트 해석을 위한 정통점성학, 에세이 퍼블리싱.
|
10 |
조만섭.김기승(2018), 점성학과 명리학의 연관성, 동양명리연구, 과학명리학술지, 2018년, 제3호, p. 106.
|
11 |
쟝샤오위앤, 홍상훈 옮김(2008), 별과 우주의 문화사, 바다출판사.
|
12 |
유기천편저(2015), 인간의점성학1, 정신세계사
|
13 |
야마다 히로시, 윤대영 옮김(2016), 신화와 전설로 이해하는 별자리 여행, 새터.
|
14 |
황원철(2017), 인도점성학, 부크크.
|
15 |
황원철(2020), 낙샤트라, KP시스템 이론과 적용, 부크크,
|
16 |
Benson Bobrick 저, 이상근 역(2006), Astrology in History 점성술로 되짚어보는 세계사, 까치글방.
|
17 |
Ernst Wilhelm, 베스림(Beth Lim) 역(2016), 하늘의 금괴, 북랩.
|
18 |
James Herschel Holden, M.A(2013), A History of Horoscopic Astrology, American Federation of Astrologers, Inc. USA.
|
19 |
Manjuath Sharma(2018), Jyotish and Karma, Manjuath Sharma. USA.
|
20 |
Sandaj Rath(2010), Brihat Naksatra, Rama, India
|
21 |
Vivian Robson(2005), The Fixed Star & Constellations in astrology, Astrology Clas. USA.
|
22 |
張果(2013), 果老星宗下, 陝西師范大學出版社, 中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