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3778/kcsa.2019.19.2.147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ms Control Approach Method toward North Korea in between the Past and the Moon Government  

Lee, Pyo-Kyu (단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해병대군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 appropriate arms control measur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ormer proposals and agreements in the past and the current Moon Government's approach representing the 9.19 military agreement. For this, I established the most appropriate framework for analysis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rms control theories. The policies of the past governments and of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 are analyzed. The most highlighted characteristic was that the arms control policies were projected by not from the military confidence, but political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or both concurrently. In conclusion, I suggested the strategies of projecting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and arms control or disarmament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the peace settlement. Nonetheless,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policies of arms control and unification should be pushed ahead complementally.
Keywords
9/19 agreement; Disarmament; unification policy;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the foreign policy of Moon govern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Larsen, Jeffrey A (ed.), 'An Introduction to Arms Control: Cooperative Security in a Changing Environment', Lynne Rienner Publisher, 2001.
2 이규열, "남북한 간 실질적 군비통제 방안," 전략연구, 7월호, p. 135, 1999.
3 Davis, Paul K,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Operational Arms Control in Europe Region," The Rand Corporation R-3704-USDP, p. 1, November 1988.
4 김경수, '비확산과 국제정치', 법문사, 2004.
5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 2018', 2018. p. 214.
6 RAND Strategy Assessment Center, "A Conceptual Framework for Operational Arms Control in Central Europe," RAND RESEARCH BRIEF-7802, pp. 1-4, June 1989.
7 Tulliu, Steve and Schmalberger Thomas, 'Coming to Terms with Security', UN Geneva, 2003.
8 Tulliu, Steve & Schmalberger Thomas, 2003.
9 김재홍, "한국의 통일.대북정책 전개와 남북군비통제 모색," 한반도 군비통제 제55집, 12월호, pp. 7-25, 2014.
10 통일부, '2002 통일백서', 2002.
11 김재홍(2014), p. 14.
12 이규열(1999), pp. 161-164.
13 국방부, '국방백서 2008', 2008.
14 통일원, '남북한 군축제의 관련 자료집', 통일원 남북대화 사무국, 1994.
15 류제승, "[시론] 그래도 남북한 힘의 균형은 유지되어 한다," 중앙일보, 2018년 10월 2일.
16 정경영,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의 오해와 진실," 정세와 정책 제12호, pp. 1-6, 2018. 10. 11.
17 국방부 대북정책관실, "판문점 선언을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 해설자료," 2018.
18 윤상호, "예비역 장성 450명 '남북군사합의 폐기해야'," 동아일보, 2019년 1월 31일.
19 이철재, "서해 훈련중단구역 북 50km, 남 85km ... NLL 무시했나," 중앙일보, 2018년 9월 20일.
20 이철호, "65년 만에 비무장지대 남북간 도로 뚫렸다...," KBS 뉴스, 2018.
21 변지희, "남북,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완료," 조선일보, 2018년 12월 9일.
22 정희안,"남북 '9.19 군사합의' 이후 5개월간 합의 위반 0건," 경향신문, 2019년 2월 20일.
23 정경영, "군사 분야 합의서의 오해와 진실," 정세와 정책, 제12호, p. 6.
24 국방부 대북정책관실(2018년 9월 19일), p. 4.
25 황진환, "남북한 군비통제," 대한정치학 회보, 제8집 2호, p. 13, 2000.
26 국방부 대북정책관실, pp. 19-21.
27 이다비, "트럼프, '주한미군 감축 제한' 국방수권법안에 서명," 조선일보, 2018년 8월 14일.
28 김정안, "CVC는 '북핵 개발 잠금장치'...," 동아일보, 2019년 2월 15일.
29 한승조, 신진, "리비아 모델을 통한 북한의 핵 정책 평가와 전망,"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3호, p. 120, 2018.
30 김지훈, "北 김영철, 트럼프에 "주한미군 철수 거론 않겠다" 약속," NEWSIS, 2019년 2월 7일.
31 송수경, "주한미군 상당규모 철수는 협상 불가, 미국방수권법 의회 통과," 연합뉴스, 2018년 8월 2일.
32 김재중, "북한 '조선의 무역' 홈페이지 개설, 경향신문, 2018년 10월 15일.
33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 2018', p. 214.
34 우정민, "한반도 군사적 현안에 관한 미중관계 고찰," 융합보안논문지, 제17권 제3호, p. 92, 2017.
35 한용섭, '국방정책론', 박영사, 2014.
36 김경수, '비확산과 국제정치', 법문사, 2004.
37 박영택 외, '남북한 군사력의 현재와 미래', 한국국방연구원, 2010.
38 한관수, "한반도 통일과 군사통합," 융합보안논문지, 제15권 제7호, p. 129, 2015.
39 박효인, "메티스 미 국방, '남북군사합의서 지지하나' 질문에 '그렇다'," KBS 뉴스, 2018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