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명현, "개인정보보호 수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정보보호 협동과정, 2011.08.
|
2 |
김영렬, "개인정보보호의식 측정 척도의 개발과 개인정보 중요성에 관한 인지도 조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 15권 제 5호, 2010.12.
|
3 |
김소정, "한국의 프라이버시보호정책개선 방안연구 -공공영역의 프라이버시영향평가 도입을 중심으로",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4 |
김지원,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제도",한국인터넷진흥원(정보통신서비스 개인정보보호 워크숍자료), 2009.11.
|
5 |
김희완, 유재성, 김동수, "정보시스템 감리에서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1권 제3호, 201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
6 |
박순기, "이동통신사를 위한 개인정보영향평가 (PIA)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 국제정보대학원, 2006.
|
7 |
송익준, "AHP기법을 이용한 개인정보영향평가 점검 항목별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06.
|
8 |
안태희,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개인정보의식에 관한 Measurement개발과 개인정보에 관한 의식 조사",한국산업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1,05.
|
9 |
장호익, "개인정보영향평가에 관한 법제연구", 숭실대 박사학위논문, 2011.06.
|
10 |
정연수, 안준모, 권선경, "개인정보사전영향평가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1)", 한국인터넷진흥원, 2003.
|
11 |
주경식, "개인정보보호법제에 관한 연구-개인정보 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 학위, 2008.
|
12 |
최재용, "국가정보공유를 위한 개인정보영향평가 모델의 실증적 연구", 숭실대 대학원 박사학위, 2011.12, 1p.
|
13 |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안내서", 2011.12.
|
14 |
British Standard BS10012:2009 Data protection-Specification fo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15 |
Cooper, Tom, "Impact of Privacy and Confidentiality on Valu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Analysis. 2010
|
16 |
Frank White, "The Use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in Canada", Privacy files, 2001.
|
17 |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OMB Guidance for Implementing the Privacy Provisions of the E-Government Act of 2002(M-03-22)
|
18 |
Stewart Blair, "Privacy Impact Assessment", Privacy Law & Policy Reporter, July 19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