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ommunication study of The Tactical Communication Curriculum for Petty Officer in Community college  

Yu, Yong-tae (단국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an educational method that bring major improvements of the tactical communication through setting a definition on the tactical communication and developing ways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to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ge level. The study is formed a concept of the tactic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tactical soften influence and, set up three steps; Goal - Act -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clarifies that the tactical communication is formed by repeating three steps of 'Recognition - Understanding - Regarding - Act.' To suggest an efficient way of the tactical communication by reducing the repeating communication steps, the study proposes 'OODA loop' communication. The curriculum of Petty officer major students has three steps, Change - Apply - Present steps, with using the concept of 'OODA loop.' The curriculum method offers a way of improvement state on interpersonal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education method presents variety developed OODA loop situations to minimize the act step on conversing informations through objective perspective and helping faster decision making process.
Keywords
Petty officer major; Educational communication; Tactical communication; OODA loop; Interactive commun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수진.윤석화.변국도, "리더의 영향력 전술이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3권 제3호, pp. 48-52. 2016.
2 이창덕, "한국 가족의 의사소통 문제와 개선 방안" 화법연구 제9권, pp. 354-355, 2006.
3 이승호, "미래전쟁 양상 변화와 지상군 역할", 전략연구 제67호, pp. 121-123, 2015.
4 에이미 윌킨스 저, 김고명 역, '크리에이터 코드', 비즈니스북스, p. 125, 2015.
5 전은주,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pp. 57-63, 1999.
6 박재현, '국어교육을위한의사소통이론', 사회평론, 2013. 참조.
7 김현정,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교양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 612, 2013.
8 유용태, "안보환경에 적합한 해군부사관과의 의사소통교육방안 연구", 융합보안 16권3호, p. 50, 2016.
9 박문상.박계홍, "부사관의 역할 정체성, 모호성, 갈등이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3호, p. 41, 2012.
10 송준화.천명희, "국가안보에 적합한 인력 양성을 위한 부사관 후보생의 의사표현 능력 향상 연구", 융합보안 제14권 제6호, 2014.
11 유용태, "NCS 기반 역량 교육을 적용한 해군부사관과의 리더십 교육방안 연구 -프로젝트와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중심으로", 융합보안 제16권 제6호, 2016.
12 정희종, '전략, 전술 그리고 작전', 북갤러리, p. 31, 2009.
13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3064200, 2017.09.23. 15:32.
14 노정남, "의사소통전략 지도를 통한 중학생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 방안",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pP. 9-11, 2016.
15 http://www.proposalsheet.com/wp-content/uploads/2017/01/communication-strategy-template-a3a548b648357b7745ff254ed115f92a.jpg 2017.09.23.16:40.
16 김규원.서민교.이정운, "프랜차이즈 기업의 그린 리더십과 환경매력도가 환경마케팅 전략과 전술 및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렌차이즈경영연구 제8권 제1호, pp. 21-22, 2017. 참조.
17 김은혜, "말하기 평가에 구현된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양상", 국어교육학 연구 제40집, p. 362, 2011.
18 허선익, '국어교육을 위한 말하기의 기본개념', 경진, pp. 32-33, 2012.
19 김미령, '의사소통 속의 대응발화', 세종, p. 9, 2006.
20 이창덕, "국어교육과 대화분석 : 대화분석 이론과 연구방법의 국어 교육 적용 모색", 한국초등국어교육 14호, pp. 49-50, 1998.